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2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혼합유산균 2종(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Bf141와 Lactobacillus rhamnosus Lb102)의 섭취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 체지방, 제지방, 골밀도 등 주요 체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혼합유산균은 식욕 조절 효과를 위해 측정한 사료 섭취량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간 조직 무게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인슐린저항성과 포도당신생합성의 주요 지표인 공복혈당량 또한 혼합유산균 급여에 의해 변화 하지 않았다. 또한 혼합유산균은 심혈관질환의 지표로 사용되는 혈중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체내 지방의 소화 및 흡수율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식이유도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혼합유산균(Bf141 + Lb102)의 항비만 생리활성 을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물리적, 대사적 표현형 개선은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개별 보다 다양한 혼합 조건 및 농도로 연구를 설계하여 혼합유산균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4,000원
        2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Discorea Japonica Thunb. fermented with Monascus After inducing obesity by feeding hight fat diet (diet induced obesity model: DIO) for four weeks, each 8 rats were assigned to normal (Nor), high fat diet (HF), high fat diet containing orlistat (PC), high fat diet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Discorea Japonica Thunb. fermented with Monascus (UPDM_L, UPDM_H) and Discorea Japonica Thunb. (UPD) extract. Although the UPD, UPDM_L (ultrafine pulverized Discorea Japonica Thunb. fermented with Monascus: 400 mg/kg) and UPDM_H (DIO oral administration ultrafine pulverized Discorea Japonica Thunb. fermented with Monascus: 800 mg/kg) showed weight gain inhibition effects, the results of poor obesity inhibition rather than PC were confirmed. However, it showed a more effective weight loss effect in UPDM_H than UPD, and significantly reduced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and subcutaneous fat.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anti-obesity effects of Discorea Japonica Thunb. fermented with Monascus can be confirmed by observing the effects of reducing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 concentrations, reducing ALT and AST levels, and inhibiting fat build-up in liver tissue. It is believed that Discorea Japonica Thunb. fermented with Monascus can be expected to utilize as a functional material that is important to improve anti-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4,200원
        2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dministering dietary tomato powder (TP; 1, 5, and 10%) to mice with high-fat diet (HFD)-induced obesity for 12 weeks. The TP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using unmarketable tomatoes. Male C57BL/6J mice (n=60)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amely, CON, mice fed a basal diet (10% fat); HFD, mice fed HFD (60% fat); HFD+TP1, mice fed HFD (60% fat) supplemented with 1% TP; HFD+TP5, mice fed HFD (60% fat) supplemented with 5% TP; HFD+TP10, mice fed HFD (60% fat) supplemented with 10% TP. The HFD+TP10 group showed lower final body weight (34.23 g) than the HFD group (39.41 g), along with decreased epididymal fat weight (p<0.05). In addition, the HFD+TP10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136.32 and 33.20 mg/dL, respectively) that the HFD group (175.68 and 59.52 mg/dL, respectively). Increased serum leptin and insulin levels (66.36 and 1.80 ng/mL, respectively) in mice with HFD-induced obesity could be rescued in mice fed HFD supplemented with 10% TP (35.94 and 1.23 ng/mL,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epididymal fat content and hepatic steatosis area showed a dose-dependent decrease with increase in dietary TP supplementation. The anti-obesity effect of 10% TP was linked to reduced serum trimethylamine-N-oxid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10% TP was effective at inhibiting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serum and tissue, and ameliorating lipid metabolism disorders observed in HFD-fed mice. In addition, such utilization of unmarketable tomato to inhibit obesity-associated pathologies is expected to add value and increase profits in the functional food industry.
