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6

        2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Q정전』은 노신의 대표적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그 중 35종의 번역본을 연구대상으로 『 아Q정전』 번역본의 시대별 특징을 개관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1970년대에는 한국어 표현과 독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번안 풍이 남아 있던 시대였고, 1980년대는 명사와 문인들이 번역에 많이 참여하였으며 일본어 번역본을 중역하던 경향이 있는 시대였다. 1990년 대는 대부분 상업적 목적으로 번역에 종사하던 사람들에 의해 번역이 이루어졌으므로 번역자 보다는 출판사가 주도권을 행사하던 시기였다. 2000년대는 노신문학회를 포함하여 전문적으로 현대문학을 연구하는 학자, 교수들이 번역에 직접 임한 시대라는 것이 특징적이다. 2010년 대의 주된 특징은 현대문학 혹은 노신연구전문가들이 번역에 적극 임하였는데 특히 루쉰전집 번역위원회에서 『루쉰전집』(전권20권)을 번역 출판했다.
        8,000원
        2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과 중국어 번역, 그리고 한-중 대응 양상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인용부호에 관한 최신 규정을 대조한 결과, 한국어는 작은따옴표, 중국어는 큰따옴표의 용법이 상대적으로 더 다양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병렬말뭉치를 구축해 검정한 결과, 중국어 번역문의 큰따옴표 출현율이 한국어 기사문보다 높고 한국어 기사문의 작은따옴표 출현율이 중국어 번역문보다 높아 규정 차이에 따른 용법의 다양성 분포에 부합하였다. 그러나 용법별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은 규정과 여러모로 다른 반면 중국어 번역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은 대체로 규정과 일치하였으며, 기사문과 번역문의 인용부호간 대응 관계 역시 규정의 대조 결과에 부합하였다. 다만 큰따옴표 와 작은따옴표의 삭제 및 추가라는 변이도 다수 발견되므로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중국어 번역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향후 한-중 인용 체계에 대한 광범위한 고찰이 요구된다.
        6,100원
        25.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Korean text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translatio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Korean skills before taking higher level translation classes. However, there are no basic courses to solve this problem. For this purpose, the study argued for providing Korean text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courses and translation. Further, it attempt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back translation’. For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groups. One group studied the text structure and language of the instruction manual, and the other group did not study the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trained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 They completed the text properly and did not make many translation errors or language error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made.
        5,400원
        27.
        201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도의 토착신 나가는 중국에 전해지면서 용으로 번역되고, 기존의 용과 결합되면서 불교 미술에 표현이 됐다. 실제 존재하는 생명인 인도의 나가는 중국과 동북아시아에서 재현되지 않았다. 동남아에서 나가는 토착신으로서의 뱀 신앙에 더해져 다양하게 변모되었고, 힌두교 신화 속의 나가와 토착신 나가가 융합하기도 했다. 나가는 물과 관련이 깊어서 화재나 수재 (水災)를 막기 위한 비보(裨補)를 목적으로 건물에 조각됐다. 중국과 동남아의 건축물에 용 과 나가가 표현된 것은 같은 맥락에서, 같은 속성을 지닌 영험한 존재로 받아들여졌음을 의 미한다. 동남아시아의 나가와 중국의 용은 물과 관련된 속성, 인간에게 위협적인 반신(半神) 과 같은 존재, 종교와 신화의 세계에서 하급 신격(神格)으로 간주되는 공통점이 있다.
        6,100원
        2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1920년대 말-1940년대 중반 초현실주의가 일본 미술계에 소개되어 주요한 미술운동으로 전개되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던 단체와 인물을 중심으로, 일본 초현실주의 미술의 보편성(국제성)과 특수성(민족성)을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일본 초현실주의 미술은 초기에는 기계주의, 주지주의가 반영된 도시적 모더니즘 경향이 강했으나, 점차 “앙드레 브르통 및 그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반이성주의와 인간정신의 해방을 강조하게 된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사회 전체에 대동아공영(大東亞共榮) 사상이 확산된 무렵 일본 초현실주의를 이끈 지도자들은 오리지널과의 차이를 역설하면서 ‘일본 환상성의 전통’을 소환한다. 특정 전통의 재발견은 군국주의와 전체주의가 강화되어가는 전시(戰時) 체제 하에 초현실주의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수 있으나, 결국 전위가 시국(時局)에 동조함으로써 전위성을 상실하게 되는 모순을 낳았다.
