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4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국내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중 소비량이 많고 신선 채소로 이용되고 있는 시금치, 상추, 배추의 평균 질산염함량은 각각 403~~6,935 (평균 3,088), 31~~5,391 (평균 2,412), 310~~6,374 (평균 3,017)mg/kg으로 각 시료에 따라 다양한 분포 특성을 보였다. 2. 근채류와 과채류 중 질산염함량은 엽채류에 비해 상당히 낮았고, 최근 소비량이 다소 증가하고 있는 특수채소류의 평균 질산염함량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분포특성을 보였으며, 조사된 14종의 특수채소 중 청경채와 취나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채소류는 평균 3,000mg/kg의 낮은 질산염 분포를 보였다. 3. 신선 채소 중 질산염함량은 지역간에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하절기 시료가 동절기에 비해 높은 질산염함량 분포를 보였다. 4. 가공채소 중 단무지와 배추김치, 열무김치 즙액중의 평균 질산염 함량은 각각 평균 346, 1,471, 3,240mg/kg이었고, 국물 중 질산염 함량은 각각 340, 979, 1,383mg/g이었으며, 지역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신선 채소류 중 질산염이 가공과정을 통해 다량 저감되었으며, 가공 채소류의 질산염함량이 신선 채소류의 질산 염함량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2.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sludge of S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Korea, we isolated the denitrifier DN-9 which showed the ability of denitrification under aerobic condition by the color change and gas formation in liquid culture with Giltay medium.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DN-9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16S rRNA. The isolated strain, Pseudomonas sp. DN-9, has cytochrome cd1 nirS of nitrite reductase. By the co-existance of additional ammonium and nitrate ion, the strain was not affected largely on growth in SL series broth. It seemed the result of denitrification. Although Pseudomonas sp. DN-9 has a good nitrate reduction activity under aerobic condition, the activity is less than Pseudomonas stutzeri in same cultivation condition. However, Escherichia coli had little the activity of aerobic denitrification and Pseudomonas putida showed lower activity of aerobic denitrification than Pseudomonas sp. DN-9 and Pseudomonas stutzeri in this study.
        43.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안 준설퇴석물을 열처리, 생물침출공정을 이용한 중금속처리, 중화처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전처리한 재료를 이용하여 연안해수에 함유된 질산염의 흡착특성에 대한 실험실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처리된 퇴적물의 흡착평형시간은 생물침출-열처리 퇴적물이 17분으로 가장 빨랐으며 생물침출-중화-열처리 퇴적물과 생물침출퇴적물이 각각 25분. 27분으로 황토와 열처리 황토에서의 3,3분, 32분 보다 빠르게 흡착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험된 재료들에 대한 흡착공정은 Freundlich 등온흡착식으로 해석할 수 있었으며, 전처리한 퇴적물의 흡착속도가 황토에 비해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질산염의 흡착량은 퇴적물과 열처리 퇴적물에서 각각 2.l2, 2.19 mg NO3-N/g 으로 가장 많았으며 열처리 등으로 전처리된 퇴적물은 연안해수의 수질개선을 위한 흡착재로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