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9

        4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l stud parts are manufactured by a cold forging process, and fastening with other parts is secured through a head part cutting process. In order to improve process quality, stabilization of the forging quality of the head is given priority. To this end, in this study, a predictive model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forging quality.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model based on 450 data sets acquired from the manufacturing site was low. As a result of gradually multiplying the data set based on FE simulation, it was expec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with an accuracy of about 95%. It is essential to build automated labeling of forging load and dimensional data at manufacturing sites, and to apply a refinement algorithm for filtering data sets. Finally, in order to optimize the ball stud manufactur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ality prediction model linked to the forging and cutting processes.
        4,000원
        4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ane departure warning device can not detect the lane to be driven in the future by sensing the departure of the lane passing by during driving and warning the driver. Considering the safe operation of the truck,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departure of the future lanes according to the dynamic weight and speed of the current truck should be predicted. This study attempted to predict whether or not to deviate from the lanes of curved roads to be driven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current dynamic driving weight and speed in consideration of the safe driving of trucks.
        4,000원
        44.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Roller-compacted concrete pavement (RCCP) is a superstiff-consistency concrete pavement that exhibits excellent strength development owing to a hydration reaction and interlocking aggregates owing to the roller compaction. A zero-slump concrete mixture is generally used. Hence,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consistency of the RCCP mixtur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onstruction quality (such as material separation during paving). The workability of the RCCP is characterized by its consistency and controlled by the Vebe time, whereas a conventional concrete pavement is controlled based on the slump test. The consistency of the RCCP changes over time after concrete mixing owing to delivery, construction time delays, etc. Thus, it is necessary to use the optimum Vebe time to achieve the best construction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Vebe time prediction model for efficiently controlling the consistency of RCCPs according to random time variations. METHODS : A Vebe time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 dataset of 131 samples was used to develop the model.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of variables with large potential effects on the consistency of the RCCP, such as the water-cement ratio (W/C), sand/aggregate ratio (S/a), water content (ω), water content per unit volume (W), cement (C), fine aggregate (S), coarse aggregate (G), water reducing admixtrue (PNS), air-entraining admixture (AE), delay time (T), air temperature (TEM), and humidity (HUM).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mentioned parameters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Vebe tim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Vebe time prediction models were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adjusted R2 and p-values. The selection of the model was based on the largest R2 value and an acceptable p-value (p<0.05). RESULTS : The Vebe time prediction model achieved an adjusted R2 value of 64.14% with a significance level (p-value) of less than 0.05. This shows that the predictive model is adequately described for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at the model is suitable for Vebe time predictions. Moreover,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s less than 0.05, indicating significant effects on the Vebe time (i.e., the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 The Vebe time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imate Vebe times with an R2 of 63.33%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values. The proposed Vebe time prediction model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quality control of RCCP mixtures. Moreo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hieving good RCCP construction quality.
        4,000원
        45.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 D/B를 기반으로 보간식을 산출하여 개활지 폭발현상에 의해 기둥에 작용하는 폭압이력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D/B 구성을 위해 7종류 기둥 너비에 대해 총 70회의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했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확인을 위해, 기존에 제시된 경험식 기반의 예측식과의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D/B를 구성하는 point 외의 영역에서의 예측 정확도 확인을 위 해 유한요소해석 결과와의 비교/검증 연구를 추가로 수행했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경험식 기반 예측식에 비해 유한요소해석 결 과와 유사한 결과를 산출함을 확인했다.
        4,000원
        46.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골재, 모래, 시멘트, 담수, 혼합재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되어있으며 재령에 따라서 강도가 증 가한다. 콘크리트에 필요한 각 재료의 비율은 혼합 설계를 통해 결정되지만, 콘크리트의 강도는 실험적으로 측정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통계수 학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다. 이전의 연구는 콘크리트 압축 강도 예측에 신경망 기법이 가장 적 합하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신경망 기법은 다른 기계학습과 비교하여 모델 학습에 계산 비용이 많이 들어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회귀 분석 모델이 개발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경망 대신 최신 회귀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강도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개발된 회귀 분석 모델에 대한 교차검증을 시행하여 최적의 모델을 선정하였다. 그리드 검색을 통하여 선정된 각 모델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고, 국내외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훈련하고 검증하였다. 이들 중 CatBoost, LGBMR, RFR, XGBoost 회귀모델이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 중에서 XGBoost 회귀 분석 모델이 가장 작은 오차와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이들 중 오류가 가장 큰 LGBMR 모델도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신경망 및 앙상블 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현장 레미콘 콘크리트에 대한 압축 강도 예측을 시행하여 학 습된 모델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300원
        4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온실 내부온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을 수행 하였다. 온실 시스템의 내부온도 예측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 이 연구됐지만, 가외 변인으로 인하여 기존 시뮬레이션 분석 방법은 낮은 정밀도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 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개발되고 있는 데이터 기반의 기계 학습을 활용하여 온실 내부온도 예측 모델 개발을 수행하였 다. 기계학습모델은 데이터 수집, 특성 분석, 학습을 통하여 개 발되며 매개변수와 학습방법에 따라 모델의 정확도가 크게 변 화된다. 따라서 데이터 특성에 따른 최적의 모델 도출방법이 필요하다. 모델 개발 결과 숨은층 증가에 따라 모델 정확도가 상승하였으며 최종적으로 GRU 알고리즘과 숨은층 6에서 r2 0.9848과 RMSE 0.5857℃로 최적 모델이 도출되었다. 본 연 구를 통하여 온실 외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온실 내부온도 예 측 모델 개발이 가능함을 검증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온실데이 터에 적용 및 비교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후 한 단계 더 나아 가 기계학습모델 예측(predicted) 결과를 예보(forecasting)단 계로 개선하기 위해서 데이터 시간 길이(sequence length)에 따른 특성 분석 및 계절별 기후변화와 작물에 따른 사례별로 개발 모델을 관리하는 등의 다양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4,200원
        48.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주요 사회기반시설의 70% 이상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다양한 사회적ㆍ환경적 변화로 인한 내하력 저하 및 노후화 진행이 발생됨에 따라 섬유강화 복합소재(FRP)를 활용한 유지보수 수요 및 비용이 급격히 증가되 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FRP 보강재를 활용함에 있어서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FRPㆍBFRP 복합재료를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고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인 섬유/수지 함침률을 54.3%, 43.9%, 39% 3가지로 분류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이를 활용하여 FRP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매개변수에 따른 성능평가 결과, 두 섬유 모두 함침률이 낮아질수록 재료성능 또한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BFRP의 경우 39%의 함침률에서 감소폭이 CFRP 대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와 기존의 예측 모델식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약 15%의 오 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보정계수를 산정하여 예측 모델식을 재정립하였다.
