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재배원에서 발생하는 밤바구미를 물리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침지처리 온도 및 시간별로 유충에 대한 방제효과와 밤 종실에 미치는 성 분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밤 종실내의 밤바구미 유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조건(30, 35, 40, 45, 50℃)과 시간별(1, 2, 3, 5, 7, 10, 15, 22, 24시간)로 처리하여 방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침지처리에 의한 밤 종실의 변화 조사로는 밝기(lightness), 적색도(redness), 황색도(yellowness) 등의 색도의 변화와 발아율, 부패율과 같은 생리적 변화, 경도(hardness)와 같은 물리적 변화, 수분함량과 유리당, 탄닌과 같은 성분변화를 조사 하였다. 침지처리를 이용한 밤바구미 유충의 방제 효과는 30℃에서 2시간 후부터 70%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7시간 후부터는 100% 방제 효과를 보였다. 40℃에서는 2시간 후부터 90%의 효과를 보였으며, 45℃ 이상에서는 침지 처리 1시간 후부터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 다. 밤 종실에 대한 색도의 변화는 30℃와 35℃에서는 큰 유의차가 없었으나 40℃ 이상의 온도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밝기, 적색도, 황색도 에 영향을 미쳤다. 발아율의 경우 침지처리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40℃ 이상의 온도조건에서는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부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도는 온도와 침지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침지처리에 의한 종실 성분의 변화는 온도와 침 지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리당함량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적절한 온도와 시간조건에서의 침지처리가 밤바구미 유충 방제에 효과적 이며, 밤 종실의 상품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밤 종실의 침지조건을 선별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the modern pig industry is infectious disease. Susceptibility to infectious diseases is influenced by both constitutional (e.g. genotype, age, gender, and reproductive status) and environmental factors (e.g. nutrition, management, infections, and other forms of stress). Genetic variations within individual animals or herds can cause differences in the execution of immune functions against infectious agents in domestic pig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genetic factor(s) responsible for piglet survival and mortality under commercial field conditions with infectious diseases as well as determine QTL regions for immune capacity in a pig reference family. Sex ratio was examined between normal grown and presumed dead groups of F2 animals generated by Korean native pigs (KNP) and Yorkshire (YS) breeds. The ratio of ma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sumed dead group than in the normal grown group. In order to study genetic factors associated with presumed mortality under disease outbreak, allelic frequencies of 239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compared between normal grown and presumed dead groups. Exactly 22 SN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llelic frequenci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four of them were validated with another commercial population divided by normal and emaciated pig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239 SNPs and immune-related traits were studi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dentification of genetic components of animal immune systems and susceptibility to infectious diseases is possible and will be useful to improve disease resistance in individuals as well as in breeding programs.
대구의 동남부지역에 위치한 망월지에서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에 일어난 두꺼비 유생의 집단폐사에 관한 연구이다. 망월지두꺼비를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Aeromaona hydrophila를 분리해낼 수 있었다. A. hydrophila는 수계환경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기회감염균이다. 2007년~2009년 상승된 기온변화가 망월지내의 수온을 상승시킴으로서 어패류 및 양서류의 병원성 세균인 A. hydrophila의 급속한 증식이 유발되어 두꺼비유생을 감염시켜 집단폐사로 이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Hufnagel), damages various cultivated crops and is also occasionally a serious pest of turfgrass, especially on golf courses. Essential oils have potential as alternative control agents for insect pests. Sixteen essential oils (anise, camphor, cinnamon, citronella, clove,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thyme, turpentine and tea saponin) and paraffin oil were assessed in the laboratory and the green house for their efficacy against black cutworm larvae. Treatment of potted perennial ryegrass with anise, cinnamon, neem, paraffin or turpentine reduced black cutworm damage in a greenhouse trial. Neem oil (2000 ppm) reduced growth of black cutworms feeding on treated clippings within 3 and 5 days. Treatment of perennial ryegrass in pots resulted in 100, 100 and 46% mortality of black cutworm at 4000, 2000 and 1000 ppm, respectively. Weight of survivors at the 1000 ppm rate was 5 fold less than weight of comparably-aged controls.
