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2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의 환경 속에서 중소·중견기업 리더의 온라인 코칭행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정 서적 조직몰입의 매개 여부, 그리고 사업환경 불확실성이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업종에 속한 중소․중견기업의 구성원 중 온라인 업무 경험이 있는 35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 AMOS23.0 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코칭행동은 구성원의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온라인 코칭행동과 조직성과 간에 직무만족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사업환경 불확실성은 온라인 코칭행동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라인 코칭행동과 직무만족 및 정서적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온라인코칭행동도 대면코칭행동과 마찬가지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현재와 같이 사업환경이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서 중소·중견기업들은 온라인 코칭을 활용하고 직무만족 및 정서적 조직몰입을 증진시킴으로서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600원
        2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조직에 코칭과 코칭리더십을 활성화시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조직의 발전을 도모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라북도 소방서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31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간부의 코칭리더십이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총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직접적인 영향(direct effect)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소방간부의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은 코칭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소방간부의 코칭리더십이 높아질수록 직원들의 직무만족은 증가하며, 직원들의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도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방간부는 업무를 수행할 때 조직의 목표와 비전을 실 현하기 위해서 직원들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할 수 있도록 코칭리더십을 발 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5,400원
        2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코칭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적용의 타당성 검토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와 면담을 통해 코칭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9명씩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12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6월 25일부터 동년 12월 3일까지 12주 동안 서울·경기지역 평생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40대-50대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증을 위해 코칭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난 후 회복탄력성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t-test 검정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분석은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등 3가지 하위영역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칭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에게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 절능력, 대인관계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정성의 경우 ‘생활만족도’를 제외한 ‘자아낙관성’과 ‘감사하기’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ACTIVE 코칭대 화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본 프로그램은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며,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8,000원
        24.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설문 조사는 울산에 소재한 12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최종 270부를 분석에 활용했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직무만족도에 직접효과를 미치지 않으나, 간접효과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었다. 둘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직무몰입에 직·간접적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칭리더십이 직무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 을 매개변수로 투입될 때 직무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의 직무자율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장의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자율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은 코칭리더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장의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자율성을 통해 교사들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학교 성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에 따른 이론적, 실증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6,300원
        25.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목표지 향성과 피드백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설문을 전국의 직장인 3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SPSS 26.0으로 신뢰도를 확보하고, AMOS 26.0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확인한 후, SPSS Process Macro 3.5로 부트스트랩 방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코칭리더십은 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 피드백추구행동,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은 그들의 피드백추구행동,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조직구성원의 피드백추구행동이 그들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과 피드백추구행동은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그들의 행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과 행복 간의 관계에서 새로운 매개변수로 학습목표지향성과 피드백추구행동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습목표지향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코칭 및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 피드백추구행동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6,700원
        26.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크리스천 유아교사를 위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수행하였다. 연구문제 1은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크리스천 유아교사를 위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5시간의 워크숍과 다자간 통화방식 및 52개의 받은말씀카드를 활용한 5일간의 ‘받은말씀선생님코칭’이 개발·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은 ‘캐롤리더선생님’으로 명명되었다. 연구문제 2는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구성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153 coaching paper’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양적분석과 ‘받은말씀선생님코칭’의 내용을 Word Cloud 방법으로 해석한 질적분석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크리스천 교사집단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유아교육기관과 교회학교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 되어 크리스천 리더십코칭에 대한 이론적 확장에 기여해야 하고, 실천적 입장에서 크리스천 리더십코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학습이 단계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7,000원
        27.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로․커리어 코칭에 대한 관심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각 연구결과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한국학술정보원(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의 학회지 원문서비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검색엔진(RISS) 및 국회도서관을 이용하여 관련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처리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전체효과 크기는 0.727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 관련해서는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이 비교과목으로 운영될 때 보다 교과목으로 운영될 때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코칭프로그램의 진행자 수에 따른 효과 크기 관련해서는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진행자가 3명인 경우로 참가자들에 대한 개별적 코칭이 이루어진 가장 경우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코칭프로그램의 형태에 따른 효과 크기관련해서는 그룹코 칭으로 진행될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으며, 다음으로는 그룹 및 혼합 코칭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 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5,700원
        28.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임산부의 상호작용 기술 증진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임산부 1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0일부터 31일까 지 상호작용기술 증진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을 위해 아동-성인 상호작용 코칭척도(CICAIO)로 SPSS 21.0를 활용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임산부의 상호작용 중 코칭 기술 활용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TREASURE Talk 코딩 시스템(TTCS)을 사용하여 전문가 간 일치도를 보았다. 연구결과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놀잇감 선정, 스크립트, 동영상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관심가지고 따라가기(T), 반영하기(R), 격려하기(E), 긍정으로 이해하기(U), 기억하고 표현하기(R1), 축하하기(E2)의 TREASURE Talk 코칭 기술이 증진된 것으로 효과가 검증되었다.
