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0

        2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금은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서 반드시 섭취해야하는 성분이지만 많이 섭취했을 경우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양날의 칼을 가진 존재이다. 따라서 우리는 천일염을 많이 선호한다. 그러나 천일염도 만드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염전에 보통 빗물과 바닷물이 고이게 되면 이끼가 끼는데 이것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염산을 뿌리는 경우가 있다. 그것이 고스란히 소금에 묻어나는 것이다. 또 소금을 생산할 때는 염전 바닥에 황토를 깔아 토판염을 만들어 이용하는데 이렇게 하면 미네랄이 더욱 풍부해진다. 그래서 토판염은 보통의 소금보다 가격이 5배 이상 비싸다. 소금을 만들 때 중국산 소금을 염전에 뿌리고 다시 거둬들여서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화학적으로 만든 공업용 소금을 들여와 국내산 천일염으로 둔갑시키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생산과정과 유통경로가 확실히 보장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소금은 고혈압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미지 맵을 통한 디자인 요소별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국내외의 소금패키지디자인을 비교 평가한 결과 새롭게 디자인하여 제시된 천사의 섬 신안천일염 패키지가 종합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디자인으로 평가 결과가 나옴으로서 향후 소금패키지 디자인 시 평가 요소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디자인함으로서 수용자와 공감이 되어 구매 시 선택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2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rrent rural conditions are undergoing the change from the past production-intensive structure to an integral and complex one of producing, processing, selling, touring and lodging owing to the changes of life-style, consumption trend and social environments. The rural area is developing into a community of rural tourism villages to grow into one management system along with the assistance of the government's various supporting projects. Through this, the rural designing has got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one of the factors of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and the increase of income. Therefore, those previous studies on the variety and possibility of rural development are being employed for the researches which are to develop techniques of branding, marketing and packaging. In particular, the researches for VI (Village Identity), BI (Brand Identity) and designs of landscaping, packaging of agricultural specialties and display stores, which definitely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rural designing, is being paid a lot more attention to. Thus, this study has verified the site commercialization and its effect by developing some practical designing with the focus of package design at rural tourism villages. The Okgye Village in Yoncheon was selected for study subject based on the result of status investigation. This study has analyzed such problems as lack of village identity, non-description of items and their indispensible marks which were seen their designs of village and packaging. The colors of major items and the village image being substituted into the image scale of IRI color were estimated so that the appropriate colors might be selected, along with which the shapes of major items were decided to be motif for the village symbol and design to be created. The designs of such major items as grains, greens and sauces were crea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easiness of loading, the continuity of using and the aesthetics. For grains, those outer boxes which are possible for set-packaging and small-sized packaging have been developed. For greens were developed the boxes with the structure of the permeability for the persisten't quality as well as the possibility for packaging small amount. In case of sauces, those outer-boxes equipped with fixing tray were made with the transport-convenienc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ticker-label designs for all those three were also developed which stand for the village identity and are conveniently used in each farm family. When this development was applied at the sites,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consumers as well as the satisfaction of farmers were raised along with the increase by more than 30% after the improvement.
        2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은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한 1995년부터 올해까지 쌀 시장개방을 20년간 유예 받으면서 의무 수입량을 늘려왔다. 올해의 의무 수입량은 40만 8,000t으로 1995년의 8배다. 수입물량이 과거 3년간 평균치의 5%이상 초과하면 특별 긴급관세(SSG)를 발동할 근거를 마련했다. 앞으로 체결할 모든 자유 무역 협정(FTA)과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TP)등에서 쌀을 양허(관세 폐지, 축소)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 따라서 관세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선택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공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의 방향성을 마련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특히 PB상품의 경우에는 독자적 이미지 구축과 일관성 있는 디자인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것이므로 대형 매장 중에서 대체적으로 브랜드력을 구축하고 있는 H매장의 PB쌀 패키지를 중심으로 디자인의 이론적인 면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올바른 방향성과 PB 상품으로써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이론적 배경과 사례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매장에서 PB상품의 개념이 적용된 쌀 패키지디자인이 다양하게 나타나 고유한 디자인이 아닌 생산자의 디자인에 브랜드만 표기한 것으로 향후는 자체브랜드를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을 새롭게 적용하여 이미지를 통일 시키고 소비자에게 공감을 얻어낼 수 있는 차별화 된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결론을 알 수 있었다.
