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2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NS 사용자 간의 관계 유형을 감성공유관계와 정보공유관계로 분류하여 두 관계에 따른 사회감성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문헌에 근거하여 92개의 감성을 수집하여 적합성 검증을 수행한 후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26개의 사회감성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회감성은 관계 유형에 따른 요인분석을 통해 12개의 대표 사회감성과 13개의 대표 사회감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대표 사회감성은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하여 2차원의 공간에 매핑하여 사회감성 모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회감성 모델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요소들을 제거하였다. 타당성 검증 결과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감성공유관계의 사회감성 모델(CFI:.887, TLI:.885, RMSEA:.094)과 정보공유관계의 사회감성 모델(CFI:.917, TLI:.900, RMSEA:.050)의 적합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사용자 관계 유형에 따라 상이한 사회감성 모델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사회감성 모델은 SNS상에서 인간의 감성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평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사회감성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600원
        2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디스플레이 기술은 2차원 디스플레이에 제시된 영상으로부터 3차원 깊이감을 지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런은 디스플레이와 콘텐츠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실생활에서 경험하지 않는 시각피로의 문제를 경험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각피로를 안정적이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EEG(Electroencephalography)신호에 기반한 시각피로 측정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ERP(Event related potential) 성분 중에서 시각피로를 반영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해 2D 조건과 3D 조건에서 탐색적 실험을 수행하였고, 탐색적 실험에서 발견된 ERP 성분이 양안시차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Cz와 Pz 영역에서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2D 조건보다는 3D 조건에서 감소하였으며, 양안시차가 증가할수록 일관되게 P3 성분의 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안시차가 증가함에 따라서 주관적인 시각피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검증하였는데, 이 실험결과는 Cz와 Pz 영역에서의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3D 시각피로에 대한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300원
        24.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팀워크 개념 구조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 팀워크 척도(KATS)를 개발하 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실업팀과 대학 운동부에 소속된 단체 종목 성인선수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와 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귀납적 내용분석을 활용한 전문가 협의를 통해서 개방 형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개념 구조를 탐색하고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탐색적 요 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척도의 요인 구조를 파악하였고 개념신뢰도, 크론바흐 알파, 평균분산추출 분 석, 차이 검증, 상관분석을 통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개방형 설문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목표설정, 경기분석, 수행준비, 협동, 팀 정체성, 대인관계 요 인을 포함한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고 구성타당도와 공인 타당도, 신뢰도 검사 결과 적합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나타냈다. 집단차이 분석에서 실업팀은 대학팀보다 목표설 정, 경기분석, 수행준비, 팀 정체성에서 높은 팀워크 수준을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포츠 팀워크 측정 도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팀워크를 평가하기 위한 실용적인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25.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 구조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통하여 탁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 는 심리요인 구조를 재탐색하고 탁구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197명의 탁구선수들을 대 상으로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적합성 검증,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및 개념타당도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문항적합성 검증에서 신뢰도를 저해시키 는 1문항이 삭제되었다. 이후 선별된 34문항에 대하여 2차례에 걸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7문항이 .30이하 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삭제되었다. 다음으로 4요인 17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 었다. 선정된 최종모형은 불안과 정서조절(6문항), 시합전략(4문항), 자기통제(4문항), 자신감(3문항)으로 구성되었 다. 최종모형의 전체신뢰도는 .906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766∼.794로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형에 대한 개념타당도 검증을 위해 집중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 준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념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탁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요인 구조를 재검증하고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탁구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 리기술훈련이나 시합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6.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초등교사열의 척도가 국내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검토와 탐색적 요인분석결과를 토대로 21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최종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첫째,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문항별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추출된 모형의 적합도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척도의 준거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교사효능감, 교사-학생효능감과 초등교사열의의 요인들 간의 Pearson 적률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정서참여, 사회참여: 동료관계, 사회참여: 학생관계, 인지참여 등 4요인 16문항이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이에 대한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준거척도와의 상관분석결과, 교사열의척도의 하위요인들은 초등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 정보기자재효능감과 행정업무효능감와 낮은 상관분포를 나타냈으나, 자기조절효능감,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효능감, 생활지도효능감, 교과지도효능감과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은 초등교사열의의 하위요인들과 높은 정적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한국판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변별적 및 수렴적 준거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초등교사열의 척도에 대한 학교현장과 교사교육에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27.