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9

        24.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subacute oral toxicity of Dendropanax morbiferus H.Lév leaves hot-water extracts (DMWE) using male and female Spargue-Dawley rats.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the DMWE at dose levels of 0, 250, 500, 1,000, and 2,000 mg/kg body weight (BW) for four weeks. For experimental period, clinical signs and the number of deaths were examined, and feed intake and BW of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measured once a week for four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ll rats, and all animals were euthanized and autopsies were performed to collect major organs. No dead animals were foun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and DMWE-treated groups in feed intakes, BW changes, organ weights, clinical signs,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oral administration of DMWE at the dose of 2,000 mg/kg BW is safe in rats and may not exert severe toxic effects.
        4,000원
        25.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cute toxicity of Dendropanax morbiferus H.Lév leaf hot-water extracts (DMWE) was examined in male and female ICR mic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the DMWE at dose levels of 0, 250, 500, 1,000 and 2,000 mg/kg body weight (BW) for single-dose toxicity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of BW between control and all DMWE treated-groups. In hematological and blood biochemical analysis, none of the parameters were affected by the DMWE. Similarly,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markers for liver and kidney functions in all DMWE treated-groups. Since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f the DMWE in single oral toxicity tests, even at the highest doses, it was concluded that the lethal dose 50 (LD50) of DMWE is estimated at > 2,000 mg/kg BW.
        4,000원
        26.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171, a mixture of titanium dioxide, has been widely used as a food additive due to its whitening effect and low toxicity. However, it has been proven that E171 is no longer safe for public health. So far,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toxic effects of E171 on organisms especially using standardized test methods. In this study, toxicity assessments of E171 to two aquatic species, water flea (Daphnia magna) and zebrafish (Danio rerio), were performed using modified standardized test methods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171. The hydrodynamic diameter, polydispersity index, and turbiscan stability index (TSI) were measured to ensur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E171 in exposure media during the test period. The EC50 for immobilization of water flea was 141.7 mg L-1 while zebrafish was not affected until 100 mg L-1 of E171. Measuremen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confirmed that E171 induced oxidative stress, leading to the activ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both water flea and zebrafish, although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 genes differed between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 risk of E171 to aquatic organisms and provided toxicological insights into the impacts of E171 on the environment.
        4,500원
        27.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역(Undaria pinnatifida) 포자를 사용한 생태독성 시험법은 연중 상시 이용하기에 어렵다. 미역 의 암배우체는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자의 단점을 보완하고 상시 생태독성 시 험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역의 암배우체를 생태독성 시험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 조건에 노출된 미역의 암배우체 생존율과 상대성장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미역 암배우체는 염분(5~40 psu), 온도(5~30℃), pH (2~10), 광량(0~120 μmol photon m-2 s-1)에 노출되었다. 암배 우체의 생존율은 최고 평균값을 기준으로 온도 20℃, 염분 27.5 psu, pH 8, 광량 30 μmol photon m-2 s-1에서 가장 높았다. 상대성장률은 최고 평균값을 기준으로 온도 15℃, 염문 35 psu, pH 9, 광량 60 μmol photon m-2 s-1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미역 암배우체의 생존율과 상대성장률을 활용하여 연안환경을 상시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4,000원
        2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rfactant, 2-{2-[2-(4-nonylphenoxy)ethoxy]ethoxy}ethan-1-ol, is used in detergents, pesticides, cosmetics, and disinfectants. Since it is found in products that can be inhaled, we evaluated its toxicity to humans upon exposure. A total of 18 rats were exposed to nasal inhalation for 4 hr to determine the acute inhalation toxicity of 2-{2-[2-(4-nonylphenoxy) ethoxy]ethoxy}ethan-1-ol; the exposure concentrations were 5.0, 1.0, and 0.5 mg/L, with three males and three females at each concentration. After the end of the exposure, mortality, general symptoms, and weight changes were observed for 14 days, and autopsy findings were confirmed. The actual concentrations of the test substance in the chamber during the exposure were measured as 3.29, 1.03, and 0.52 mg/L, respectively. The delivered dose was 552.72, 173.04, and 87.36 mg/kg/day for males, and 829.08, 259.56, and 131.04 mg/kg/day for females. As a result of the test in the OECD Test Guideline 436, all animals exposed to a concentration of 3.29 mg/L died; three males and one female died out of six exposed to the 1.0 mg/L concentration. In addition, one died out of six males exposed to a 0.5 mg/L concentration. As a result, 2-{2-[2-(4-nonylphenoxy)ethoxy]ethoxy}ethan-1-ol was considered to be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Category 2 (> 0.5–1 mg/L).