        4,200원
        49.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traffic node-based and link-based accident prediction models using XGBoost which is very excellent in performance among machine learning models, and to develop those models with sustainability and scalability. Also, we intend to present those models which predict the number of annual traffic accidents based on road types, weather conditions, and traffic information using XGBoost. To this end, data sets were constructed by collecting and preprocessing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road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The SHAP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The five main variables of the traffic node-based accident prediction model were snow cover, precipitation, the number of entering lanes and connected links, and slow speed. Otherwise, those of the traffic link-based accident prediction model were snow cover, precipitation, the number of lanes, road length, and slow speed. A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ose models, the RMSE values of those models were each 0.2035 and 0.2107. In this study, only data from Sejong City were used to our models, but ours can be applied to all regions where traffic nodes and links are constructed. Therefore, our prediction models can be extended to a wider range.
        4,000원
        56.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주시에 위치한 기린봉, 완산칠봉, 황방산 등 3개의 산지형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이용권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근린공원까지의 도달거리를 사용하여 유효이용수요를 예측한 것이다. 조사대상 3개 근린공원의 이용자는 주로 40대~60대 이상이었으며, 이용방법은 주로 도보로 근린공원에 도달하였다. 방문횟수는 주간 1~2회 정도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근린공원의 유효 이용권을 1,000m로 설정하여 변형 중력모델에 의해 이용수요를 예측한 결과 기린봉 근린공원은 4,500명/일, 완산칠봉 근린공원은 3,159명/일, 황방산 근린공원은 2,961명/일이었다. 전체 유효 이용수요는 기린봉 근린공원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면적대비 유효이용수요는 완산칠봉 근린공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5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공력감쇠는 풍직각방향의 와류공진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부공력감쇠는 진동유발하중 또는 피드백 하중을 구성하는 주요인자로 와류진동이 급격히 발현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력감쇠의 수학적 모델 을 제시하고 와류유발하중모델과 함께 와류진동을 예측하는 프러세스를 제안한다. 직사각형단면에 대한 공기력진동실험을 수행하여, 계측된 가속도로부터 공력감쇠와 와류유발하중을 추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공력감쇠모델과 와류유발하중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을 다룬 다. 최종적으로 공력감쇠모델과 와류유발하중 모델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가속도응답을 구하고 계측된 가속도와 비교하여 모델의 진동예측성능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와류하중모델의 진동예측성능을 평가한 결과 안정적이며, 신뢰도가 높은 와류진동예측 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토대로 15개 환경 변수를 활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의 위험지역 분포를 예측하였다. 연구는 최대 엔트로피 모델을 머신러닝 기법으로 활용하였고, 연구 지역은 경주이며 연구 기간은 2018∼2020년이다. 모델의 평가에는 AUC(area under the curve)를 이용하였다. 연구 지역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의 감염목 핵심 분포 지역은 2018년 대비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2.5배와 4.7배 확대되었다. 소나무재선충병의 감염목 분포 추정 모델의 AUC는 모든 해에 최소 0.86 이상이었다.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직전 해의 감염목 근접도 이었다. 지형과 도로와의 인접성, 목조건물 인접성, 5월 평균 기온도 중요한 변수이었다. 인간 활동과 매개충의 생장 환경이 소나무재선충병의 공간적 분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연구의 결과는 감염목 분포 정보의 지속적인 구축과 공유가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정책과 연구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4,800원
        6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oposes a model predictive controller of robot manipulators using a genetic algorithm to secure the best performance by performing parameter optimization with the genetic algorithm. Genetic algorithm is a natural evolutionary process modeled as a computer algorithm and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global optimization, so it is useful for tuning control parameters. The sliding mode controller and inverse dynamics controller are inclu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del prediction controller to minimize the problems caused by non-linearity and uncertainty of the robot manipulator. The performanc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confirmed in detail through a simulation stud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