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2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음악과 민족』, 『음악과 문화』, 『서양음악학』, 『음악논단』, 『음악이론연구』, 『이화음악논집』, 『音.樂.學』, 『음악이론포럼』 등 8개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를 대상으로,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음악이론 논문들의 간행시기별 빈도 분석, 연구주제 영역 분석, 연구방법 분석, 학술지별 특징 분석 등을 통해,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비중, 연구의 주요 흐름, 주된 연구방법 등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의미 있는 추이들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8개의 음악학 전문학술지에서 음악이론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4.8%으로, 각 학술지 별로, 33.3%(『음악이론포럼』)에서 2.3%(『음악과 민족』)에 해당했다. 둘째, 음악이론 논 문은 각 학술지 별로 28.4%(『서양음악학』)에서 2.8%(『음악과 문화』)을 보유했다. 셋째, 지난 10년간, 음악이론의 게재 비중은 18.9%(2011년)에서 11.1%(2013년)을 보였다. 넷째, 음악이론 연 구의 주제 영역을 음악이론사적 배경에 따라 13개 분야로 구분했을 때, “음악의 의미·내러티브이 론”(17.0%)을 필두로 4개 영역에 60.2%의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음악이론의 연구방법 을 분석적, 이론적, 교수법적 고찰로 분류하였을 때, 71.0%가 분석적 고찰을 따랐다. 여섯째, 음악 이론가 3명의 연구가 전체 음악이론 연구의 23.3%를 차지했다. 일곱째, 음악이론 연구의 95.5%가 단독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여덟째, 음악이론 연구의 13.1%는 연구비 지원에 따른 결과물로, 연구자 들은 『서양음악학』(30.4%)과 『음악이론연구』(30.4%)에서의 게재를 선호하였다. 음악이론의 연구경향에 관한 고찰은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학문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총체적인 변화를 깊이 있게 조망하기 위한 방법이 되며, 나아가 학문의 발전적 측면에 대한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국내에서 음악이론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학문적으로 연구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는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가, 음악이론에 대한 교육의 현장이나 연구영역에 있어, 우리나라 음악이론 전공자들 및 음악이론가들에게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제공해주길 기대하는 바이다.
        9,800원
        22.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relevant research and examine research trends through metaanalysis of 154 theses related to native local foods published in a representative food and nutrition journal. As subject regions, Gyeongsang-do was the most common (70), and especially, Andong had 19 theses. Regarding the research topic, until the early 2000s, most research focused on ‘native local foods itself’. After 2005, there was a remarkable increase in research on people’s ‘perception/use’ of native local foods as well as on ‘development/application’ based on native local foods since 2010. Among theses on native local foods, there was a lot of research on ‘quality characteristics’ mainly using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most research was on desserts. Among theses on perception/use, there were lots of theses on ‘awarenes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cusing on questionnaires targeting local residents. Among theses on development/application, the noticeable research trend of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native local foods’ was the active development of food and menus using storytelling.
        4,600원
        2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사회적경제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회적경제에 관련한 기존연구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학문적 접근의 변화를 점검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회적경제에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장 마련과 함께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5,100원
        2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im, Youngsook. 2014. World Englishes research in Korea, China, and Japan: A meta-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World Englishes and English Today.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3).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research findings on world Englishes in the context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ocieties, based on an analysis of 89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wo international journals, World Englishes and English Today, between 2005 and 2014. After a careful review of them,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our important topic areas: the local variety, including language users’ attitudes toward it and i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36%); other varieties of world Englishes, with subcategories of perception, education, and intelligibility of those varieties (17%); English use in the given social context, further categorized into descriptive analysis and critical analysis of English use (25%);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ncluding general EFL teaching/learning topics and English- medium instruction (18%); and others (4%). This paper presents important findings surrounding each topic area and further discusses their sociolinguistic implication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
        6,300원
        2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and size growth of Korean adolescents boys. Subjects were between 14 and 19 years (n=352). We collected the right hand size data of 19 measurements from each subject using 3D hand scanner. The total 26 hand measurements were analyzed including seven calculated measuremen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early, middle and late). Their hand siz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hand length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age groups. Adolescent boys hands were sharply grown at age 16 years old. The hand dimensions of middle age group were compared with twenties men (n=21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middle age adolescents' hands were shorter and thicker than twenties men. Subjects were also divided by weight and height. Weight and height was closely related to hand size. The heavier and taller subjects had the thicker hand. Their fingers were longer than others. The adolescent boys and twenties men who were taller than the twenties' average height (173.4cm) were compared. Twenties men's hands were longer and thinner than that of adolescent boy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ale adolescent hands grow short and thick in the adolescent period. Fingers continuously grow up as a long and thin shape after adolescent period.
