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3

        2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tive and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3T3-L1 and HepG2 cells.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PC and TFC) of 14 plant extracts were measured,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DPPH, ABTS, FRAP, and ORAC. After measuring the pancreatic lipase levels and performing the thiobarbituric acid assay, the degree of lipid accumulation was determined by lipid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assay in 3T3-L1 and HepG2 cells. M. paniculate (259.43 mgGAE/g) and C. benghalensis (130.78 mgNAE/g) had the highest TPC and TFC, respectively, among the 14 plants. R. acicularis Lindl.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DPPH. The ABTS, FRAP, and ORAC results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Th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 of C. angustifolium Scop. was reduced to 23.65% at 0.1 mg/mL, and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of C. abrorescens Lam. was 0.63 nmol/mg. Five selected plants inhibited the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content, respectively, in 3T3-L1 and HepG2 cells. These results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using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which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accumulation reduction effects.
        4,500원
        2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igh-oleate and normal-oleate peanut consumption on adipose mass and serum lipids in obese-induced C57BL/6J mice. After four weeks of the high-fat diet,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control (NC) diet, high-fat control (HFC) diet, high-oleate peanut-seed (HOPS) diet, normal-oleate peanut-seed (NOPS) diet, high-oleate peanut-oil (HOPO) diet, and olive-oil (OO) diet. After four weeks, all four experimental diet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weight than HFC group. In four experimental diet groups, serum triglycerides (TG),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FC group. T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OPS group (92.1±1.2 mg/dL) than NOPS group (101.7±5.3 mg/dL, p<0.05). Similarly, LDL-C was significantly lower in HOPS group (66.1±2.8 mg/dL) than NOPS (76.9±1.5 mg/dL, p<0.05), on the other hand, HDL-C indicated a significant elevation in HOPS (50.5±2.1 mg/dL) than NOPS group (45.2±1.6 mg/dL, p<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nsumption of high-oleate peanut has a favorable effect on the plasma lipid profile.
        4,000원
        2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ractylodes lancea (A.l.) in a dose-dependent manner on lipid levels and plasma glucose in diabetic rats induced with streptozotocin (STZ). Th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five groups: normal, STZ-control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A.l.-1, diabetic treat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1 g/kg b.w.), A.l.-2, diabetic administer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2 g/kg b.w.), and A.l.-3, diabetic administer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3 g/kg b.w.)]. The normal and STZ-control group were fed an AIN-93 diet and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A.l. extract at doses of 1, 2, and 3 g/kg b.w./day, respectively, for 14 days. The plasma glucose level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after 14 days of treatment. The total cholesterol of the A.l.-3 and triglyceride levels, atherogenic index (AI) of all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The ALT and AST activities at A.l.-2, A.l.-3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This result that demonstrate the administration of Atractylodes lancea can reduce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risk in diabetic rats.
        4,000원
        25.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두(Phaseolus aureus L.)가 당뇨 유발 흰쥐에 있어서 혈당 및 지질성분, 단백질, 전해질 농 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식이를 섭취시킨 BD군, 기본 식이군에 5% 녹두 급여군 (BM군), 당뇨 유발 실험군(BS군)과 BS군에 5% 녹두를 섭취시킨 실험군(SM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 하였다. 혈청 지질성분(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혈당 및 유리지방산(non 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농도와 동맥경화지수 (atherosclerotic index, AI), 심혈관 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당뇨 유발군에서 여타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고(p<0.05), 5% 녹두 급여군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유발군인 BS군에 비해 5% 녹두를 첨가시킨 SM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 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혈청 단백질 농도에 있어서, 당뇨 유발 군(BS군)에 5% 녹두를 급여(SM군)한 흰쥐의 혈청 알부민(albumin) 농도와 알부민/글로불린 비 (albumin/globulin ratio, A/G 비)는 증가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트륨(Na) 및 염소(Cl)는 SM군에 서 BS군 보다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5% 녹두는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 기 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26.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oleic acid로 지방생성이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 세포 내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에 의한 HepG2 세포 내 지방 축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에 oleic acid로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추출물에 의한 중성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지방합성 및 축적에 관련된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을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Oil Red O와 Nile Red 염색을 통하여 추출물의 처리로 HepG2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RT-PCR에 의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oleic acid에 의하여 지방 생성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추출물 처리군의 SREBP-1c와 SREBP-1a 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AMPK, p-SREBP1, PPARα, FA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간에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SREBP1 단백질의 발현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FAS의 단백질 발현향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지질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간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4,000원
        27.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of fermented black garlic extracts under various conditions. Black garlic powder was prepared by aging for 0~72 hours at 80℃ depending on relative humidity (RH). I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s among the samples;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powders at RH 75%, 84%, and 90% for 72 hours was increased 31.9 times, 28.2 times, and 22.6 times compared with that of the fresh garlic powder, respectively. Also, the alliin content was gradually decreased. S-ally-L-cysteine and S-ethyl-cysteine levels were increased; the highest values were 495.9 μg/g and 1,769.7 μg/g after aging for 72 hours at RH 75%.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levels were increased following high fat diet feeding, but the rise was obviously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The total cholesterol, LDL/V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ethionine and choline deficient (MCD) diet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ollowing the intake of black garlic and fermented black garlic extracts. Therefore, black garlic extracts could be an ideal material as a dietary supplement in healthy functional foods to improve the effects on fatty liver.