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도 디지털 기반 초연결사회를 살아가는 초‧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측정 하기 위한 디지털 시민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민성 측정 도구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척도개발에 적합한 문항을 구성한 후 2회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항 38개를 선정하였다. 그다음 서울, 경기지역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온라인 조사로 실시해 취합된 386명의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9개 문항, 6개 요인(디지털 보안, 공감, 사회적 책임, 디지털 자아정체감, 디지털 사회이해, 비판적 사고)으로 구성된 디지털 시민성 측정 도구가 도출되었다. 본 검사를 통해 취합된 417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 검증을 한 결과, 모두 권장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디지털 시민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92이며, 요인별로는 .70∼.89로 안정적인 척도임을 입증하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 분석결과, 본 척도와 청소년 디지털 시민성 도구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에게 활용 가능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 털 시민성 교육 및 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Maggiori, Rossier, Savickas(2017)가 개발한 진로적 응성 척도의 단축형(Career Adapt-Abilities Scale-Short Form)(CAAS-SF)을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타당화를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와 문항의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성별과 경력에 따라 척도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집단간 구인동등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을 통해 진로적응성 단축형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원척도 개발 당시 가정한 2차 요인모형이 우리나라 성인들의 자료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경력에 따른 구인동등성도 성립되었다. 진로적응성 단축형은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 4요인으로 구성되며, 각 요인은 전체문항과 개별 요인으로 사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적응성은 삶의 만족,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거관련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진로적응성 단축형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기술하였다.
        29.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국내 학생선수를 위한 라이프스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세 단계를 거쳤다. 연구참여자는 우리나라 학생선수 494명 (연구 1=29; 연구 2=233; 연구 3=232)이었다. 결과: 연구 1에서는 귀납적 내용 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9개 범주에 90문항이 개발되었다. 연구 2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요인이 추출되었다. 7요인은 목표설정(4문항), 시간관리(3문항), 스트레스 대처(3문항), 긍정적 생각(5문항), 갈등해결(5문항), 의사소통(3문항), 그리고 감정조절(3문항)이다. 연구 3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좋은 모델 적합지수를 나타냈다(x2/df=1.508, CFI=.938, TLI=.931, RMSEA=.047, SRMR=.056). 마지막으로,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스포츠 라이프스킬 척도는 동시타당도와 수렴타당도 검사를 통해 타당성이 입증되었고, 학생선수용 라이프스킬 척도(Life Skills Scale for Student-Athletes; LSSSA)로 명명되었다. 결론: 새롭게 개발된 LSSSA는 우리나라 학생선수들의 라이프스킬 하위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다.
        30.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사소진 척도(MBI-ES)를 국내 교사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학교에 재직 중인 교원을 대상으로 두 번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증, 기술통계, 문항 간 상관,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Rasch 모형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 및 통계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부적절한 문항들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이루어졌다. 내용 검토를 통해 측정요인과의 관련성이 적은 문항, 다른 문항과 내용이 유사한 문항, 의미가 모호한 문항 등을 수정 또는 삭제하였고, 통계 분석을 통해 문항 간 상관이 높은 문항, 문항 난이도가 낮은 문항, 문항 적합도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 요인계수가 낮은 문항 등을 삭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비인간화의 3요인 구조를 유지하되 10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 타당화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31.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준거를 개발하고,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된 평가 준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예비 국어 교사가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대하여 개발된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를 적용하여 4명의 현직 국어교사가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평가 준거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 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 간 신뢰도와 평가자 내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가자가 수업지도안 설계 과정이나 수업시연을 함께 공유하며, 수업지도안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둘째, 평가 준거 적합도의 경우 평가 준거 1(국어 학습목표의 명료한 설정)만 1.58 logit으로 부적합한 (misfitting) 평가 준거로 판정되었다. 이에 평가 준거 1은 학습목표의 개수, 학습목표의 설정 및 진술 방식, 교수학습 내용과의 유관함 등을 타당하고 평가할 수 있는 준거 설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평가 준거의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점과 2점의 척도 사용이 많지 않았고 4점 척도의 경우 척도의 대표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의 척도 수준을 여기서 제시 한 5점보다 낮춰 상, 중, 하 등의 3점 척도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32.