        4,000원
        26.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research by Korean scholars of English education. The main focus was on the extent to which active scholars focus on their primary major areas. The study surveyed 11 journals of major academic societies in Korea, and analyzed a total of 5,072 research papers written by 1,639 schol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opular topic was acquisition/learning (19.30%), followed by English (applied) linguistics (17.90%), English materials (14.59%), teaching methodology (12.03%), and learning psychology (10.11%), the top five collectively comprising 73.93% of the total papers. The 99 most productive scholars published 1.01 papers per year on average. Younger scholars published more papers per year on average than older scholars. As for the concentrated efforts in their primary areas of research, the top 99 scholars wrote 46.84% of their papers on their primary areas, and 20.03% on their secondary areas of study. Younger scholars concentrated more efforts on their primary areas than older scholar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5,800원
        2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o Jae-young. 2013. The Trends on the Study of Language Power and the Sociolinguistical Approach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In order to understand what language power means to sociolinguistics, we will search for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power in various academic fields; for example in linguistics, philosophy, history and literature. I searched various theses and works related to language power. But no one has used this term in a technical sense. Many scholars have used ‘language and power’ instead of ‘language power’. This tendency is similar to sociolinguistics. I couldn't find this term in the dictionary of sociolinguistics. But I found ‘language change, language contact, language conflict, language rights and shifts’. We take a broad view that these terms are related to language and power indirect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nguage is used for communication, therefore language is related to race, culture and societies. This means language is related to social power elements. Discrimination of language by race, gender and class for example, indicated the problem of language power in the language community. Second, power is essentially related to inner order or intergroup-relationships. In this respect, many linguistic scholars were concerned about the function of language or class. Third, I found many literary researchers were concerned about language power in works.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expression relating to character's status. This theme related to discourse analysis. Fourth, I after researching the history of foreign language power,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study of language power is one of sociolinguistical problems and this problem implied a historical background. (243 words)
        6,100원
        2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o Jae-young. 2012. Remarks on the Areal Linguistics from the Sociolinguistic Viewpoint.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465-479. This report aims to survey and describe remarks on areal linguistics from the sociolinguistic viewpoint. It has an important bearing on the relations of language to society. Many dialectologists paid attention to these traditional areal languages. But sociolinguilism was only established in the 1960's. This science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1980's and the Sociolinguistic Society of Korea(SSK) was established in 1993. So I focused on the graduate theses, dissertations and books after 1990'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trend of sociolinguistic areal language studies was interested in special area communities( for example administrative districts) rather than divisions of dialect in Korea. In particular, some scholars were concerned with YEONBYEON(China's Far East) community after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Second, these studies focused on the factors of language change and attitudes to language. Third, some books and reports treated the phenomena of language use, and dialect in literature works and in national daily-life language.
        4,800원
        29.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based on 58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The case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tion, size, building form, spatial organization, material, roof form, and the ceiling form of living room.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ost of the recent hanoks are built in rural area (91.4%), which shows the hanok is not accepted as an urban house type. Hanoks tend to be built in 2 stories whose 2nd floor is smaller than the 1st floor. (34.5%) The preferred size is total floor area of 99.2 ~ 165.2㎡ (62.0%), 3 rooms (46.6%) with a traditional ondol room (60.3%). The buildings with ㄱ-shape (43.1%) and linear-shape (27.6%) are preferred, and the compact plan type similar with apartment house appears (13.8%). In the roof design that greatly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traditional design factors such as half-hipped roof (55.2%), double eaves (27.6%), and eaves curve tend to be sustained.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most of recent hanoks have double-layed plan (74.2%). The living room mostly has separately defined space. (82.8%) The indoor and outdoor tend to be connected by a narrow wooden veranda (39.7%), while some cases don't have any wooden floor space (48.3%). The entrance is adopted as an important spatial element in front part of building (75.9%), and it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living room, the counterpart of the wooden floor hall in traditional hanok, and kitchen tend to be interiorized. In terms of material, the cement roof tile and red clay brick are preferred. Consequently, the walls of recent hanoks have the image of brick structure rather than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traditonal hanok.