        4,000원
        2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has been increasing, and consequently, the need to identify safe and effective treatments to control this chronic disease has also increased. The beneficial effects of probiotics have been revealed by several studies over the past few years, including their effects on hypertriglyceridemia. However, the mechanisms of action of probiotics are still unclear. The anti-obesity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Q180 on lipid accumulation have already been demonstrated using an in vitro HepG2 cell model, and therefore, we investigated its efficacy and mechanism of action. Lipid accumulation was induced in HepG2 cells by palmitic acid treatment and then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L. plantarum Q180 lysate or supernatant to investigate changes in lipid accumulation and expression of lipid metabolism-related gen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 plantarum Q180-treated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ipid accumulation and mRNA expression of lipid synthesis- and adipogenesis-related genes than the palmitic acid-treated group di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plantarum Q180 may contribute to alleviating hypertriglyceridemia by inhibiting lipid synthesis.
        4,000원
        2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한 비만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혈액 중 유해 지질 감소, 항비만 효능 및 그 작용 메카니즘을 조사하였다. 4개의 처리구는 CD(일반식이를 섭취한 정상 대조구, chow diet as normal control), HFD(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비만 대조구, high fat diet as obesity), HFDCK(고지방식이+일반김치 추출물 투여구), HFDJK(고지방식이+지장김치 추출물 투여구)로 구분하여 김치추출물을 28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체중, 간 및 지방조직 무게는 비만모델동물에서 HFDJK가 HFDCK에 비해서 낮았다(p<0.05).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 혈당은 HFD와 비교할 때 CD, HFDJK, HFDCK의 순서대로 낮았으며 HFDJK는 HFDCK에 비해 낮았다(p<0.05). 간 및 지방세포의 크기는 HFD, HFDCK, HFDJK의 순서대로 증가하였으며 HFDJK는 HFDCK에 비해서 크게 낮았다(p<0.05). 결과는 비만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섭취가 일반김치에 비해서 혈액 지질과 혈당을 낮추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항비만 효능을 갖는다는 점을 나타낸다.
        4,000원
        3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지방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암컷 쥐에서 피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단독처리 및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17β-estradiol)과의 동시처리가 혈청 속 지질대사를 조절하는지를 조사하였고,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의 동시처리에 의해 혈청 속 지질대사에 대한 피노피브레이트 단독처리의 효과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저지방식이만을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피노피브레이트가 단독처리된 쥐와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이 동시처리된 쥐의 8주째 몸무게는 감소되지 않았다. 피노피브레이트 단독처리와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 동시처리는 혈청 속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피노피브레이트는 대조군에 비해 혈청 속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감소시켰다. 피노피브레이트 단독처리에 비해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 스트라다이올 동시처리는 혈청 속 중성지방에 대해 유익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지방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암컷 쥐에서 fenofibtae 단독처리에 의해 감소된 혈청 속 중성지방은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의 동시처리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4,000원
        3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2형 당뇨 마우스로 8주간 50%, 75% 강도의 유산소성 및 저항성 운동을 수행하여 항 당뇨 및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39주령 C57BL/6 마우스 48마리를 일반식이정상군 (Normal, n=8)을 제외하고,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제2형 당뇨군(DM, n=8), 제2형 당뇨+VO2max 50% 유산소운동군(DM50A, n=8), 제2형 당뇨+VO2max 75% 유산소운동군(DM75A, n=8), 제2형 당뇨+1RM 50% 저항운동군(DM50R, n=8), 그리고 제2형 당뇨+1RM 75% 저항운동군 (DM75R, n=8)으로 구분하였다. 유산소성 운동은 주 5일, 1일 40분씩 8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A군은 1~4주는 8m/min, 5~8주는 8~10m/min으로, DM75A군은 1~4주는 12m/min, 5~8주는 12~14m/min으로 점증하여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은 주5일 8주간 사다리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R군은 1RM의 50%, DM75R군은 1RM의 75%로 운동 반복 사이 2분간의 휴식을 주어 총 8번의 Climbing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운동 후 공복 혈당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 며, 인슐린은 운동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OMA-IR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bA1c는 DM군에 비해 DM50R 및 DM75R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과 LDL-C는 DM운동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HDL-C는 DM75A군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중성지방은 DM75R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심혈관 위험 지수는 Normal군 및 DM75A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T2DM 마우스에서 중강도의 저항성 운동은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 조절에 더 나은 개선을 보여주었으며, 중강도의 유산소성 운동은 HDL-C 수준 증가를 통한 심혈관 위험 지수를 감소 하는데 효과적이었다.