        7,000원
        2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 찬송가』 388장 「비바람이 칠 때에 의 원 가사는 찰스 웨슬리의 「예수, 내 영혼의 사랑 이다. 이 찬송시의 우리말 번역본이 처음 나타난 것은 장로회 소속 선교사들이 발간한『찬양가』(1894)로, 이 찬송가집에는 “主爲避亂所”(41장), “欲避亂往耶穌”(42장)의 두 편의 다른 번역이 실려 있다. 이후 이 번역 찬송가는 「예수내령혼령의 주」(1895)로 통합 번역되어 장로교와 감리교가 가각 발간한 찬송가집 『찬양가』와 『찬미가』에 모두 실렸다. 이 번역 찬송가의 제목은「풍우대작할때와」로 감리교·장로교 통합 찬송가집 『찬송가』(1908)년에서 바뀌고,『통일 찬송가』(1983) 이후「비바람이 칠 때에」 의 제목으로 가사도 수정되어 현재까지 불리고 있다. 본 논문은 찰스 웨슬리의 원 찬송시인 「예수, 내 영혼의 사랑」 의 내용을 분석해 본 후, 세대가 지나면서 조금씩 가사가 수정된 우리말 번역 찬송이 과연 찰스 찬송시 원전의 의미를 잘 드러내는지 찾아보았다. 그런 후 번역 찬송이 이 원 찬송의 곡조에 잘 부합되었는지 곡조의 강세를 중심으로 분석해 본 후 원 곡조와 잘 어울리면서 찰스 원 찬송시의 본문 내용을 적절하게 담고 있는 번역 찬송의 필요성을 논해보았다.
        6,700원
        3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internal process while they are translating. To figure out invisible internal process of the learner, Key logging during translation process, short interview after translating and behavioral observation were used. For consider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internal process, Pause, Deletion, Moving and Mistranslation were chosen. In particular, Pause was chosen to work as criterion when analyzing other behaviors. By analyzing those behaviors, three internal processes were found: (1)Deliberatiing on words or phrases following the pauses, (2)Considering ill-matched words or phrases between source text and target text, (3)Continuous checks on what writers had written down. Deliberations were generally found before the long-term pause. Learners were deliberating what to write on next phrases, due to their scarce knowledge of grammatical colloc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nsidering ill-matched words or phrases between source text and target text shows variety of behaviors such as moving, deletion after the long-term pauses.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rview and researcher’s observation, it was arisen when the learners are fail to find the acceptable expressions in target language. Continuous checks on what learners had written down were generally found after the translation was finished. Entire part of target text was examined in this type of process. Thus, long period of pause was required for reading source text and target text, also deletion and moving was required for correcting mistranslated words or phrases. It infers that learners’ behaviors are combined to suggest certain meanings of internal process. Thus, these behaviors do not suggest solid internal process. With more elaborated analysis, this
        5,400원
        3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성경 번역에 있어서 어린이(미성년)와 어른의 문체 차이로 인한 ‘수용성’ 여부를 연구한 것이다. ‘수용성’은 보그란드와 드레슬러가 주장한 ‘텍스트성’(textuality)의 하나이다. 어린이와 어른의 성경 문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여덟 가지 방법으로 시행을 했는데 그에 해당하는 예로는 어린이 그룹을 네 부류(A, B, C, D)로 성인그룹을 네 부류(A-1, B-1, C-1, D-1)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각 문체에 따른 번역 결과물의 수용 여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경 번역의 문체 비교에서 독자들은 격식체를 선호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성경 특유의 문체를 선호한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 독자의 입장에서 번역가가 번역하는 것은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는 것이 번역학의 이론이자 보그란드와 드레슬러의 주장이다. 그러나 성경 번역의 경우 예외가 되며, 독자에 대해서 너무 고려하여 번역하면 오히려 효과적이지 못한 번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고의 결론이다.