        4,900원
        30.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우리나라 국토면적의 65%는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요한 생태적 골격을 형성하고 있지만 일제시대와 한국전 쟁을 거치는 약 45년간 우리나라의 산림은 크게 훼손되었다. 휴전 이후에도 화전과 농촌연료 채취로 인해 산림황폐화가 지속되었으나(배재수와 이기봉, 2006) 1972년 산림개발법 이 제정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산림복원이 시작되었다. 치산녹화 사업은 황폐화된 우리나라 산림을 효과적으로 복원하였으나 당시 식재된 수목은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 무 등 외래수종이었다. 이로 인해 현재 서울시 산림면적 중 약 37%가 외래수종이 식재된 인공림이다(서울특별시, 2010a). 인공림은 낮은 종다양성과 토양환경의 악화, 단순 한 경관 및 유지관리 소홀로 인한 목재생산의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갖고 있어(近田, 1992) 도시림의 생물다양성과 자연성을 저해하고 있다. 서울시는 외곽에 대규모 산림이 입지해 있으며 내부에 파편화된 소규모 산림이 산재해 있는데, 이들 산림은 서울 시 대부분의 녹지면적을 차지하고 있어 도시환경 완화측면, 생태적 측면, 휴양 측면에서 모두 가치가 높다. 그러나 서울 시의 급격한 도시화는 기온 상승, 강우량 증가, 상대습도 감소, 지하수위 하강을 초래하였고 자동차수의 급격한 증 가, 중국 해안의 산업단지 입지 등 오염배출원 증가는 대기 오염과 산성비 등에 의한 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급격 한 환경변화는 1980년대 이후 산림 생태계의 쇠퇴경향을 발생하게 하였으며(이경재 등, 1992; 1993) 도시 산림의 생 물종 다양성을 감소시켰다. 환경변화에 의한 도시림의 생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생활환경오염이 심화되었던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집중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지 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지금까지 도시림에 대한 생태적 연구는 대체로 국지적으로 한정된 지역에서 실시되어 도시 전체적인 종합적 진단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밀도로 도시화되고 환경오염이 심화된 서울 시를 대상으로 도시림을 입지 특성에 따라 외곽 핵심 도시 림, 외곽 거점 도시림, 도심 핵심 도시림, 도심 거점 도시림 으로 구분하여 식생분포와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도시림의 시간 흐름에 따른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하여 서울 도시림의 천이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지는 한국의 생물기후구계도(김종원, 2004)를 바탕으로 도시형 식생이 발달하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시를 포함한 중부내륙형 생물기후 구 중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 입구의 참나무류림을 자연식생 군락의 대조구로 선정하였다. 세부연구대상지는 도심의 환 경오염물질 정도를 고려하여 도심부와 외곽으로 구분하였 고 이수동(2005)의 식생다양성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외곽 핵심 도시림 4개소, 외곽 거점 도시림 4개소, 도심 핵심 도 시림 2개소, 도심 거점 도시림 3개소로 유형화하였다. 2. 조사분석방법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는 도시환경 변화 원인으로 도시개 발 및 재개발 현황, 차량등록대수 현황을 분석하였고 도시 환경 측면에서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지하수위 및 지하수 이용량, 대기오염 및 강우산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필요 한 자료는 서울시통계연보(서울특별시, 2010b), 서울시도 시계획연혁(서울특별시, 2001),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자료 를 참고하였다. 도시림 식생분포는 대상지별 교목층 식생상 관을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여 식생유형별 면적비 율을 산출하여 도시림 유형별로 비교하였다. 