공공사업이나 자동화 생산시스템 등에 있어서 설비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이러한 설비들의 경제적 설비 대체 분석을 위하여 설비에 대한 수명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설비들의 폐기 자료가 불충분한 경우의 수명분석에서 Iowa형 생존곡선을 기초로 한 CM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SPR 방법이 평균 수명만을 추정하는데 비하여 제시된 CM 방법은 설비의 수명분포를 추정함으로써 평균 수명뿐만 아니라 폐기 자료의 폐기곡선과 폐기율을 추정할
연안개발에 의하여 해양으로 유입되는 부유토사는 해양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를 이용하여 부유토사 농도 변화에 따른 폐사율 및 글리코겐 함량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0~2,000 mg/L의 부유토사 농도구에서 96시간 동안 노출을 행한 결과 전복의 폐사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연체부의 글리코겐 함량에 있어서는 1,500 mg/L 이상의 농도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부유토사가 전복의 폐사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부유토사에 의하여 건강상 장해를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유토사의 영향을 고려하여 양식장으로의 토사유입을 방지 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Sediment microcosm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14 and 28 days using Zn spiked sediment to examine chronic toxicity (mortality) of Diporeia spp. as a function of density and time. Mean cumulative Diporeia mortality in 28 day sediment microcosms was 25%
Effects of three packing materials and exposure time on the mortality of Plodia interpunctella and Tribolium castaneum were studied using CO₂-modified atmosphere control. Materials used were triple layered craft paper (KKK), triple layered craft paper with one laminate coating layer (KLK), and triple layered craft paper with one HD film coating layer (KHK). In the test balls (ø 1.2 m) containing 85% CO₂-modified atmosphere, concentration of CO₂ in small packing envelopes (9.8×9.8 ㎝) made of the materials after one day was higher in KKK (26.67±0.58%) than KLK (23.33±0.58%) or KHK (20.67±0.58%). Both P. interpunctella and T. castaneum showed higher mortality in KKK than in either KLK or KHK.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by larger space (9×4×3 m) and packing volume (20 ㎏) studies. The effect of the packing materials was clearer on T. castaneum more tolerant to CO₂ than P. interpunctella. Regression of the insect mortality on cumulative concentration time (∫<SUP>t</SUP>₀c × tdc ≈ ∑concentration × time) was highly significant. Control of P. interpunctella and T. castaneum by CO₂-modified atmospher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acking materials, cumulative concentration time of CO₂ and food products.
1996년 여름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전에 볼 수 없을 정도로 유용 대형저서동물이 대량으로 죽어, 전복, 오분자기, 소라, 해삼, 말똥성게에 큰 피해를 주었다. 제주도 해안에서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은 없었고, 대량폐사가 일어나기 전에 해안에서 표층 저염수가 나타났기 때문에 저염분 스트레스가 대량폐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같은 기간 관측된 강수량이 적어, 강수량으로 저염화를 설명하지 못한다. 국립수산진흥원(1997)이 관측한 자료는 1
Yeats는 노년의 질고와 생사문제를 명상하는 Last Poems에서 자아의 이원적 존재를 표상한다. 육체적으로 죽어가는 노인으로서의 시인과 내적자아가 희구하는 시인상의 이원성이 기존 주제와 상충되는 새로운 주제를 암시해준다. 종래의 지성적, 철학적, 신비학적, 음유시인적, 마스크 중심적인 주제를 넘어서는 새로운 주제는 생사의 문턱에서 죽음관, 도취하여 즐거워하는 육체성, 무도성, 성적표현성을 매개로 한다. 이 두 주제는 인간의 운명에 대한 내적 각성, 민족성과 정신의 본질로의 침잠/축소/회귀, 지적 심사(心事) 등과 대비되는 죽음의 공포로부터 탈출하여 최고 비전, 최고영성, 최고열반(희열) 등으로 상승하는 주제가 된다. 제1주제가 지성주의, 철학, 고담준론, 신비주의 이론, 마스크 이론, 젊은 시절의 바빌로니아 주제라고 한다면, 제2주제는 경험중심, 촉각과 현실 인식주의, 현실쾌락의 참여성, 정열적 희열감, 생의 기쁨 속에 잠겨서 긍정적으로 술 마시고 춤추는 모습, 성적 회춘기 성향 등이 된다. 그런데 Last Poems에서는 제 2 주제가 보다 강하게 표출되는데, 마치 블레이크, 로렌스적인 성감과 생의 자유성을 피력해준다. 이 성향은 시적 감수성 면에서 바빌론적인 시성에서 인도 및 중국적인 현실성과 성적 감각을 제시한다. 또한 기독교적, 그리스적 정신성, 또는 극동 아시아적 특성보다는 근동이나 인도적 정신성을 암시 받는다.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a dynamic process of a foreign direct investment, from a subsidiary`s birth to its death. With this model, we will be able to reveal those factors which play different roles in determining the mortality of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Korean multinationals. The outcomes of the empirical testing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evity of a foreign subsidiary and the subsidiary`s initial resource. The parent company`s successive resource transfers to the subsidiary was crucial in explaining the mortality of a foreign subsidiary, as well. Furthermore, interesting is the parent company`s commitment to the projec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ongevity of its foreign subsidiary. Among the other factors, transferability of the resources also turned out to be a meaningful factor in the mortality proces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담배나방(Heliocoverpa assulta)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유충에 대한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과 담배의 산물인 니코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다이아지논이 처리된 담배나방유충의 사망률은 파밤나방유충의 경우보다 훨씬 높았으며 니코틴 처리구에서는 이와 반대양상을 나타내었다. 