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29.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SA 용액의 전량 한외여과에서 막모듈의 중력에 대한 경사각(0~180°) 변화에 따라 유발된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NCIF)의 막오염 제어 효과를 플럭스 증가 정도로 측정하고 막힘여과 모델로 해석하였다. 막모듈의 경사각이 0°에서 180°로 커질수록 NCIF 유발이 증가하여 막오염 제어 효과가 커져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NCIF의 유발이 가장 큰 경사각 180°에서의 플럭스 값을 NCIF의 유발이 없는 0°에서의 값과 비교한 결과, 2시간의 단기간 운전에서는 플럭스 향상성이 5배, 20시간의 장기간 운전에서는 17배까지 증가하였다. 막힘여과 모델을 적용하여 NCIF의 유발에 따른 플럭스 증가 효과를 해석한 결과, 운전시간 15분 이내에서는 중간막힘 모델 그 이후에는 케이크여과 모델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였다. 막모듈 경사각 180°에서 유발된 NCIF는 15분 이내의 운전 초기에는 중간막힘 오염을 67%까지 감소시키고, 그 이후의 운전 시간에서는 케이크층 오염을 99.9%까지 감소시켰다. 따라서 막모듈에 유발된 NCIF의 주된 막오염 제어 기작은 케이크층 형성을 억제시키는 것이었다.
        4,300원
        3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외선차단 화장품은 기능성 화장품 중의 하나로서, 유·무기 자외선차단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주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입자의 지름이 60 ~ 100 nm로 자외선 A, B의 차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외선을 포함한 태양광선에 대해 비활성이 크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유기계 자외선차단제처럼 피부에 흡수 또는 축적되지 않으므로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판상 무기안료인 마이카, 자외선차단 효과를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소수성 실리카를 각각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 하였고, 각 물질의 전하 차이에 따른 비화학적인 상호 인력 작용에 의해 마이카에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실리카를 물리적으로 흡착시켰다. 이후, 소수성 표면처리제인 실란을 표면처리 하여 소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는 일반적인 나노입자 이산화티탄의 응집성을 개선하고 균일한 분산에 따른 자외선차단 효과가 증대되었으며, 소수성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화장품 제형에서의 분산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안료의 표면전하는 제타전위로 평가하였으며, 제조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의 특성 평가는 FE-SEM, XRD, FT-IR, UV-VIS 등으로 확인하였다.
        4,000원
        32.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α-lipoic acid in diluted solvents on cell growth in 3T3-L1 cells according to the treated concentration and times. Methods: Adipocyte 3T3-L1 cell were cultured. Confluent cells underwent starvation with SFM for 1 day and then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0, 100, 200, and 400 μmol/L of α-lipoic acid.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EZ Cytox assay kit. In addition, the effect of α-lipoic acid of diluted solvents on the cell growth in 3T3-L1cell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treated concentration and times. Results: The α- 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The α-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duced adipocyte 3T3-L1 cells proliferation with an adipocyte inducer. In addition, α-lipoic acid inhibited adipocyte 3T3- L1 growth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treatment with α-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hibits cell growth of, adipocyte 3T3-L1 cells induced with an adipocyte inducer, (200 μmol/L of α- lipoic acid) treated for 48 hr.
        4,000원
        33.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iform TiO2 blocking layers (BLs) are fabricated using ultrasonic spray pyrolysis deposition (USPD) method. To improv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the BL thickness is controlled by using USPD times of 0, 20, 60, and 100 min, creating TiO2 BLs of 0, 40, 70, and 100 nm, respectively, in average thickness on fluorine-doped tin oxide (FTO) glass.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the DSSC containing the uniform TiO2 BL of 70 nm in thickness shows a superior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7.58±0.20% because of the suppression of electron recombination by the effect of the optimized thicknes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mainly attributed to the increased open-circuit voltage (0.77±0.02 V) achieved by the increased Fermi energy levels of the working electrodes and the improved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15.67±0.43 mA/cm2) by efficient electron transfer pathways. Therefore, optimized TiO2 BLs fabricated by USPD may allow performance improvements in DSSCs.