        4,600원
        25.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uscle undergoes change continuously with aging. Sarcopenia, in which muscle mass decrease with aging, is associated with various diseases, the risk of falling, and the deterioration of quality of life. Obesity and sarcopenia also have a synergy effect on the disease of the older adults. O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for sarcopenia, sarcopenic obesity, and sarcopenia without obesity and developed prediction models. Methods: This machine-learning study used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n the analysis. After data curation, 5,563 older participants were selected, of whom 1,169 had sarcopenia, 538 had sarcopenic obesity, and 631 had sarcopenia without obesity; the remaining 4,394 were normal.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models were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Results: The risk factors for sarcopenia chosen by both methods were body mass index (BMI) and duration of moderate physical activity; those for sarcopenic obesity were sex, BMI, and duration of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those for sarcopenia without obesity were BMI and sex. The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of all prediction models exceeded 0.75. BMI could predict sarcopenia-related disease. Conclusion: Risk factors for sarcopenia-related diseases should be identified and programs for sarcopenia-related disease prevention should be developed. Data-mining research using population data should be condu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arly treatment for people with sarcopenia-related diseases through predictive models.
        4,000원
        2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cornia europaea L. (SE) as a halophyte has been widely used as a seasoned vegetable with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desalted SE (DSE) has been considered an attractive alternative compared to SE for its anti-obesity effect. 1-Deoxynojirimycin (1-DNJ) is one of the known α-glucosidase inhibitor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similar biological activities with SE. This study reports the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SE fermented by Bacillus velezensis K26 (BVDSE) previously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elucidated to produce 1-DNJ in 3T3-L1 adipocytes and RAW264.7 cells. BVDSE (5%)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3T3-L1 cells and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which was decreased to 23% in the differentiated cells. BVDSE did not inhibit the release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TNF-α, while it remarkedly inhibited IL-6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264.7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rmentation of DSE with B. velezensis K26 as a 1-DNJ producer has more significant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even non-fermented DSE, assuming the synergistic effects by 1-DNJ production from B. velezensis K26, by which it could be highlighted that BVDSE may be considered for use as a functional food supplement.
        4,000원
        27.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만 40-60세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0주간 스마트머신 순환운동이 체조성, 폐기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n=8), 대조군(n=6)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스마트머신 순환운동은 주 3회, 회당 55분으로 유산소 운동의 강도는 스마트머신과 POLAR T31이 연동 되어 스마트머신에 적용되며, 1-4주차는 40-50%HRR, 5-8주차는 50-60%HRR, 9-10주차는 60-70%HRR을 적용하였고, 저항성 운동의 강도는 스마트머신을 이용하여 등속성 운동 기반으로 대상자들의 1-RM test의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1-4주차는 1-RM의 40%, 5-8주차는 1-RM의 60%, 9-10주차는 1-RM의 80%를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엉덩이둘레비율에서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폐기능의 FVC는 시기 간 주 효과와 사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FVC 및 FEV1은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TC 및 TG는 시기 간 주 효과가 나타났으며, TC, TG 및 HDL-C는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Insulin, Glucose 및 HOMA-IR은 운동 전·후 시기 간 차이에서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주간 스마트머신 순환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조성, 폐기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중년여성의 비만을 개선하거나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라고 사료된다.