        4,200원
        3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mperature deviation on the water-holding capacity, tenderness, lipid oxidation, and color stability of Korean Hanwoo (韓牛) beef during long-term aging. The striploins (M. longissimus lumborum) were aged for 56 days at 2±1oC (T1), 2±2oC (T2), or 2±3oC (T3). Drip loss and cooking loss were higher (p<0.05) in T3 than in T1 on day 56. The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 was similar for all treatments during aging times. On day 56, the content of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was higher (p<0.05) in T3 as compared to T1. The CIE L* and b* values were similar for all treatments, but the a* value was lower (p<0.05) in T3 than in T1 on the last da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 temperature deviation adversely affects the water-holding capacity, lipid oxidation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of Hanwoo beef during long-term aging.
        4,000원
        3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d Chinese cabbage is rich in anthocyanins, with beneficial effects on anti-obesity and lipid profi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obesity effects of red Chinese cabbage. Four-weeks old Sp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or six weeks as follow: Normal Diet (ND), High Fat Diet (HFD), HFD + Red Chinese Cabbage Diet (RCD), HFD + Red Chinese Cabbage Juice (RCJD). After six weeks, the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D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and the RCD and RCJD groups showed similar values to the ND group. The epididymal fa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high fat diets (HFD, RCD, RCJD) than in the ND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ost-tests when comparing the RCD and RCJD groups with the HFD group. Triglycerid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CD group. In conclusion, red Chinese cabbage is rich in anthocyanins, with beneficial effects on organ weight and lipid profiles.
        4,000원
        3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산 재래종 메밀가루를 40%, 70% 에탄올(발효주정)로 각각 처리하여 메밀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동결건조한 다음 고지방식이에 혼합하여 흰쥐에게 섭취시킨 후 나타나는 식이성 고지혈증의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정상대조군(NC), 고지방대조군(HFC), 고지방-40%에 탄올메밀추출물군(HF-40), 고지방-70%에탄올메밀추출물군(HF- 70)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험식이로 사육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및 사료효율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실험동물의 장기 중간무게를 비교한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70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p<0.05) 정상대조군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3. 혈중 GOT, GPT 수치는 정상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고지방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HF-40군과 HF-70군은 고지방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당 농도는 전체 실험군 중에서 HF-70군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혈중 중성지질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정상대조군과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40군 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고지방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HF-70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혈중 유리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중 콜레스테롤에스터 수치는 정상대조군이 71.6mg/dl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고 고지방대조군의 125.0mg/dl와 비교하여 HF-40군, HF- 70군은 각각 116.9mg/dl, 88.5mg/dl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특히 HF-70군은 HF-40군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고지방대조군(130.6mg/dl)에 비해 HF-70군(85.1mg/dl)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7.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고지방실험군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 롤의 비율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70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8. 동맥경화지수는 정상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고지방대조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70군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본 실험에서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의 이상지질혈증은 메밀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40% 에탄올 메밀추출 물보다 70% 에탄올 메밀추출물에서 더욱 많이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5.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tend the shelf-life of chicken breast meat, samples were treated with gel-packs containing slow-released ClO2 gas at 7-15 ppm for 8 days at 4℃. And the changes in lipid oxidation and taste compounds of the samples were investigated. TBARS value of the chicken breast was slightly increased during storage. TBARS value of gas treatments was similar to the control during storage. There were 14 fatty acids in the chicken breast.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stor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gas treatments.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gas treatments during storage. The content of GMP in the control and gas treatment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However, gas treatments showed slightly higher content than that of control. AM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gas treatments. IMP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the content of inosine and hypoxanthine was increased. IMP, inosine and hypoxanthine contents of gas treatment were similar to control, but the control tended to change more rapidly than those of gas treatments.