        24.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훼 산업 정체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는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브랜딩 작업의 일환으로 연구된 색채 감성 패키지에 대해 디자인 목적과 표현의 적합성을 검증해 보았다. 전문가 설문을 통해 디자인 컨셉 설정 측면에서 적합함을 도출하였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Elegant 언어에 대한 패키지가 의미를 가질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표현에 있어서는 3개안에 대해서는 표현과 의도가 일치함을 도출하였고, 1개안의 경우는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표현 수위를 조절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표현의 적합도를 올리기 위한 점과 함께 설문 방법적인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도 얻을 수 있었다.
        2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는 글로벌 경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지역문화의 새로운 창출과 지방자치정부의 재정자립을 위해 지역특화상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이름만 가지고는 그 지역의 특화상품을 알리기에는 협소하다. 그 지역의 혼과 맛이 담긴 패키지디자인 개발은 특화상품으로서 우수성을 홍보하고 특성을 쉽게 전달할 수 있으며, 문화 전도사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지역특화 농식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대한 컬러별, 로고타입별, 전통콘텐츠를 활용한 사례를 기준으로 전북지역 농식품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지역특화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은 부가가치를 상승시키고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오늘날과 같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농식품 특화상품의 효과적인 디자인 진단으로 상품의 품위를 높이고 시장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민에 대한 디자인 개발의 중요성과 인식이 전환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 및 효율적인 교육으로 관심을 유도하고 참여도를 높여 주민 소득창출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새로운 활력지역으로 거듭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전라북도 농식품 패키지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지방화시대 지역특화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을 통해 지역의 경제 발전과 시장경쟁력을 갖춘 바람직한 패키지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se days, agricultural products are regarded as a core income source in tourism villages. Nevertheless, poor packaging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threatened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products. For farmers, it is less likely to employ individual designer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ir packages due to low accessability to rural villages and budget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Charrette' in order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 packaging. The target village was 'Goraday' in Gangwon province. This study consisted of different steps for building and implementing proper 'Charrette' programs. Then, it also conducted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harrette'. 'Charrette' has made progress as follows; first step was concerned with advance preparation for constructing program. Second, implementation of 'Charratte' includ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development of design. Third, evaluation and feedback stage have give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bout suggested design with local residents.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harrette' has been composed with survey and interview targeting participants. In survey and interviews, designers were asked about their attitudinal changes in relation to knowledge, recognition, func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 'Charrette' and 'agricultural product package desig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the event. The results showed that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esigners toward 'agricultural product package design' have positively increased.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designers were satisfied with collaborations with others and their contribution to rural community business. However,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sufficient preparation time/schedules and opportunity to meet other and farmers before events would be required to have better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ir tasks and role distribution. Furthermore, it is also required for designers to hold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y in order to actualize their packaging design.
        2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package design for agricultural product of farm stay is great interests for increasing the income of farmers and villages as it may fulfill the sensible needs of consumers who experience rural culture and farm stay. This paper presents the status of the package design for agricultural product of farm stay and proposed improvements to the package design as following; 1)to diversify the packaging capacity, 2)to develop the cultural products to applicate the traditional crafts technique, 3)to provide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presenting the identity of farm or village, 4)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about package design. We sampled fifty pilot farms or villages, analyse the package design of them and questionnaire surveyed farmers and managers in order to find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3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패키지디자인의 1차적 기능은 제품이나 상품을 보호하는 것이며, 2차적 기능은 담겨진 내용물의 성분이나 성격을 쉽고 빠르게 수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과거의 개념인 상품 보호적 기능을 뛰어 넘어 현재는 마케팅의 일환으로 차별성이 강조되는 시대로 들어섰다. 따라서 패키지는 모든 그래픽 표현의 기법들을 총동원하여 설득력과 공감력 있는 디자인으로 변신하게 되었다. 패키지의 내용물과 그 표현력과의 적절함 즉, 정합성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사례중심으로 분석하여 계란패키지의 최적표현의 방향을 찾고자하였다. 현재, 대형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품목 중 노출빈도가 높은 9개의 모델을 선정하여 그래픽적인 평가부분을 위해 8개의 평가축을 선정하였다. 그 축은 청량감, 이해감, 효과감, 안심감, 품질감, 디자인성, 신규성, 친근감 등이며, 세부적인 가중치는 X=0~3점 △=4~6점, ○=7~9점, ◎=10점으로 부여되었다. 8개의 축에서 각각 10점 만점을 받을 경우 총 80점으로, 환산하여 100점이 되며, 60점 이상이면 우수한 디자인으로 평가될 수 있다. 평가결과 풀무원의 자연란과 프레시안의 로하스 유정란이 79점으로 가장 우수한 패키지디자인으로 평가되었다. 한살림의 유정란, 홈플러스의 친환경 유정란 등이 60점에 가까운 점수를 얻어 무난한 디자인으로 평가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