        4,300원
        29.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송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을 급여 한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생후 6주령의 흰쥐에 정상 식이를 급여한 군(ND), 정상 식이에 20%의 돈지(Lard)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L), HFD 식이에 simvastatin을 0.3%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S) 등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간 체중의 증가율은 HFD+SL군과 HFD+SS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ND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을 첨가하여 급여한 HFD+SL군의 비만이 억제되었다. ND군의 식이섭취량은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HFD+SL군과 HFD+SS군에 비해서는 고도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및 중성지방(TG)의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와 LDL-C/HDL-C 비율도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급여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 간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으나 혈당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HFD+SS군 모두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간 기능 손상의 척도를 나타내는 AST와 ALT 효소의 활성은 모든 실험군 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ALP 효소의 농도는 HFD에 비해 ND군 와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식이의 급여가 흰쥐의 ALP 농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 5주와 6주 사이에 배출된 분변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HFD+SL 군이 배출한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이 HFD군과 HFD+SS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HFD식이에 함유된 일부의 지질과 콜레스테롤이 꽃송이버섯에 의해 장 내로 흡수되지 않고 분변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실험군의 간 조직을 적출하여 oil red O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HFD군에서는 심한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나 HFD+SS군은 ND군과 같이 지방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HFD+SL군의 간 조직에서는 소량의 지방 방울이 관찰되어 꽃송이버섯의 자실체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자실체는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체중증가, 혈청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에 효과가 있어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0.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문도 해역에 자생하는 홍합의 수심별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공존 또는 경쟁하며 생활하는 주변 저서 생물상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홍합은 수심이 낮은 곳에서 밀도가 높고 비만도가 낮은 반면, 수심이 깊어질수록 밀도가 낮고 비만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형태적특성도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장과 전중량의 상관관계식에서도 수심 2 m에 비하여 수심 12 m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수심에 따라 각장이나 각고의 성장 및 전중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중 해조류는 홍합의 패각을 기질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소형생물과 주변환경에 서식하는 대형생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암반조하대의 서식특성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광 량에 영향을 받아 밀도 및 생체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저서동물은 팔각따개비가 홍합의 패각과 주변 서식공간에 모두 분포하고, 굴의 경우는 함께 분포는 하고 있다. 그러나 수심 2 m 지점에서 굴이 우세한 지점에서 홍합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홍합이 우점하는 수심이 깊은 지점에서는 굴이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두 종 간의 공간경쟁에서 수심에 따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 대형 해조류가 번성하는 지역의 경우, 홍합의 군집이 발달하지 않고 있어 대형해조류의 서식 유· 무에도 홍합의 생존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500원
        3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asic data of Cirsium setidens Nakai fine powder (FPC), which will the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items. We measures and evaluated the level of pectolinarin content, phenol content, flavonoids content,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properties of FPC. Our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that the pectolinarin, 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of FPC measured at 10.95±0.15 mg/g, 12.92±0.18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and 26.47±0.77 mg rutin equivalent (RE)/g, respectively. The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of FPC increas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osage, and additionally. FPC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up to the dosage level of 500 μg/mL.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FPC significantly inhibited RO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subst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PC could be considered a promising re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and could serve a variety of health-improving roles in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4,000원
        3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ife-friendly, wrap-one-piece style dance sports practice wear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abdominally obese women. These types of practice wear allow people to enjoy exercise easily and to wear these garments as daily wear while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dance sports wear. The three participan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all women with five or more years of dance sports experience and were all average sized on Korea’s abdominal obesity scale.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practice wear was created in a total of nine styles with three different styles of neckline depths for three different styles of dress skirt lengths.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the practice wear was created in 15 styles with five different styles of sleeve lengths for three different styles of waistline heights. After analyzing the design prefer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fit preferences of the designs were evaluated and the final appearance was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a pattern. The results of the subjects’ first and second preference evaluations showed a preference for a 10 centimeter neckline depth, for high waistlines, and for elbow to wrist-length sleeves. The implementation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extensive, as it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aking lifestyle dance sports practice wear that covers the physical insecurities of middleaged, abdominally obese women and enables them to enjoy their leisure time.
        4,900원
        3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통합비만관리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비만지수, 생활습관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4~6학년 아동으로 실험군 30명과 대조군 28이었다. 통합비만관리프로그램은 교육프로그램 주 1회, 운동프로그램 주 3회로 구성하여 8주간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체질량지수는 25.83kg/m2에서 24.82kg/m2로 감소하였고(p<.05), 체지방률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p<.05), 비만도도 개선되었다 (p<.01). 그러나 근육량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중재 후 생활습관(p<.05)), 식이 자기효능감(p<.001), 운동 자기효능감(p<.05)은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통합비만관리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비만아동들의 비만도와 비만을 감소시키는 생활습관 개선 및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4,300원
        34.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 by incorporating medical, economic and marketing research perspectives to shed lights on the growing problem across all ages and socioeconomic strata. We draw up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literature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ajor causes as well as proposed remedies. Some are more likely to be more successful in addressing the difficult problem. Our conclusion is that as the issues are quite complex, no one single solution will work. It probably will require all stakeholders to be involved in order to come up with a reasonable solution to address this difficult problem. More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especially research involving cross country comparison to provide greater insights since this problem has become a global problem and not just confined to the developed economies in the West.