        4,000원
        2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ron deficiency is known to be a common nutritional disorder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among children, women of childbearing age and pregnant women. SUNACTIVE Fe-P80 is a new type of iron supplement that applies nanotechnlateology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food supple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a 28-day repeated oral dose of SUNACTIVE Fe-P80 in rats. SUNACTIVE Fe-P80 was administered once daily by gavage to Sprague-Dawley rats for 28 days at doses of 0, 500, 1,000, and 2,000 mg/kg/day. Additional recovery groups from the control and highdose groups were observed for a 14-day recovery period. At the scheduled termina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their organs weighed, and blood samples collected.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effects in the context of clinical signs, body weight, food intake, ophthalmoscopy, urinalysis, necropsy findings, organ weights, and hematologic, serum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at any dose tested. Under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s,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of SUNACTIVE Fe-P80 was ≥ 2,000 mg/kg/day in both the sexes, and no target organs were identified.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SUNACTIVE Fe-P80 is relatively safe, as no treatment-related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following a 28-day repeated oral dose experiment.
        5,400원
        35.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hesperidin과 hesperidin의 aglycone 형태인 hesperetin의 2,2'-azobis (2-aminopropane) dihydrochloride (AAPH)에 의해 신장 독성이 유도된 쥐에서 신장 보호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은 200 mg/kg/day의 농도로 7일간 위내투여하였으며, AAPH를 복강주사하여 급성 신장 손상을 유도하였다. 이 후 쥐의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산화 함량, nitric oxide (NO) 생성량, catalase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으 며, nuclear factor-kappa B (NF-κB) 및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AAPH로 신장 독성을 유도한 control군의 신장 내 지질과산화 및 NO 생성량은 신장 독성을 유도하지 않은 norma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산화적 손상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hesperidin과 hesperetin를 투여했을 때 신장 내 지질과산화 및 NO 생성량이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을 투여한 군의 경우 신장 내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hesperidin과 hesperetin의 투여는 AAPH로 신장독성을 유도한 control군 100% 대비 NF-κB 단백질을 각각 66% 및 71%로, iNOS 단백질 발현을 각각 46% 및 33%로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hesperidin과 hesperetin의 투여가 항산화 활성 조절을 통해 AAPH로 유도된 신장 독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배출해역의 퇴적물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6~2019년 3개 배출해역; 동해병, 서해 병, 동해정 해역의 9개 정점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들을 대상으로 국내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저서성단각류(Monocorophium acherusicum)와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한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상대평균생존율(저서성단각류)과 상대발광저해율 (발광박테리아)이 각각 30 % 이하로서 ‘독성없음’으로 판정되었으나, t검정을 이용한 독성 평가 결과에서는 총 12개(2016년 6개, 2017년 1개, 2018년 1개, 2019년 4개)의 저서성단각류 시료에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저서성단각류의 독성원인 탐색을 위해 퇴 적물 내 8종 중금속 함량(Cr, As, Ni, Cd, Cu, Pb, Zn, Hg)과 저서성단각류 상대평균생존율의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Cr의 저서성 단각류 독성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p=0.000, R2=0.355). 또한, 매년 독성영향이 가장 높은 정점(DB-85)의 시료에서 Cr이 여전히 가장 높은 농 도로 검출되었으며, 해양환경기준을 매년 초과하였다.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생태독성판정 기준 적용 시 ‘독성없음’으로 평가되는 퇴 적물 오염도가 대조구와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 독성원인확인 평가를 적용할 경우 독성영향을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향후 종민감도분포곡선을 활용한 정량적 위해성 평가를 통한 준거치를 도출하여 생태독성 영향 판단 기준의 재설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000원
        3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ound K (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는 진세노사이드의 활 성성분이다. Compound K는 경구 투여 후 Rb1, Rb2 및 Rc가 사람의 장내 미생물의 β-glucosidase에 의 해 생물전환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생물전환된 인삼농축액에서 얻은 compound K를 이용해 항염증 및 독성을 조사하였다. 세포독성평가 결과, compound K는 0.001∼1 μg/mL의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로 염증이 유발된 RAW 264.7 세포에서 TNF-α, MCP-1, IL-6 및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일 농도범위에서 TNF-α 및 IFN-γ로 염증이 유발된 HaCaT 세포는 compound K의 처리로 인해 IL-8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IL-6의 경우 일부 농도에서 생성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Brine shrimp를 이 용한 치사율 검정법에서 compound K의 LC50는 0.37mg/mL로 다소의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compound K가 35% 고함유된 생물전환물은 LC50가 0.87mg/mL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 을 보였다. 따라서 이 생성물은 향후 여드름 완화용 화장품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기능성 소 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