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2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ietitians who purchase ingredients for school meals. Therefore, for the study, the awareness and usage of nutritional information by 108 teachers and dieticians on 5 hazard-free meal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investigated during May 18~21, 2021. Among the five questions that asked the general perceptions of school meal dietitians of 5 hazard-free meals, the perception that the “5 hazard-free food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was the lowest.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using the 5 hazard-free meals such as “expensive price,” “no variety in items,” “disruption in the supply and demand,” “inconsistent quality,” and “lack of taste,” in that order. Therefore, to improve 5 hazard-free school meal service, it is necessary to not only lower the price burden by providing subsidies to schools but als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various 5 hazard-free foods.
        4,200원
        25.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cientific and rational structure pavement maintenance technique and management standard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method development for measuring damage to structure pavement such that fundamental quality improvement can be promoted and the life of pavement prolonged. METHODS : In this study, the crack, plastic deformation, IRI, and SPI values measured using the existing RoadScanner of a corresponding section, as well as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values of a lower deck measured using a ground penetrating radar are reduced. The results of a small impact load test are verified by comparing the modulus of elasticity measured. RESULTS : In the Hongjecheon Overpass, when comparing the suspicion points of deterioration between the center of the lane and the 25 measurement data points of the wheel pass section based on the elastic modulus of the light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LFWD), it is discovered that the lane comprises four centers (16%) and 18 wheelpaths (72%). The percentage of suspected deterioration points in the center is higher than that in the wheelpath.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oho Bridge, by comparing the suspicious points of deterioration for 11 measurement data points in the middle of the lane and the wheelpath section based on the elastic modulus of the LFWD, it is discovered that five points (45%) in both the middle of the lane and the wheel pass are similar. CONCLUSIONS :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FWD elastic modulus and SPI factors (crack rate, plastic deformation, and IRI) of the Hongjecheon Overpass and Seoho Bridge is conducted to confirm the factors of pavement breakage. Among them, it is confirmed that it affects the pavement condition the most; however, to consider the LFWD elastic modulus as an evaluation criterion for future structure pavement, the data points must be verified via additional experiments to ensure high reliability.
        4,000원
        2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활용하여 지리가중회귀(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모델과 다중스케일 지리가중회귀(Multi-scal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GWR)모델을 비교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장 먼저 선행 연구조사를 통해 코로나-19 확진자 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별하였다. 다음으로 최소제곱법(Ordinary Least Square, OLS), 분산팽창계수(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및 Local Moran’s I를 사용하여 코로나 -19 확진자 수와의 선형 및 국지적 공간자기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특히 종전에 널리 사용되어왔던 GWR모델과 최근 새롭게 등장한 MGWR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지리가중회귀 모델을 결정하였다. MGWR은 변수 특성을 감안한 조정된 밴드대역폭을 사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변수들 간의 공간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물은 감염병 예방 및 예측에 필요로 하는 감염병역학조사지원시스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800원
        27.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통카드 데이터는 도시 유동 패턴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양질의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한다. 하지만 유동 클러스터링의 방법론적 어려움으로 인해 기존의 연구들은 데이터의 이점을 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교통카드 데이터에 기반한 효율적인 유동 클러스터 탐지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서울시 대중교통 통행 데이터에 적용하여 유의미한 유동 통행 클러스터를 도출하고자 한다. 사례 분석 결과, 서울 전체에 걸쳐 있는 다양한 대중교통 통행 클러스터를 도출할 수 있었고, 특히 공간상에서는 인접하지만 서로 다른 교통수단과 노선 하에서 이루어진 개별 유동들을 하나의 유동 통행 패턴으로 탐지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일반적인 빈도분석으로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공간적으로 인접한 여러 다발의 유동이 모였을 때 유의미한 통행량을 가지게 되는 주요 통행 패턴을 포착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동 현상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알고리즘은 향후 보다 진보된 유동 클러스터링 기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2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dor dilution rate at 15 locations around three schools in Seoul using an onsite olfactometer. In addition, odor intensity, odor quality, and hedonic tone by direct sensory method were measured along with measurement of the field odor dilution rate, and instrument analysis using odor sensor array and TD-GC was also measured. Onsite olfactometer measurements show that only one of the three schools measured odors exceeding the strict emission acceptance standard of 10 at three points. The average odor intensity at each point measured by the direct sensory method of five persons was in the range of 2.7 to 0.3.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dor dilution rates around schools in Seoul could be related to the level of income by region. The odor environment around each school was judged to be well managed in areas with higher income levels, indicating a lower odor dilution rate. The correlation coeffcient between the odor intensity measured by the direct sensory method and the onsite olfactometer was 0.79, indicating high correl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ensor array and TD-GC toward the odor intensity was -0.28 and 0.02,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a method based on a person's sense of smell should be introduced when measuring low-level odor dilution rates in non-industrial areas, such as school zones.