        4,000원
        3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금(Curcuma longa L.)의 생리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카로티노이드(total carotenoid) 함량은 1.581±0.005 mg β-carotene equivalents (BCE)/g dry weight으로 관찰되었다. 70% 메탄올, chloroform:methanol (CM, 2:1, v/v),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 수율은 70% 메탄올(16.54%), CM (5.64%), EA (4.14%) 순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EA, CM 및 70% 메탄올에서 각각 106.287, 90.614 및 18.527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g의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추출 용매 별 항산화능은 0.2, 0.4, 0.6, 0.8 mg/mL의 농도로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및 trolox 보다는 낮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NO) 라디칼 소거능은 70% 메탄올에서 28.65~48.43%, CM 18.86~55.10%, EA에서 15.68~56.25%로 관찰 되었다. Nitrite (NO2) 소거능은 70% 메탄올, CM 및 EA 순으로 나타나 EA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강한 NO2 소거능을 나타내었다(p<0.05). β-carotene 탈색 저해능은 70% 메탄올, CM 및 EA에서 각각 1.64~23.79%, 6.99~41.16% 및 10.20~48.52%로 관찰되었다. 한편,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70% 메탄올, CM 및 EA 추출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울금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superjami bran extract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 Twenty-five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Superjami group (n=12), and Placebo group (n=13) random assignment. Among the groups, the Superjami group took a Superjami bran extract (2 g/2 capsule/day), and the Placebo group took dextrin (2 g/2 capsule/day), for 12 week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oncentrations of TG, TC, and HDL-C in the bloo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HDL-C was significantly higher. AI and HTR also showed positive values. Lepti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ut as a result of adipectin, the Superjami group displayed a higher value,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and LAR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 Antioxidant results showed that GPx, CAT, and RGLU, were significantly higher before as well as after intakes of the Superjami group, an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he Superjami group,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AOP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for the Superjami group,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So, based on this study, ingestion of Superjami bran extract is effective in improving blood lipid concentrations as well as inflammatory substances, and has positive effects relative to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38.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oxidative effects and the anti-adipogenesis effect of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C), and Morus alba (M).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M-root (34.56±0.045 mg GAE/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oot and M-leaf. Total flavonoid contents of C-root were highest (23.07±0.004 mg QE/g). To examine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was used. Results show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dipocytes are generated by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during adipogenesis. Matured adipocytes accumulate in abnormal and cause obesity. We investigated effects of leaf and root extracts of C and M,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degrees of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were evaluated by Oil Red O staining. Root extracts of C and M, reduced lipid cont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root extracts of C and M, may be good candidates for managing obesity.
        4,000원
        39.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금(Curcuma longa L.)이 이상지질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성분과 단백질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식이를 섭취시킨 ND군, 정상 실험군에 5% 울금 급여군(NT군), 이상지질혈증 유발 실험군(DD군)과 DD군에 5% 울금을 섭취시킨 실험군(DT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행하였다. 혈청 지질성분(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혈당 및 유리지방산(non 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농도와 동맥경화지수 (atherosclerotic index, AI), 심혈관 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이상지질혈증군에서 여타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5), 5% 울금 급여군에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D군에 비해 DT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 비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p<0.05). 혈청 단백질의 농도에 있어서, DT군은 DD군에 비하여 흰쥐의 혈청 알부민(albumin) 농도와 알부민/글로불린 비(albumin/globulin ratio, A/G 비)의 증가 및 글로불린(globulin) 농도는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트륨(Na) 및 염소(Cl)는 DT군에서 DD군 보다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5% 울금은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 개선과 단백질 및 전해질 농도 조절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40.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ovel usability as natural anti-obesity supplement of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60.29±3.11 GAE mg/g and 14.90±0.34 QE mg/g, respectively. To evaluate anti-obesity activity of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 as well as its inhibition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were conducted by Oil Red O staining and lipolysis assay. The result of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 of S. tamariscina extract showed a wide range between 40 and 73% dose dependently. While the incubation of 3T3-L1 cells with S. tamariscina extract inhibited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and reduced lipid accumulation, the level of released free glycerol into culturing medium was increased in multiple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S. tamariscina extract inhibit adipogenesis and pancreatic lipase activity. Thus, S. tamariscina extract can be a candidate for regulating lipid accumulation in obesit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