도시림 식생구 조 특성은 현존식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면적비율 2%이 상의 유형을 대상으로 20m×20m(400㎡) 조사구 3개씩을 무작위 추출하여 통합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층위별 상대 우점치(Curtis & McIntosh, 1951), 평균상대우점치(Brower & Zar, 1977),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급별 분포, 종수 및 개 체수, 종다양도지수(Pielou, 1975)를 분석하였다. 도시림 식 생구조 변화는 도시림 유형별 비교식생군락을 선정하고 도 시림 식생구조 특성 분석과 동일한 항목에 대해 연도별 변 화를 비교하였으며 종구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양 이화 학적 특성은 토양 pH,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 도시환경 변화 원인 중 도시개발 및 재개발 분석결과 1960년부터 시행된 도시개발로 총 165.8㎢가 개발되었으 며 도시 재개발도 1978년 이후부터 13.7㎢ 면적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도시개발사업과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1980년 부터 주택건설은 단독주택에서 고층 공동주택지로 유형이 변화하였다. 최근 대도시에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제 시되고 있는 자동차의 등록대수를 분석한 결과, 총 자동차 대수는 2000년대 들어 천만대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서 울시 도시환경 변화 원인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는 도시개발 에 의한 토지이용 변화, 고층 건축물 건설로 인한 고밀화, 차량 증가 등 도시환경 변화의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는 변 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를 분석한 결과 평균기온은 40년간 1.5℃ 상승하였고 강수량은 연도별 차이가 심하여 뚜렷한 경향은 없었으나 상대습도는 67.7%에서 61.1%로 감소하 고 있었다. 지하수는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 나 지하수위는 지난 9년간 0.5m 하강하였는데 이는 불투수 포장면적 증가와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한 지하 터파 기가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대기오염에서 NO2 농도는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강우 pH 값이 낮아져 산성우가 발생하고 있었다.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 스펙트럼을 바탕으로 서울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태적 변화를 추정한 결과 토양 산성화, 이로 인한 도시환경 적응종의 세력 증가, 종수 및 개체수 감소, 외래종의 증가 및 확산, 적윤지성 및 호습성의 자생종 도태와 건조지성 자생종 세력 증가, 전체 종수 및 개체수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식생의 구조적 변화는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생태적 천이 중단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서울시 도시림 식생분포 특성 서울시 도시림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연 림은 외곽 핵심 도시림과 도심 핵심 도시림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혼효림은 외곽 핵심 도시림과 외곽 거점 도시 림, 인공림은 외곽 거점 도시림과 도심 거점 도시림에서 면 적이 넓었다. 핵심 도시림과 거점 도시림의 식생분포 특성 의 차이는 자연림의 면적비율로 핵심 도시림이 거점 도시림 보다 자연림 면적이 넓고 인공림 면적은 협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 이유는 외곽 도시림의 경우 핵심 도시림이 거점 도시림보다 지형이 험준하고 표고가 높아 1970년대에 시행된 치산녹화사업 당시 아까시나무, 은사시 나무 등 외래수종을 주로 산림 주연부에 식재하여 산림 내 부에서 이차림이 발달하였기 때문이었다. 