        4,000원
        3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oot of Codonopsis lanceolata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mparative effect of ethanol solvent extraction (CLE)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CLS) of C. lanceolata roots. CLS had higher antioxidant than CLE. For supercritical co-solvent modified carbon dioxide extraction (CLS), it were extracted at 250 bar 50℃ 150 min at a flow rate of ethyl alcohol 3 mL/min for 90min. In addition, CLS inhibited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When treated with the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e Wnt/β-catenin pathway reporter luciferase activity of HEK 293-TOP cells increased approximately by 3-folds compared to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lso, the treatment by CLS (50 μg/mL)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involucrin ex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of C. lanceolatamay serve as a cosmeceutical agent for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and the treatment of obesity.
        4,000원
        3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전 필라테스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출산 후 여성의 장내미생물, 신체구성, 혈중지질, 비만호르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총 15명의 임산부를 운동+프로바이오틱스섭취군(PEX, n=5), 운동군(EX, n=5), 대조군(CON, n=5)으로 구분하였다. PEX 집단과 EX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였고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실시하였으며, PEX 집단은 매일 공복에 프로바이오틱스 1 캡슐을 섭취하였다. 그 결과 출산 후 PEX 집단의 체지방 및 WHR 수치가 감소하였다. 장내미생물의 변화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미큐테스, 박테리오데스의 구성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 호르몬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PEX 집단에서 사후 렙틴, IL-6, TNF-a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혈중 지질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출산 전 필라테스와 프로바이오틱스 병행 처치는 출산 후 여성의 복부지방 감소에 효과적이며 염증 및 비만 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산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4,800원
        3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대생 900명을 대상으로 물 섭취량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건강체력 및 비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정은 건강체력요인 체력에 근력(악력, 배근력),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유연성(앉아앞으로굽히기) 심폐지구력(하버드스텝)을 측정하였고, 체성분 측정기기 Inbody를 이용하여 신체조성(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 체지방량)과 비만(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도)의 각 항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를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체력과 비만에 대한 물과 커피 섭취량 집단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각 독립변인 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체력요인 중 체력요인은 물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조성(세포내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에서 물 7잔 이상 섭취 집단이 1∼4잔 섭취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커피는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비만요인의 경우 물 섭취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커피의 경우 비만도에서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비만도가 높게 나타나, 커피는 물과 달리 비만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차후 물과 커피와 같은 다양한 음료 섭취에 대한 성별, 연령대별 차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진다면 보다 나은 건강을 위한 개인별 특성에 따른 수분 섭취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0.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obesity in the elderly older than age 65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245 elderly older than age 65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survey and nutrition survey, 45.8% of the subjects were males and 54.2% of the subjects were female. 37.5% of all the elderly were obese, and the females (42.4%) were more obese than the males (31.8%) (p<0.001). Diabetes, hypertension, and hypertriglyceridemia had a similar prevalence of 24.6%, 63.0%, and 12.7%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Hypercholesterolemia was higher in the elderly females (44.2%) than in the elderly males (24.9%) (p<0.001).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was higher in obesity than normal in elderly males and females (p<0.001). The total food intake increased from ‘under weight’ to ‘obesity’ in males (p<0.01) and females (p<0.001). In the case of the elderly males, the higher the degree of obesity, the higher the energy intake (p<0.05), and ‘pre-obesity’ consumed the most energy in elderly femal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obesity rate of the elderly, the higher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