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지도자의 진성리더십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탐색한 결과를 토대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방법: 스포츠 지도자의 진성리더십 구성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126명의 코치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도 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8명의 코치와 6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 과정을 통해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요인구조 및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325명의 코치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 하였다. 결과: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접을 통해 1,076개의 원 자료가 도출되었으며,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포츠 지도자의 진성리더십 구성요인은 자기성장, 진실한 태도, 균형 잡힌 지도행동 및 인간적인 소통의 4요인으로 나타났다. 탐색한 결과를 토대로 60문항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코치 170명이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성장 4문항, 진실한 태도 3문항, 균형 잡힌 지도행동 4문항, 인간적인 소통 4문항의 4요인 15문항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코치 155명이 응답한 내용을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인의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는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 분석을 통해 개념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다른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외적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론: 개발된 척도는 코치들의 진성 수준을 확인하고, 다른 심리요인들과의 영향력 검증을 위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33.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실연 평가의 준거는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수업 평가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의 연계성’, ‘교실 상호작용’, ‘교사의 언어· 행동 자질’의 3가지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14가지 준거의 5점 척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등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수업 실연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2학년 재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현직 국어 교사 4인이 수업 실연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국면 Rasch 모형을 근거로 제작된 Facets Minifa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실연 평가에 나타난 평가자의 엄격성 차이는 –1.34 ~ -.99 logit까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평가자 내 일관성은 내적합도 기준(0.5~1.5 logit)에 따라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고 있음을 보였다. 수업 실연 평가 범주별 타당성에 대한 분석 결과, 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4) 피험자가 느끼는 곤란함은 모든 평가기준에서 동일하였다. 평가자와 평가기준의 편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편향은 도출되지 않아 평가 기준을 해석 및 적용하는 기준이 신뢰할 수 있음을 밝혔다. 평가 도구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2점 척도의 적합도에 다소 문제가 있으나 피험자와 평가자 수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므로 추후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추가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수업 실연의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3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Weiss, Bolter, 그리고 Kipp (2014)에 의해 개발된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Life Skills Transfer Survey; LSTS)를 가지고 한국형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로 타당한 측정도구인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3단계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단계 1에서는 원척도 8요인 50문항을 바탕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단계 2 에서는 중·고생 323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LSTS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 3에서는 새로운 연구 참여자인 377명의 중·고생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STS는 8요인 38문항으로 추출되었다(도움주고받기 7문항, 건강관리하기 5문항, 다름인정 3문항, 만나기와 인사하기 6문항, 목표설정하기 5문항, 친구 갈등해결하기 4문항, 형제 갈등해결하기 4문항, 그리고 감정조절하기 4문항).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들은(CFI=.909, TLI=.900, RMSEA=.051, SRMR=.056) 8요인 38문항으로 구성된 KLSTS의 요인 구성 타당성을 제시했다. 결론: KLSTS는 국내 청소년들의 라이프스킬 전이 정도를 검사하는 타당한 측정도구로 밝혀졌다.
        3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용 다문화 행동의도 척도(MBI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 개념에 적합한 초기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 관련 전문가에게 내용타당 도를 검증 받아 총 18문항의 예비조사용 도구를 확정하였다. 예비조사는 42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수집된 자료 중 91.2%(388부)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문항의 신뢰도와 구성타당도에 대한 검토로 1차 EFA와 CFA의 절차를 거쳐서 총 18문항의 본 조사용 청소년의 MBIS를 개발하였다. 본 조사에는 예비조사와 다른 집단의 청소년(840명)을 표본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90.7%(762부)의 유효자료를 이용하여 본 조사 도구(18문항)에 대한 2차 EFA,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최종적으로 청소년 MBIS는 3요인구성의 총 16문항(Cronbach's α=.965) 으로 개발되었다. 요인 1은 상호문화 소통행동의지(6문항, α=.934), 요인 2는 다문화 원조행 동의지(5문항, α=.945), 요인 3은 다문화 공존행동의지(5문항, α=.909)로 명명하였다. 개발된 MBIS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차 CFA를 수행한 결과 최종 MBIS의 모델 적합도 지수가 모두 판정기준을 지지하였으며(SRMR=.035, RMSEA=.083, GFI=.904, NFI=.947, TLI=.946, CFI=.946),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개념신뢰도 및 AVE 등을 통해 수렴 타당도,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 등이 확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청소년 MBIS의 의의와 이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36.