        5,200원
        2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사의 학습지도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동기가 향상되거나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코칭리더십이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소재 중학교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1.0과 AMOS 22.0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관계는 학생들의 학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교사의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관계는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학 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은 코칭리더십과 학업동기에 완전 또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효능감은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코칭리더십이 중학생의 학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동기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업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5,500원
        3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모를 위한 코칭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조모에게 GRAND모델을 활용한 코칭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손자녀를 둔 실험집단 조모 18명과 통제집단 조모 18명을 대상으로 조모코칭리더십 개발과 향상을 위한 도구로 코칭리더십 스크립트 1개와 동영상 3개, 놀잇감 4개, 동화스크립트 18개, 각색동화 18개, 코칭리더십 톡톡보물주머니와 3회기 총 8 시간과정의 코칭 리더십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한, 조모 코칭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을 위해 관찰을 통한 아동-성인 상호작용코칭척도(CICAIO), CCTV모델에 기반한 성인-아동 부정적 상호작용척도(ACNIS), 황금원 모델에 기초한 지필테스트 (KP),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에 의거한 톡톡보물주머니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예비-사전-사후-추후 검증의 단계를 거쳐 분석되었다. 그 결과 실험집단 조모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 및 검증되었다.
        6,900원
        3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래사회의 인성교육은 고등직업교육 단계에서 더욱 중요하기에 대학에서 인성교육의 강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주로 코칭의 대상으로서의 역할에 머물렀던 대학생들에게 코치로서의 코칭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예비사회인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으로서 효과성이 있는지를 검증하여 대학 내 인성교육의 다양성을 보완하고 인성교육의 도구로서 코칭의 활용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칭역량과 인성덕목과의 연계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하고 실험집단인 D대학의 인성교육 목표를 분석한 뒤 코칭역량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전, 사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코칭역량프로그램을 수행한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수강하기 전에 비해 자기인식 및 조절, 자기주도성, 창의성, 탁월성, 책임감, 경청, 질문, 피드백, 목표수립, 관계형성 등 10개 항목 모두 높은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코칭역량개발은 단지 코치로서의 마인드와 기술만을 발달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강자의 다양한 인성역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대학생의 전반적인 인성발달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대학 내 인성교육의 다양성을 보완하고 인성교육의 도구로서 코칭의 활용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4,200원
        3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새로운 교과과정 분야인 ‘코칭’의 학문적 영역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D대학에서 운영하는 ‘코칭리더십’ 교과과정을 2018년 2학기와 2019년 1학기 사이에 수강한 학생들이 D대학의 6대 역량과 관련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코칭리더십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 중 D대학이 추구하는 6대 역량의 변화를 e-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자기평가를 통하여 사전과 사후 결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6대 역량 중 대인관계 역량, 자기개발 및 관리 역량, 의사소통에서 가장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하위역량의 차이를 살펴보면 대인관계 역량에서는 관계형성, 협력, 리더십에서, 자기개발 및 관리역량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력에서, 의사소통 역량에서는 듣기/말하기와 토론 및 조정에서, 글로벌 역량에서는 외국어구사 능력, 정보기술 활용 역량에서는 정보/확산/관리력에서, 창의융합 역량에서는 분석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본 교과과정의 서술형 평가를 위해 총 61명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코칭실습 과정에서의 관계형성, 자신과 타인에 대한 정체성 확립, 목표설정의 중요성 인식,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력 등의 내용에서 코칭리더십의 교과과정이 의미가 있다고 밝혀졌다.