        6,100원
        32.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786년 일본의 하야시 시헤이(林子平)가 저술한 『삼국통람도설』과 그 부도를 독일출신 클라프로트(Klaproth)가 1832년 프랑스 어로 출간한 배경과 경위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또한 Klaproth가 그 저서를 어떻게 해독하게 되었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그의 생애와 학문적 활동을 살펴보고 그의 언어학적 업적이 동양학 연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언어학의 천재였던 Klaproth는 언어연구의 보고였던 캅카스 일대를 답사하며 언어학의 지평을 넓혀 나아갔고 이르쿠츠크 혹은 그 인근의 캬흐타에서 입수한 것으로 추정되는 『삼국통람도설』의 번역에는 동양에서 입수한 여러 자료와 Siebold의 조언은 물론 일본계 러시아 인이었던 Kolotygin의 도움이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Klaproth의 『삼국통람도설』 입수경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결국 그는 동양학의 메카였던 파리에서 1832년 영국 및 아일랜드의 번역기금을 받아 하야시 저서의 번역본을 출간하게 되었다. Klaproth의 삼국통람도설은 유럽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각주와 주해를 달아가며 설명했으므로 단순한 번역서라기보다는 편역서라 간주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4,600원
        3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명대 백화단편소설이 18세기에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이후 20세기 전반기까지 약 200년 동안 영어권 독자들에게 수용되어간 상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서양인 선교사의 선교활동과 유럽의 제국주의적 확장정책이 시작될 무렵에 번역되기 시작하여,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번역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번역본이 나온 시간적 순서에 따라 번역의 맥락과 특징 그리고 전유 양상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18세기에 나온 최초의 번역은 불역본을 통한 간접번역이었으며, 19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중국원전에서 직접 번역하기 시작했고 원문에 충실한 번역태도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 번역의 주체는 모두 서양인이었으며, 발표지면은 대부분 대중적인 신문잡지였고, 출판지역은 영국 런던, 오스트레일리아 세일, 일본 요코하마,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중국의 홍콩, 광동, 상해 등 글로벌 국제도시에 두루 걸쳐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인 번역가가 비로소 출현하였고 앤솔로지 형식의 단행본이 많이 출간되었으며 번역가의 번역의도에 따라 명대 백화 단편소설은 충실하게 또는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4,800원
        34.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process of language translation, adaptation, and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ools for use in multiple countries requires the adoption of well-established, comprehensive, and rigorous methodological approaches. Back translation, which is the most recommended method, permits the detection of errors in the transla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words or phrases that cannot be accurately or literally translated.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a Balance Evaluation Systems test (BESTest) by using a back-translation method.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six steps: 1) translation of the BESTest into Korean, 2) evaluation of the translation conformity of Korean-translated BESTest, 3) evaluation of the degree of translation comprehension, 4) back translation of Korean BESTest, 5) evaluation of the technical and conceptual equivalence, and 6) comple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ESTest by the translation verification committee. Results: In this study, Korean version of the BESTest achieved a rating of more than 3 (moderate) for translation comprehension, and technical equivalence and conceptual equivalence of back translation were evaluated as 3 (moderate) or more.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BESTest has proven content validity and is an appropriate tool to measure balance function.
        4,000원
        3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how teaching and learning in Japanese translation/interpretation classes are linked to the modality relationships among hearsay markers, which are schematized after dividing the difference of pragmatics in the three following relationships: information and speaker, information and listener, and speaker and listener. Information about seven Japanese hearsay markers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over native Japanese speake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eople, first, chose [youda] and [toiukotoda] usually as the hearsay expression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speaker. Second, people divided [tonokotoda] into two relationships between information and speaker, or between information and listener. The responses about [souda] were spli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speaker and speaker and listener. [Rashi] and [toka] were chosen the mos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listener, and there w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oiu(utte)].
        5,400원
        3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om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The paper uses an intermediate-level Chinese conversational textbook titled New Speaking Chinese. The data consist of 90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Whether a Chinese expression is replaced with a Korean idiom, Chinese idiom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wo major types: 1) mutable idioms, and 2) immutable idioms. Then mutable idioms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types: 1A) identical/similar images, and 1B) substitutional images. Likewise, immutable idioms can be divided into two subtypes: 2A) idioms with general explanations requiring no ethnic information about China, and 2B) idioms with special explanations requiring speci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Chinese cultures and history. The results show that type 1 is only responsible for 39% of all the Korean translations. Type 2 is responsible for 61% of the translations. For further analysis, type 2A has been most frequently used, with 55% of all data, and type 2B has been least used, with 6% only, but draws particular attentions of translators. For the other two types, there were type 1A with 26% and type 1B with 13%, respectively. Pedagogical skills for appropriate translation of Chinese idioms along with classroom activities are suggested.