도심 도시림 중 핵심 도시림은 남산, 창덕궁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 기 때문에 식생의 복원, 관리 등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어 자 연림의 면적이 넓었다. 거점 도시림은 표고가 낮아 외래식물군락이 넓게 조성되 었으며 시가화지역에 둘러싸여 있어 도시화와 이용 등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외곽 도시림과 도심 도시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외곽 도시림의 자연 림과 혼효림의 면적이 도심 도시림보다 상대적으로 넓었다. 3. 서울시 도시림 식생구조 특성 서울시 도시림의 주요 식생유형별 층위별 상대우점치와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도시림의 자생식물군락은 유형과 상관없이 대체로 생태적 천이가 중 단된 상태였다. 자생식물군락 중 천이가 예측된 군락을 살 펴보면 도심 핵심 도시림에서 산벚나무군락이 팥배나무군 락으로 천이 진행이 예측되었고 도심 거점 도시림에서는 신갈나무군락이 졸참나무군락으로, 상수리나무군락이 신 갈나무군락으로 천이 진행이 예측되었다. 도시환경에 적응성이 강한 팥배나무와 때죽나무는 군락 내 평균상대우점치가 0.1~22.1%이었고 특히 도심 핵심 도 시림에서 평균상대우점치가 높았다. 군락별 평균 Shannon 의 종다양도지수는 자생식물군락 1.1493~1.2570, 외래식물 군락 0.8832~1.2923이었고 외곽 도시림이 도심 내부 도시 림보다 비교적 종다양도지수가 높았다. 토양 화학성 분석결 과, 도시림 유형별 평균 토양 산도는 pH 4.60~pH 4.77로 산성토양이었다. 토양 산도는 외곽 도시림과 도심 도시림간 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핵심 도시림이 거점 도시림보다 토양 pH 값이 높았다. 4. 서울시 도시림 식생구조 변화 서울시 도시림 유형별 과거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식생구 조 변화를 고찰하였다. 천이 경향 분석결과 자생식물군락에 서는 극상수종의 출현이 없어 천이가 중단된 상태였고 외래식물군락에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의 참나무류림으로 의 천이 잠재성이 있었으나 도심 도시림의 경우 생태적 천 이가 중단된 상태로 판단되었다. 도시환경에 적응성이 강한 팥배나무와 때죽나무 평균상 대우점치는 최대 12.2% 증가하여 타 수종보다 증가율이 높 았다. 도시환경 변화에 의해 유입된 외래종인 일본목련, 가 죽나무, 족제비싸리 등은 최대 1.7%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외곽 도시림보다 도심 도시림에서 뚜렷하게 나타났 다. 종구성 변화에서는 단풍나무, 고욤나무, 일본목련, 족제 비싸리 등 외래종이 출현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도시온도 증가와 토양산성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하수위 하 강과 상대습도 감소로 인한 건조화의 영향을 예측하였으나 실제 식생구조에서 건조화에 의한 종구성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군락별로 전체는 다소 증가 하였으나 교목·아교목층에서는 최대 0.1340이 감소하였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가 증가한 도시림 유형은 도심 거 점 도시림이었고 주로 외래식물군락에서 증가하였다. 그러 나 종다양도지수의 증가는 고욤나무, 물오리나무, 붉나무, 팥배나무 등 외래종과 아교목성상의 자생종 출현 때문이었 고 이러한 변화는 생태적 천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 로 판단되었다. 토양 pH 변화에서는 외곽 핵심 도시림이 pH 5.40→pH 4.92, 도심 핵심 도시림 pH 4.73→pH 4.72, 도심 거점 도시 림 pH 4.59→pH 4.58로 다소 감소하거나 큰 변화 없이 산 성토양을 유지하였다. 5. 서울시 도시림 생태적 변화 종합 도시림의 식생구조 특성과 변화를 종합 고찰하여 서울시 도시림 유형별 생태적 특성과 이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 경향, 천이 계열을 정리하였다. 생태적 천이는 자생식물군 락의 생태적 천이가 중단되었다. 일부 군락에서 졸참나무 림, 팥배나무림으로의 천이가 예측된 바 있으나 극상림으로 의 천이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외래식물군락은 도심 거 점 도시림에서 생태적 천이가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각의 영향요인 관계를 종합하여 도시림의 생태적 변화 원인과 결과를 모식도로 제시하였다.