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HEXACO 성격 이론을 게임캐릭터에 적용하여, 게임에서 캐릭터가 다양한 성격을 표현하고, 다른 캐릭터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HEXACO PI-R은 현실을 기반으로 한 검사이므로 현실과 다른 특성을 지닌 게임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게임 캐릭터에 성격 특성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HEXACO PI-R을 변환시킨 게임 HEXACO(Game HEXACO, G-HEXACO)가 필요하다. G-HEXACO를 제안하기 위해서 우 선 HEXACO PI-R이 게임에 활용하기에 적절한 이론임을 증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HEXACO PI-R과, HEXACO 의 6 요인과 관련된 게임 문항을 설문하였다. 이 설문 결 과를 바탕으로 하여, G-HEXACO성격 검사를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게임 캐릭터에 성격을 적 용하는데 있어, G-HEXACO 성격 검사가 HEXACO PI-R을 대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7.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A Quality of Life Survey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promotion research, based on a working definition of Quality of Life as: a subjective, multidimensional, integrative construct that reflects optimal well-being and positive health(Gill, et al., 2011).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Korean version of the Quality of Life(QoL) Survey and assessed its validity. Methods: We developed the Korean version using established cross-cultural translation and validation techniques, with related QoL and physical activity measures used for validity. The first steps were developing an initial Korean version of the QoL measure through a series of translations and back-translations, and giving both the English and Korean versions to university students and community members who speak both Korean and English(N= 39). Next, to establish reliability and validity, we recruited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N=351)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item analysis with the overall measure and each sub-domain scale, as well as concurrent/construct validity analysis through relationships with conceptually-related measures(WHOQOL-BRE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physical activity to explore construct validity. Results: Correlations between Korean and English(N=39) were .382~.919, Cronbach's α of Korean version is .95, English version is .9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N=351) with 7 sub-factors showed good model fit(RMSEA .06, CFI .91, TLI .90). Cronbach’s α for sub-scales ranged from .65~.92, correlations with WHOQOL-BRIEF from .30~.60(p<.01), correlations with SWLS from .33~.48(p<.01). Conclusion: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QoL survey.
        38.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자아탄력성 개념을 탐색하여 구조화하고, 타당화 과정을 통해 운동선수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운동선수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운동선수 8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내용의 유사성에 따라 원자료를 세부영역으로, 다시 세부영역은 일반영역으로 귀납적 범주화하였다. 귀납적 범주화 결과, 운동선수 자아탄력성은 사회적지지, 기대, 동기, 정서, 중재전략, 능력의 총 6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6요인의 세부영역 내용을 토대로 대학선수 110명에게 운동선수 자아 탄력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운동선수 자아탄력성의 개념 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대학선수 22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운동선수 자아탄력성은 능력, 동기, 사회적지지, 중재전략, 기대의 총 5요인으로 구조화 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5요인의 구조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선수 31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운동선수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는 최종 5요인 1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측정도구는 강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인정되는 측정도구로 확인되었다.
        39.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당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탐색된 하위요인의 속성을 명확히 측정할 수 있는 당구 심리기술 검사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개발된 당구 심리기술 검사지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50명의 국내 정상급 당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내용 범주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전국 당구선수 372명(표본 A 186명, 표본 B 186명)을 대상으로 표본 A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표본 B 자료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예측타당도, 구인동등성 검증, 잠재평균 비교분석을 통해 당구 심리기술 검사지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신감, 불안조절, 주의집중, 심상, 목표설정, 행동루틴, 환경탄력성의 7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당구 심리기술 검사지의 27문항은 7가지 하위요인의 속성을 명확히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당구 심리기술 검사지는 타당성이 확보되어 신빙성 있는 측정도구임을 입증하였다.
        40.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운동상황에서 선수들이 인식하는 코치의 통제적인 코칭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Bartholomew, Ntoumanis와 Thøgersen-Ntoumanis(2010)의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Controlling Coach Behaviors Scale; CCBS)가 국내 스포츠 상황에서 타당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통제적 코칭행동은 보상 활용을 통한 통제, 과도한 개인통제, 위협·협박 그리고 부정적인 조건적 관계 등 총 4요인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 소재 구기종목 운동선수 287명을 대상으로 번안된 척도의 타당 화를 검증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하게 4요인 15문항이 모두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각 요인에 속하는 문항들이 모두 원척도와 동일한 공통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척도에 대한 모형적합성이 수용기준에 충족되었다. 또한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의 4가지 하위변인은 통제적 코칭행동과 상반되는 코치의 자율성지지 변인과 모두 부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타당성 검증을 통해 확인된 통제적 코칭행동 척도는 향후 코치의 통제적인 행동전략을 파악 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며, 이러한 통제적인 행동이 선수들의 동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