        5,400원
        3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다양한 업종의 구성원 중 총 396명에게 설문하여 34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5.0, AMOS 25.0를 사용하여 설문의 타당도를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의 코칭리더십은 긍정피드백, 창의적 자기효능감,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피드백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고,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다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첫째, 수평조직구조에서 주목받고 있는 코칭리더십이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이 필요한 바, 이를 위해 리더의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으로 모색하고 적용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6,400원
        3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조직지원인 식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SPSS 25.0을 통해 신뢰도를 확보했고, AMOS 25.0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타당도를 확인하고, SPSS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의 코칭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 회복탄력성, 행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은 그들의 회복탄력성, 행복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조직구성원의 회복탄력성이 그들의 행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과 회복탄력성은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그들의 행복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이 긍정정서축적과 확장이론에 의해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을 만들어 내고, 그들의 행복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증연구 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효과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직지원인식 과 행복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코칭 프로그램의 도입, 코칭문화 형성 및 지원, 그리고 회복탄 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6,000원
        35.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람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사람의 뇌이다. 사람의 뇌가 어떻게 진화하고, 작동되는지를 알면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뇌에서 생각하는 인지사고특성이 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코칭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중학교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AMOS 22.0을 이용하여 MSEM(다중집단 비교분석)등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인지사고 특성에 따라 학습양식과 코칭 리더십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코칭 리더십 유형에 따라 학습양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인지사고특성 중 추상적사고와 학습양식과의 관계에서 코칭 리더십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뇌과학이 강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경심리 기반 개인의 인지사고특성을 고려한 학습양식과 코칭 리더십의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개인의 인지사고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양식이 다르고, 코칭 리더십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고 있으므로 개인 인지사고특성을 고려한 학습방식과 코칭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5,500원
        36.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신입생들을 위한 선후배간 코칭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코칭 이전과 이후 피코치의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에 코치에게 ‘CMOE 5-STEPS coaching process’에 기반한 코치양성교육을 이수토록 하였다. 신입생 피코치 38명에 대해서는 선후배간 코칭을 시작하기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였다. 이후 3달 간 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피코치의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하여 피코치의 사회적응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대학환경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피코치의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 문제해결, 자기평가의 모든 하위척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관련하여 확실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미결정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피코치는 코치를 같은 눈높이를 가진 자신만의 정서적 후원자로 인식하고, 진로와 관련된 객관적 정보를 함께 탐색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6,000원
        3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개인이 대상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상태’로 정의되는 심리적 주인의식을 향상적 주인의식과 방어적 주인의식 으로 구분하였으며, 그중에서 긍정적인 향상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방어적 주인의 식이 향상적 주인의식의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직장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관계를 향상적 주인의식이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상적 주인의식과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서 방어적 주인의식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5,200원
        3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경제적 변화와 고용 시장의 불안 등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의 취업관련 교육과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은 그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사례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 교육 및 코칭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자는 제주시에 소재한 A대학에서 3up 학습 및 진로코칭 대상자 75명 중 본인이 코칭을 했던 9명이었다. 본 연구자는 9명의 코칭대상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5회 코칭을 진행하였으며, A대학 내 B센터에서 이루어졌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코칭프로그램은 B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뉴로피드백코칭이었고, 사용된 코칭대화모델은 5A모델이었다. 코칭사례분석은 대학생들이 코칭을 받기 전과 후의 만족도와 코칭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코칭을 받은 학생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슈 변화, 자신감 향상, 목표의 명료화, 진로탐색부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의 효과성과 함께 필요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장기적이고 보편적인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교육 개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700원
        3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코칭 프로그램과 코칭 교과목 운영 효과를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커리어코칭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2014년 동안 12차례에 걸쳐 진행된 코칭 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코칭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669명을 대상으로 현장실험설계와 질적 연구를 병행했다. 먼저, 코칭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현장실험설계에서는 연구대상자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에 속한 대학생들에게는 코칭 강의와 코칭을 병행하여 진행했다. 그리고 코칭 전후에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가족관계, 시간관리행동, 감성지능, 커뮤니케이션 역량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진행했고, 학점을 조사했다. 두 집단의 코칭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한편,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코칭을 받은 후에 작성하여 제출한 소감문과 보충면접 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코칭을 진행한 후에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가족관계, 시간관리행동, 감성지능, 커뮤니케이션 역량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코칭이 대학생 진로지도와 일상생활의 긍정적인 변화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인적 서비스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 커리어코칭 시스템(3C·A·N 모델)을 제안했다.
        6,300원
        4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육교사의 상호작용은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아동학대와 안전에도 영향을 미쳐 보육의 질을 저하 시킬 수 있다. 이에 보육교사의 상호작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호작용 역량은 쉽게 높여지고 있지 않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에게 의사소통의 새로운 대안으로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코칭기법을 활용한 상호작용 역량을 높여 어린이집에 취업 후 교사로서 영유아와 코칭을 적용한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졸업과 동시 보육교사 자격을 취득하게 될 아동복지학과 재학생 9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12주간 2시간30분씩 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코칭스킬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칭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코칭스킬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칭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코칭스킬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5,4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