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차량의 증가는 도시 기온 상승, 상대습도 감소, 지하수 위 하강, 대기오염 증가, 산성우 발생 등의 도시환경 변화를 야기하였다. 도시환경 변화는 도시림의 생태적 변화를 발생 시켰다. 대체로 생태적 천이는 도시림 및 식생군락 유형에 상관없이 중단된 상태였고 특히 자생식물군락 중 참나무류 군락과 도심 내부에 위치한 아까시나무림 등 외래식물군락 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6. 서울시 도시림 관리 제언 1) 자생식물군락 대조구인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 입구의 상수리나무군락 은 까치박달군락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예측되었으나 도시 림의 대표 자생식물군락인 신갈나무군락은 극상림으로의 천이 잠재성이 없는 상태였다. 따라서 서울시 도시환경과 토양 산성화를 고려할 때 현재의 낙엽참나무류군집 유지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리 제언으로 참나무류 및 낙엽활엽수의 식재와 종자 파종으로 식생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참나무시들음병 등 병해충에 의한 식생구조 쇠퇴 방지를 제안하였다. 종다양성 증진 관리는 대조구의 종다양도지수(H') 1.2666을 관리 목 표로 설정하여 종구성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를 교 란하는 일본목련, 가죽나무, 잣나무 등의 관리를 제안하였 다. 2) 외래식물군락 외래식물군락의 관리는 도시림에 분포하는 인공림 중 대 표 유형인 아까시나무림을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외곽 도시 림과 도심 도시림의 지형구조에 따른 아까시나무림의 생태 적 천이계열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외곽 도시림의 경우 대체로 신갈나무 또는 졸참나무군락으로의 천이 잠재성이 있었으나 도심 도시림의 경우 대부분 천이가 중단된 상태였 다. 분석된 천이계열을 바탕으로 외곽 도시림의 아까시나무 군락은 자연성과 생태적 건강성의 회복을 관리방향으로 설 정하였다. 생태적 천이 진행 및 유도관리는 아까시나무 밀 도관리, 숲가꾸기사업 중단, 식생복원모델 도입 등을 제안 하였다. 도심 도시림은 외곽 도시림의 지형별 천이계열을 목표식생군락으로 설정하여 생태적 천이가 중단된 지역을 대상으로 식생복원모델 도입을 통한 적극적인 식생복원을 제안하였다. 3) 도시화 지표종 제안 도시화 지표종은 도시림 식생구조 특성과 식생구조 변화 분석에서 나타난 종 중에서 도시환경의 영향에 따라 확산되 거나 세력이 증가하는 종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자생종으 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팥배나무, 때죽나무, 외래종으로는 고욤나무, 단풍나무, 가죽나무, 일본목련, 족제비싸리 등 총 7종을 관리 및 모니터링 대상종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가죽 나무, 일본목련, 족제비싸리는 도시환경 적응속도가 빠르고 급속도로 확산되는 성질이 있어 지속적인 확산방지 관리가 필요하였다. 인용문헌 김종원(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304쪽. 배재수, 이기봉(2006) 해방 이후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가 산림녹화 에 미친 영향. 한국임학회지 95(1): 60-72. 서울특별시(2001) 서울도시계획연혁. 1255쪽. 서울특별시(2010a) 도시생태현황도 정비·제작 -2차년도-. 464쪽. 서울특별시(2010b) 서울통계연보. 730쪽. 이경재, 최송현, 조재창(1992) 광릉 삼림의 식물군집구조(Ⅱ)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죽엽산 삼림의 식물 군집구조 분석-. 한국식물학회지 33(3): 173-182. 이경재 외 17인(1993) 도시 및 공업단지 주변의 Green복원 기술 개 발(Ⅰ). 환경처·과학기술처, 291쪽. 이수동(2005)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녹지의 연결성 평 가 및 연결기법 연구 - 서울시를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58쪽. 近田文弘(1992) 富士山におけるブナ林の復元. in 自然林の 復 元. 130-137pp.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Dubuque, Iowa, 194pp.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l65pp.