        5,700원
        37.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루쉰(魯迅, 1881-1936)과 량스추(梁實秋, 1903-1987)는 1920년대 말부터 1936년까지 번역에 관한 논전을 벌인 것으로 유명하다. 두 사람은 우선 루쉰의 ‘억지번역’이라고도 일컬어지는 ‘경역(硬譯)’에 대해서 열띤 논의를 하다가 그 논쟁의 초점이 문학의 계급성 유무를 밝히는 것으로 옮겨갔다. 또한 두 사람 모두 번역어로서 중국어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인정 한 바, 서구 언어의 문법으로 중국어를 보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각자가 주장하는 해 결방식은 전혀 달랐다. 루쉰은 평소 혁명가로서의 역할을 자임한 것처럼 중국어 역시 빠른 시일 내에 급진적인 방식으로 개혁하고 아울러 중국인의 사유방식까지도 개혁되기를 바랐다. 이에 반해 량스추는 자신의 인성론에서 강조한 바인 문학은 문학 자체로 기능해야지 어떠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주장에 근거하여 번역 또한 번역 자체로 독자의 이해를 돕는 기능에 충실해 야지 다른 목적을 위해 그것이 변용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본고에서는 두 사람의 번역논쟁 을 통해 이와 같은 각각의 번역관이 어떤 방식으로 투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4,900원
        3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ans cette étude, les commentaires des professeurs sur la capacité de communication et la capacité de traduction ont été conçus et formulés en utilisant une activité paraphrasante basée sur la théorie interprétative de la traduction dans une classe de traduction au niveau universitaire. La réaction des élèves lors du cours de traduction a ensuite été analysée . Le but de cette étude était d'étudier la valeur éducative de ce type de commentaires des professeurs et de trouver la méthode la plus efficace de rétroaction des professeurs appropriée pour les étudiants qui apprennent la traduction du français vers le coréen. Les principaux résultats des analyses de commentaires des professeurs sont résumés comme suit: (1) Certaines des tâches qui semblaient difficiles pour les élèves ont été classées en éléments de capacité de traduction et de capacité de communication. Les commentaires du professeur, organisés en capacité de traduction et de communication par la méthode d'enseignement par la paraphrase en fonction des difficultés rencontrées par les élèves dans leurs tâches, ont généralement une influence positive sur la capacité de traduction des étudiants, et en particulier la capacité linguistique des élèves. (2) Comme une méthode répétitive d'apprentissage des synonymes, les commentaires répétés des professeurs par la paraphrase ont été trouvés pour aider à améliorer la capacité linguistique des élèves. (3) Il était également possible de voir le potentiel de la compréhension par les élèves des stratégies d'apprentissage autonomes basées sur la méta-cognition en termes de lecture, de traduction et d’écriture.
        5,500원
        3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을 일상적인 과제수행에 기반 하여 평가하는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의 내용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연구방법 :뇌졸중 분야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29명을 대상으로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에 대한 내용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정된 과제 적합성을 조사하였고 수정된 과제별 세부항목 적합성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응답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도 산출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 하였다.결과 :내용타당도는 각 과제에 따른 평균 CVI가 .67로 나타나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과제에 따라 내용타당도 지수는 .58~.75로 조금씩 상이하게 나타났다. 임상적 유용성은 각 문항의 산술평균 분 포가 2.69~4.03이었으며 ‘보통이다’ 이상의 응답이 44.8~100.0%로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translation)는 실행기능을 보다 면밀히 평가하고 필요한 도움의 유형을 밝히는데 유용한 도구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집단을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임상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며 관련 교육 및 연구가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200원
        4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장애인들의 지역사회참여를 객관적, 주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인 지역사회참 여지표(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CPI)의 한국어판을 개발하고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CPI의 번안과정을 통해 한국어판을 완성하고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번역, 역번역, 전문검토위원 회의 검토를 거쳐 문항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한 사전검사를 거쳐 번역본을 완성하였고 전문가집단의 번 역 적합성 설문을 통해 최종본을 확정하였다. 또한 완성된 한국어판은 검사-재검사를 실시하고 참여권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구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결과 :완성된 한국어판 지역사회참여지표(Korean-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K-CPI)를 통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63∼.901였고 참여권 문항의 내적일치도는 장애인 410 명을 대상으로 .949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에서는 CPI의 번안과정을 통해 K-CPI를 완성하고 신뢰도를 검증하여 장애인의 참여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측면을 측정하는 한국어판 참여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K-CPI가 임상 현장에서 참여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