        4,000원
        29.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공원은 시민의 여가 공간으로 시민들이 공원을 방문하는 정도는 공원이 제공하는 사회적 효용을 측정하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도시공원을 방문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방문 잠재력 지수를 제안한다. 방문 잠재력 지수는 도시공원 입지의 공간적 효율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공간 접근성과 기회 대체성을 결합하고 있다. 도시공원의 공간 접근성은 공원의 서비스 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 분포로 측정했으며, 도시공원의 기회 대체성은 인접 공원의 이용 가능성으로 측정하였다. 도시공원의 공간 접근성과 기회 대체성은 각각 수요와 공급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를 결합한 방문 잠재력 지수는 공원의 공급 필요성이 큰 입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사례 분석으로 도시공원 일몰제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서울시 도시자연공원구역의 방문 잠재력을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서 제안하는 도시공원 방문 잠재력 지수는 도시공원의 입지적 가치를 다각도에서 포착하고 유연한 평가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입지와 신규 후보 입지 모두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30.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과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 정책의 시행은 도심의 생활인구 분포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양상은 서울시 안에서도 상권의 유형과 주거인구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외국인 밀집지역 간에도 해당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외국인의 체류 기간과 이주 목적 등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대표적인 중국인 밀집지역인 가리봉동과 대림2동을 사례로, 두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산 이후 내외국인의 분리 수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내외국인의 공간적 분포는 서울 생활인구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분리 수준의 측정에는 커널 밀도 기반의 측도인 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코로나19가 중국인 밀집지역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지역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4,300원
        3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7월에 도시계획시설(공원) 실효제가 시행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근린공원 중 시민의 이용과 사유지가 많은 미집행 근린공원 35개소를 대상으로 공원이 실효되기 전 보상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현장조사, GIS분석 및 전문가의 자문 등을 통해 공원 특성에 따른 장·단기적 대응지 분류기준 및 공원보상 우선순위 기준 마 련하였다. 연구내용은 실효시기를 기준으로 장·단기적 대응지를 구분하여 단기적 대응지는 ‘접근성, 이용성, 관리성’에 따라 3가지의 순위로 구분하였으며, 장기적 대응지는 국공유지, 중 복규제지, 접근성 취약지, 공원기능 상실지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근린공원은 필지 별로 특성이 상이하여 공원 내 장·단기적 대응지가 혼재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특히 까치산, 염창, 영축산, 고덕 등은 단기적 대응지의 보상필요면적의 20% 이상이므로 집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 대응지 중 국공유지의 비율이 80% 이상인 낙산, 청량, 배봉산, 계남, 노량진, 불광, 와룡과 중복규제지의 비율이 공원 내 50% 이상인 세곡, 광 평, 고덕의 경우 해당 항목의 분포 비율이 높으므로 각 규제에 따라 공원별 통합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불투수포장면적의 증가는 도심지 내 열환경 악화, 물순환체계 단절 등의 문제점과 더불어 인간의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 질병에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도시공원 내 거리에 따른 공기이온 실태와 거리별 기상요소 및 공기이온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도심지 내 대규모 도시공원 조성 혹은 리모델링에 있어서 기후적 측면의 건강성을 고려한 도시공원 조성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거리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한 뒤, 구간을 A, B로 분류하였다. 측정지점은 80지점을 선정한 후 토지피복 및 식생현황을 조사한 후 기상요소, 공기이온을 측정하 였다. 첫째, 구간별 녹지율은 A구간 Center(90%) > Inner(70%) > Outer-inner(10%) = Outer(10%), B구간 Center(100%) > Inner(60%) > Outer-inner(30%) > Outer(0%) 순이었다. 둘째, 기상요소의 경우 기온의 경우 Outer(24.18℃) > Outer-inner(22.90℃) > Inner(22.43℃) > Center(21.719℃)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습도의 경우 Center(46.49%) > Inner(43.36%) > Outer-inner(42.41%) > Outer(38.53%)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공기이온 중 양이온의 경우 Outer(435.71ea/㎤) > Outer-inner(415.16ea/㎤) > Inner(389.46ea/㎤) > Center(352.64ea/㎤)의 순이었으며, 음이온의 경우 Center(569.72ea/㎤) > Inner(499.83ea/㎤) > Outer-inner(410.58ea/㎤) > Outer(292.02ea/㎤) 순으로 Center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도로와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온지수의 경우 Center(1.67) > Inner(1.31) > Outer-inner(1.08) > Outer(0.71)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상관성 분석결과 정(+)의 상관인 것은 음이온, 이온지수로 도로로부터 공원 Center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부(-)의 상관인 것은 기온, 일사량, 양이온으로 도로와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40.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과 교통이슈로 자전거가 대안적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많은 나라에서 자전거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공유경제 플랫폼인 공공자전거 사업을 운영 중이다. 서울시 역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를 5년째 운영 중이며, 이제 따릉이는 서울의 단거리 교통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연구는 따릉이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자전거 흐름의 시공간적 패턴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따릉이의 요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서울시의 주요 자전거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찾는다.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찾기 위해서 Getis와 Ord의 Gi통계를 공간 네트워크로 확장 적용하였다. 이후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치환법(Bootstrap permutat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에서 시계열에 영향받지 않는 명확한 자전거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국지적 분석 결과는 시간대별 통행 방향에 명백한 차이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따릉이의 효과적,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따릉이 이용 패턴의 시간, 공간적 차이를 측정하고 반영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