        4,000원
        3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0년을 시점으로 2010년까지의 코칭에 관한 국내 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코칭의 연구동향을 정리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코칭에 대한 기본 적인 이해를 돕고, 국내에서 보다 활발한 코칭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최근에 활 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형태별 연구 경향으로 학위논문이, 특히, 박사논문이 크게 증가 하고 있었다. 셋째, 대상별 연구경향에서 문헌연구는 10(24.39%)편, 조직 구성원 대상 연구는 12(29.28%)편, 조직의 리더인 관리자나 책임자 대상 연구는 13(31.70%)편, 기업 및 기관 등의 조직관련 연구는 6(14.63%)편로 나타났다. 넷째, 주제별 연구 경향은 코칭행동이 91(45.73%) 편, 코칭지식이 27(13.57%)편, 코칭유형이 26(13.06%)편, 코칭프로그램이 26(13.06%)편, 조직 관련이 19(9.55%)편, 코칭심리가 10(5.02%)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속변인별 연구경향은 종속 변인이 있는 경우가 129(57.79%)편, 종속변인이 없는 경우는 84(42.21%)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코칭 연구가 아동, 가족, 심리 등 다양한 분야로 활발히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던 기존의 코칭연구가 최근 ADHD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거의 전무했던 박사논문 또한 더 활발히 연구되고 배출되고 있어 코칭연구의 질적 향상이 기대된다. 이를 근거로 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코칭의 현장적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700원
        3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omposition of smoke released from fish frying processes. We selected 4 fish types (mackerel (M), hairtail (H), croaker (C), and japanese mackerel (J)) which are commonly served in our daily diet and collected their smoke samples. The analysis was made to cover both toxic and hazard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hat include benzene, toluene, p-xyle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butyl acetate, and isobutyl alcohol.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mean concentrations (ppb) of VOCs derived from all 4 fish types were 254.5 (benzene), 34.5 (toluene), 833.0 (MEK), 29.4 (MIBK). Benzene as the class one carcinogen was detected at fairly high levels from these fish smoke samples so as to exceed indoor emission standard. Considering that roasted fish is often included as one of the common diet items, we can confirm that the smoke released from cooking should be controll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ir exposure to human.
        4,000원
        34.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3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양환경 및 해양안전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학술지라고 할 수 있는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및 해양안전에 관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기준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의 학문적 구성을 고려하여 연구자의 소속, 연구자의 지역성, 연구 참여형태, 논문의 학제성, 논문의 연구방법, 논문의 연구영역 등으로 한정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4,000원
        3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리더십코칭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직의 리더십코칭을 주제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들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연도별․연구형태별․연구주제별․종속 변인별 연구 경향으로 살펴보았다. 연도별 연구 결과 총 41편 중 2005년도 이후의 논문이 34편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둘째, 연구형태별 연구경향은 학위논문이 27편으로 65.85%로서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대상별 연구경향으로 문헌연구가 24.39%,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29.28%, 조직의 리더와 책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31.70%였다. 넷째, 연구주제별 연구경향은 관리자의 코칭능력․코칭요인․리더로서의 코칭행동․조직에서의 코칭인식 등이 41.46%, 리더십향상․리더십교육 등의 코칭리더십이 36.58%,조직관련 연구가 12.29%, 프로그램관련 연구가 9.76%였다. 다섯째, 종속변인별 연구경향은 종속변인이 있는 경우가 31편으로서 67.39%, 없는 경우가 31.61%였다. 세부적 변인별로는 조직몰입․조직유효성․집단응집력․직무성과․직무만족도․리더십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의 리더십코칭 연구들을 연구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함으로서 조직의 리더십코칭에 관한 이해를 돕고 조직의 리더십코칭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5,200원
        39.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ect of participative and assigned goal setting on team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30 college students and their typing speed was tested. They were ordered on the basis of the typing speed and were divided into 15 pairs, with the members of each pair having similar typing speed. Members in each pai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Participants were asked to type materials provided by the experimenter for 20 day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words typ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rend between two cond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000원
        40.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gital era in the 21st century is globalized and is collapsed boundary among countries,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o be characterized most largely by proceeding with being a form like a federation and EU. A change into digital era brought about a change in all the aspects of human behavior and culture, not a change simply in temporal significance and technological significance. In recent days, all the services came to be possibly used the integrated device with the same network owing to innovation of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represented by digital, network, and internet. Now, the broadcasting industry, computer industry, and communication industry are exceeding the peculiar sphere by being mutually merged. Each of industrial sector centering on internet is showing the phenomenon of being united. The hybrid trend, which was formed by phenomenon in the complex digital media society, tended to be indicated in fashion and makeup design. As the digital media era was generated, the hybrid trend induced a change into society in open and horizontal idea. It came to be known that there is independent trend in each field even while organically working in the middle of the whole frame that fashion and makeup express a human being's external beauty. This implies that makeup is not what is always influenced by fashion as an accessory in fashion and a supplementary role, but what can show its contrary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which are shown in fashion and makeup due to hybrid influence with greeting the digital media era.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be conducive to objective data available for giving help to the future direction and marketing data in product of the relevant business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