        4,000원
        3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청광차단렌즈의 광학적인 성능을 분석하고, 청광차단렌즈가 디스플레이의 색상 및 선명도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시감투과율이 80% 이상인 16종의 청광차단렌즈를 대상으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청광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카메라 화질 평가 장비를 이용하여 청광차단렌즈에 의한 LED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과 선명도 의 변화를 휘도별(20 nit, 110 nit, 400 nit)로 측정하였다. 결과: 청광차단렌즈의 광학적인 특성은 제작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코팅렌즈(n=8)는 착색렌즈(n=8) 보다 시감투과율과 청광투과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코팅렌즈는 시감투과율과 청광투과율이 유 의한 상관성을 보였지만(r=0.714), 착색렌즈는 시감투과율과 청광투과율이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청광차단렌즈(n=16)는 시감투과율과 청광투과율이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지만(r=0.433), 시감투과율과 청 광투과율은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과 선명도의 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청광차단렌즈는 휘 도가 높은 조건(400 nit)에서 색재현성과 선명도를 향상시켰지만, 휘도가 낮은 조건(20 nit, 110 nit)에서는 색재현성과 선명도를 저하시켰다. 결론: 청광차단렌즈의 광학적인 특성이 제작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청광차단렌즈가 디스플레이의 색상 및 선명도에 미치는 영향이 휘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청광차단렌즈의 성능에 대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35.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Recently, The need for ultraviolet blocking contact lenses has increas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ultraviolet blocking contact lenses for domestic hydrogel contact lens wearer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57 adults who were wearing domestic hydrogel contact lenses and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The result of recognition of ultraviolet blocking contact lenses 77.4% (199 persons) of respondents who did not know it and 22.6% (58 persons) who know it wa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of contact lenses ultraviolet blocking was very important 16.7% (43 persons), important 40.9% (105 persons), usually 27.6% (71 persons), not important 12.5% (32 persons), not very important 2.3% (6 persons). the result of a method for protecting the eyes from ultraviolet rays was sunglasses 52.5% (135 persons), don't do anything 42.4% (109 persons), ultraviolet blocking eyeglasses 3.1% (8 persons), ultraviolet blocking contact lenses 1.9% (5 persons). result of the contact lens product manual confirmation was 82.5% (212 persons) of respondents who did not confirm were the highest respondents and 17.5% (45 persons) of respondents who confirm. Conclusion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very unaware of ultraviolet blocking contact lenses. the rate of wearing ultraviolet blocking contact lenses for protecting the eyes from ultraviolet rays was also low and many respondents did not check contact lens product manuals.
        3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work, we studied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NCIF on defouling for a range of solutes that foul (BSA protein) and form cakes (alumina colloids) on the membrane thereby causing severe reduction in the flux. Changing the gravitational orientation of the batch cell induces NCIF in the membrane module and higher inclined angle offers stronger NCIF. This induced NCIF enhances back transport of the deposited solutes away from the membrane surface, therefore gives for the improvement of membrane performance. The flux results according to the inclined angles (from 0° to 180°) of the batch cell were analyzed by the pore blocking filtration model. It was shown that NCIF reduced the fouling of intermediate pore blocking by about 66% at the beginning of UF operation, and thereafter reduced the fouling of cake filtration by about 98%.
        37.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제품들은 대부분 이백만 화소 이상인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의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예를 들어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화소수는 320x240이며, 인터넷 스트리밍 동영상은 대부분 720x480이하이다.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보간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 의해 화질이 열화 된다. 특히 영상 확대에 따른 블로킹잡음 (blocking noise)의 가시성 증가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화질 저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간된 영상을 대상으로 한 블로킹 잡음 저감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에지를 보존하며 블로킹 잡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또한, 간단한 사칙연산, 비트연산과 비교연산만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에서의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4,300원
        38.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e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for copolymers produced by adding 3-Iodoaniline and 3-chloroaniline to the various monomers commonly used for ophthalmic contact lense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basic hydrogel ophthalmic lens material with addition of 3-Iodoaniline and 3-chloroaniline respectively were polymerized by heating at 80℃ for 20 mins, and then 110 ℃ for 40 mins. To produce contact lenses, a cast mould method was used. The produced contact lenses samples underwent the pre-process by being hydrated in 0.9% NaCl saline for 24 hours. Afterward, their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refractive index increased and the water content decreased as the ratio of additive increased. The measurement of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copolymerized polymer with addition 3-Iodoaniline showed that the transmittance for visible ray, UV-B and UV A is 89.4~90.8%, 2.0~15.2% and 40.6~67.8%, respectively. Also, for samples with addition 3-Iodoaniline, the transmittance for visible ray, UV-B and UV-A was in the range of 89.8~90.6%, 5.0~22.2% and 57.6~73.8% respectively.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a wider application of contact lenses containing aniline group which are to be used as ultraviolet ray blocking contact lenses.
        39.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의 생산으로 인해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성 과정에서 원본과 다른 데이터로 변형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UCC의 경우 해상도 측면에서 화질의 저하가 발생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것이 바로 블록형 재깅 결함이다. 본 논문은 해상도의 급격한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하는 블록형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방법과 은닉 마코프 모델을 기반으로 블록형 재깅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들에 비해 디테일을 유지하면서도 재깅 결함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40.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JPEG 코딩에 따른 잡음에 대한 효과적인 저감 방법을 제안한다. JPEG 코딩에 의한 대표적인 잡음으로는 블록 잡음과 링깅 잡음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잡음들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 방법들은 영상 내부의 모든 블록을 처리함에 따라 과도한블러링 뿐만 아니라 처리시간의 증가와 메모리 양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잡음의 검출과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모든 블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계산량 및 메모리 양을 감소시킨다. 검출 과정은 영상의 DCT 계수만을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된다. 다양한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4,8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