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4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onsumers’ perception of edible insect foods and carried out importance-satisfaction research on the choice attributes of edible insect foods. Through this, the potential of food materials as future food resources was evaluated and foundational data was provided to devise marketing strategies required to develop products made from edible insect foods. According to the results, females had more information on edible insect foods than males (p<0.05), and males gained higher points in trying new foods (p<0.001), overall satisfaction (p<0.001), and purchase intention (p<0.01) than females. Both importance (p<0.05) and satisfaction (p<0.001) about the mean of the choice attributes of edible insects were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The sustenance area showed high importance and high satisfaction, including taste, smell, freshness, sanitation, safety, and shelf-life. Accordingly, to understand edible insect foods properly, it is important to deliver information constantly and publicize them aggressive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inds of food made from edible insect foods and functional foods utilizing their nutritive value.
        4,000원
        4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도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도, 재배농가의 끊임없는 노력과 농촌진흥기관의 기술개발을 통해서 한국산 샤인머스캣이 현재 국내 소비자는 물론 해외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 품종에 비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수요처 발굴과 수출증대를 통해서 포도 산업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샤인머스캣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들(사전, 사후)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향후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부분최소자승-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해서 2017년 10월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된 국제중소기업박랍회 행사장에서 시식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유의한 102명의 응답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전요인(외관, 착색, 신선도, 알 크기) 보다 사후 요인(당도, 식감)이 좋은 평가를 받고 향후 구매로 이어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큰 역할을 함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품질관리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다만, 자료의 보완을 통해서 관찰되지 않는 설문응답자 내의 집단을 보다 면밀히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집단의 특성과 수요에 보다 맞는 맞춤형 품질관리와 수출방안이 뒤따라야 함을 한계로 남긴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 특성과 중국 전체 모집단과 차이가 있으므로 분석결과를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포도수출 확대노력은 포도 생산농가의 소득향상과 경영안정성을 높이고, 국내 포도산업에 활력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또한 신품종에 대한 안정적 생산·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및 농가 기술보급, 수출조직 육성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이 개발한 샤인머스캣 재배에서 더 나아가 소비트렌드에 부합하는 국내품종을 중장기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출성공을 위해서는 국내 업체간 과당경쟁, 저가경쟁 등을 예방하고, 의견을 조율할 협의체 구성과 함께 한국산 포도라는 점을 내세워 프리미엄 제품을 생산해 중산층 이상의 중국시장 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ital signage in a smart store would engage and invoke responses from consumers because good in-store experiences are more important than ever.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consumer perceptions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integrat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examined 1)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shion innovativeness on interactivity; 2) the effect of interactivity on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enjoyment; and 3)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enjoyment on intentions to use the products and the store, visit the store, and engage in word-of-mouth. As a pre-study, two researchers visited the smart stores of six brands in Seoul, all of which integrate various technologies in the fashion field. A video clip was developed as a stimulus to the study. A total of 214 respons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ersonal innovativenes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ractivity, whereas fashion innovativeness has no significant effect. Inter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enjoyment. Consumer responses (i.e., intentions to use, visit, and engage in word-of-mouth) were predicted by usefulness and enjoyment, but not by ease of 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fashion industry and retailers practical and valuable insights into enhancing consumers’ in-store experiences through the use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4,900원
        44.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 경영환경 변화의 중심에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 이 대두되고 있다.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인류의 생존은 물론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도 ‘지속가능성’을 기업경영의 모토로 삼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 이런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업과 정부 및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생존 및 번영을 추구하는 다국적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실증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론적이며 현실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효율성, 친환경보호, 에너지관리, 소비자보호, 윤리경영의 다섯 가지 독립변수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신뢰가 독립변수들과 구매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보인다는 종합적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일반소비자 269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속가능경영의 효율성, 친환경보호, 에너지관리, 소비자보호, 윤리경영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다섯 가지 독립 변수 중 효율성과 윤리경영의 경우,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기각되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의 효율성, 친환경보호, 에너지관리, 소비자보호, 윤리경영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계에 있어서 ‘신뢰’는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8,600원
        4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er interest i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has been consistent. While most relevant research emphasizes individual morals and environmental concern as the most crucial determinants to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more recent studies point out that in so doing there has been somewhat a neglectance on the importance of fundamental marketing strategies. More specifically, the crucial role of interior colors in fashion retail stores has been managerially considered something certain yet no empirical results have been found to support such a strong managerial assumption. For instance, colors such as green, blue, and brown are believed to represent natural images and are more appropriate to the eco-friendly marketing and the relevant research has been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 of in-store interior design colors (green versus non-green) on consumer perception of green store images. A total of 382 respondents were gathered for an online survey using differing store images as the stimulus and used for testing hypotheses. In the results, respondents exposed to store images using green interior colors reported a higher evaluation of green store image of the store. The effect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moderated by respondent’s environmental concern: to explain, respondents of high environmental concern are less influenced by green color interiors when they evaluate the brand’s eco-friendly image. In sum, the positive influence of green interior colors on green store image i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its stronger effect for consumers of low concern. Managerial and academic discussions are provided.
        4,500원
        50.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ort food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erceptions and to survey 295 consumers from December 10 to December 20 as the center of consumers who purchase retort food. As a result, most of the consumers who purchase retort food were women and the age were under 25 and 26 to 30 years old. There were many housewives and students in the occupation group and 2 to 3 in the family members. In addition, many graduated from college and many places of purchase were convenience stores and large discount stores. Consumer retort food purchase rate were high by 30-40% in meat products. Fish meat products were high by 30-40% and sauces were high by 20-30%. Instant foods were high by 20-30%, Tang (탕) / Guk (국) / Jigae (찌개) were high by 30-40% and canned food were high by lower than 10%.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retort food characteristics on positive perceptions only convenience were influential.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tort food on negative perceptions were influenced only by hygiene and standardization.
        4,000원
        51.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이 설문 연구는 안경사법(타각적 굴절검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안경사와 일반소비자 집단으로 분류하고 비교·분석함으로써 안경사법 입법을 위한 효과적 입법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서울 지역의 일반인 200명과 서울·경기 지역의 안경원에서 근무하는 안경사 100명을 대상으로 안경사법에 대한 인식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인은 시력교정 경험자와 미경험자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안경사는 고용안경사와 안경원 원장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 소비자 집단은 안경사법에 대해 매우 낮은 인식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중립적인 답변이 많았다. 일반 소비자와 안경사 모두 안경사법의 통과 가능성을 중립 또는 부정적으로 답하였고 그 이유를 주로 ‘의료계의 반발’과 ‘국민적 합의 및 여론 비형성’이라고 응답하였다. 안경사들의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지만, 고용안경사 집단은 안경사법에 큰 관심과 비중을 두지 않았으며 부정적인 응답 비율이 예상외로 높았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 소비자 집단에서 ‘안경사들의 참여 및 홍보 부족’이라는 답변이 의미있는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론: 안경사법 입법을 위해서는 안과의사 집단의 반대를 극복하고, 국민적 합의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안경사 집단 대상의 설문 조사에서 안경사법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가 나타났고, 일반 소비자 집단 대상의 설문 조사에서 안경사들의 참여 및 홍보 부족이 지적된 사실로부터, 안경사 집단 스스로의 적극적인 자세가 안경사법 입법 과정에서 또 다른 중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5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를 통해 안경원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안경원의 물리적 환경(즉, 서비스스케이프)의 점검이라는 근본적인 진단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고취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고객의 다양성 요구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서비스 스케이프의 5개 요인(심미성, 편리성, 청결성, 공간배치, 주변환경)이 각각 소비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검안법의 차이가 조절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검안법 차이에 대해서는 아이세이버 안경체인이 적용하는 검안법과 일반안경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연구모형과 4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일반안 경원 고객 100명과 아이세이버안경원의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작성 후 배포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24와 아모스 24를 활용하였다. 결과: 서비스스케이프의 5가지 요인 중 편리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서비스스케이프와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 각각의 관계에서 검안법 차이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기 다른 검안법 서비스를 받는 고객들이 인지하는 안경원의 서비스스케이프 하위요인들에 대해서는 모든 요인에서 아이세이버안경원의 검안법을 제공받는 고객들이 더 높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미성과 주변환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편리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안경원 경영자와 안경사들은 고객의 관점에서 이동 동선과 위치적 접근성, 안내 자료의 위치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후 기타 요인에 대한 투자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서비스스케이프가 물리적 환경에 초점을 둔 것이며, 검안법은 비록 안경원의 경쟁력과 직결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인과관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검안법의 차이가 안경원이 제공하는 물리적 환경을 좀 더 나은 것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조물책임법은 제품의 제조, 설계, 표시상의 결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생명이나 신체에 피해나 손실이 발생할 경우 제조물의 결함과 그로 인한 피해 사실이 입증되면 제조업자 등이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하는 제도이다. 제조물책임법의 시행으로 기업은 제품의 안전성 확보와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제품 사고를 대응하는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실제로 기업이 제조물 책임 대응활동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제도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기업의 제조물책임 대응수준 평가제도 도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제도의 필요성을 조사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제도로 도입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54.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wo different MBTI personality types by evaluat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risk on brand and store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34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0.0 and AMOS 20.0 were performed, and frequency tests, reliability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of SEM analysis, confirmed that one question of brand loyalty and one question of store loyalty were inappropriate for this study. Thus, these two questions were removed and the research model was modified.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convergent validity was tested. Most items fell into the goodness of fit, and the average coefficient was fulfill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path coefficient analysis for the Judging type, perceived risk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loyalty and brand loyalty also affected store loyalty. Furthermore, brand loyalty and store loyal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but perceived risk did not affect brand loyalty for the Perceiving type. Brand loyalty influences store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s, but store loyalty did not influence purchase inten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considering consumers' personality types is critical to developing strategies that enhance brand loyalty.
        4,300원
        55.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 base data for development of vinegar-based source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penetration of the global market for local source compan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nd choice factors of vinegar-based sauces by foreign consumers. Preference (p<0.05), matching food (p<0.001), number of purchases (p<0.001), place of purchase (p<0.001), information source (p<0.001), importance of selective attributes (p<0.05), and most frequently purchased vinegar-based sauces (p<0.01)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nationalit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in purchase intention (p<0.05), packaging (p<0.001), and purchase considerations (p<0.001) of naturally fermented vinegar-based sauce. Developing of vinegar-based sauces and menus should be combined so that it suitable for the food culture of each country.
        4,000원
        5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 설문 연구는 안경사법에 대한 일반소비자 집단의 인식도를 조사하고, 그로부터 안경사법을 입 법하기 위한 효과적인 입법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일반인 200 명을 상대로 무작위 1대1 대면 설문조사를 실 시하고 그 결과를 시력교정 경험자와 미경험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일반 소비자 집단의 안경원법에 대한 인식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으며, 그로 인하여 안경사법에 대 한 찬반 의견이나 안경사법의 통과 가능성을 묻는 설문에도 ‘모르겠다’는 중립적 답변이 매우 많았다. 안경 사법이 통과되기 어려운 이유와 그에 대한 해결 방법을 묻는 설문에서는, ‘안과의사들의 반대’와 ‘국민적 합 의 미흡’을 이유로 답하고 해결 방법도 ‘안과의사들과의 합의’와 ‘국민적 합의 제고’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 다. 안경사의 타각적 굴절검사가 허용되면 수용하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60%를 넘었으며, 안경사의 타각 적 굴절검사는 의료행위가 아닌 광학적 측정이라는 답변 또한 높은 응답률을 기록하였다. 결론 : 안경사법의 입법 과정에서 일반 소비자들의 낮은 인식도가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안경사법의 입법을 위해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를 강화하고, 안과의사 집단과의 합의에 주 력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설문 결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일반 소비자 집단은 타각적 굴절검사 가 의료행위라는 인식이 약하고 안경사의 타각적 굴절검사 수용에 적극적이므로, 안경사법의 내용에 대한 대국민 홍보가 강화된다면 안경사법의 입법 과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4,200원
        5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trition labeling can provide information in order for people to select products suitable for their own health, and sodium content labeling for processed foods is important since sodium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cardiac diseases. This study had carried out to propose the desirable sodium content labeling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awareness of sodium content in processed foods, understanding of sodium content labeling, and requirements for new sodium comparative claims. The survey period was from 12th of September, 2016 through the 24th, during whic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1,003 persons through demographic quota sampling by age and reg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66.0% of respondents assuring nutrition labeling answered they check sodium content labeling, whereas 83.2% were aware of excessive intake of sodium having a negative effect on health. Exactly 49.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rrent system for nutrition labeling on processed foods does not help on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sodium, whereas 72.9% answered they wanted to compare sodium contents with those of other products when buying or taking processed foods. As 92.5% cited the importance of sodium comparative claims made by processed foods, preparation of a new system for food labeling should be considered by which consumers can easily compare sodium contents with those of other similar products.
        4,600원
        5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1년 (2013.7~2014.6)의 기간 동안 네이버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문서들을 무료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TON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블로그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은 주로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사용과 관련된 음식점 후기 및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무첨가 제품에 대한 홍보 내용을 담은 글들로 파악되었으며, 기타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또는 식품첨가물 제거법에 대한 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로, 네이버 트렌드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검색량 증가 구간에 발생한 언론보도 사건을 조사하였다. PC 검색량의 경우 총 5개 증가 구간 중 3개의 구간에서, 모바일 검색량의 총 9개 증가 구간 중 6개의 구간에서 시사 프로그램에서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해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일간지나 TV 뉴스로 기사를 보도한 구간들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발표를 보도한 연합뉴스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공감수 100개 이상인 댓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질 낮은 재료의 사용 지적,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 과다사용에 대한 우려, 정부 불신을 표현하는 댓글들이 파악되었다. 시판 제품들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전한 식품첨가물임에도 불구하고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들은 L-글루타민산나트륨 무첨가라는 표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가기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MSG 미사용을 원칙으로 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이러한 정책이 산업계와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대체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관련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인식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과다 사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시사 프로그램에서 방송하거나 일간지 또는 TV 뉴스에서 기사를 보도할 경우 네이버 검색량이 증가하였으며, 검색량 증가구간은 PC 환경에서보다는 모바일 환경에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글루타민산나트륨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소비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방송프로그램, 뉴스 프로그램 등 언론을 활용하고, PC보다는 모바일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한다면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60.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정부는 그동안 음식점 원산지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는데, 2015년 기준 16개 품목에 대 한 원산지 표시지가 시행 중에 있다. 그럼에도 소비자 측면에서의 음식점 원산지 표지제도에 대한 분석 이 부족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설문조사와 계량분석(순위 프로빗 모형)을 통해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현지 시 행중인 원산지 표시제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향후 대상 품목 확대를 요구하고 있었는데 농 산물에 대한 표시제도 확대에 대한 요구가 더 많았다. 소비자들은 원산지 표시제도 위반자에 대한 처벌 강화도 요구하고 있어 향후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음식점 원 산지 표시제도는 성공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앞으로 더욱 제도를 강화할 당위성이 제 기되었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