담배나방유충 중장의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MFO) 활성은 다이아지논 처리구에 비해서 니코틴 처리구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담배나방유충을 기주식물인 담배잎으로 사육하였을 때 다른 화합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니코틴은 변화 없이 배설되었다.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embryonic or fetal loss after breeding is common in the cattle and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reproductive efficiency. The causes of this loss have been subject of extensive researches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mbryonic mortality may he primary factor responsible for low pregnancy rates in non-embryo transfer bovine populations as well as embryo transfer programs. However, it's causes are still not clearly understood. The embryonic mortality or pregnancy rate has been influenced by various embryonic and maternal effects related to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timing and extent of embryonic mortality vanes greatly according to authors and estimating methods,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ke direct measurements. The major important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embryonic losses or pregnancy rates after embryo transfer can be summeirized. 1.When an embryo is transferred to unmated recipients, the contralateral transfer to corpus luteum results in a lower survival rate than ipsilateral deposition. When the embryos are transferred for the production of twin calves, their survivals and twin pregnancies have quite inconsistent according to the transfer methods either to the unmated-synchronized or already mated recipients and more works are needed to accurrately clarify the previous results. 2.Although embryos can be cultured in vitro some hours without the great declines in pregnancy rates, the rates differ markedly among culture times and media but may be improved by co-transfer systems. 3.Embryo developmental stages and quality grades clearly affect the survival rate following freezing and the pregnancy rate after transfer and the selection of embryos without chromosome abnormalities and of high fertile semen may also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s. 4.Many researches have attempted to relate the plasma progesterone levels to pregnancy rates and others have done either direct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or luteal stimulation by hCG treat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s. However, these effects on pregnancy rates are inconsistent and also contradictory. 5.The asynchrony between donors or embryos and recipients may he a major cause of embryo death and low pregnancy rate and the sensitivity to uterine asynchyony differs in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tages of embryos. 6.The extremes of poor or over nutrition during early pregnancy in the recipients are detrimental to the survival of embryos and the good body condition is required to prevent a reduejion of pregnancy rates. The uterine pathogens in embryonic mortality or fertility have been questioned but the infection of C.pyogenes and Campylobacter fetus is still important pathogens. 7.The heat stress during early pregnancy may reduce conceptus weight and possibly increase the embryonic mortality.
Padan (Cartap)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 방제효과 및 이들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내시험, 폿트시험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벼멸구에 대한 Padan의 치는 암컷은 (24시간)(48시간)/충이었고, 수컷은 (24시간) (48시간)충/ 이었다. 2.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치는 온도수준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에서는 /충, 에서는 /충, 에서는 /충 이었다. 3.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치(ppm)는 칩엽처리에서는 낮았다. 즉, 침근처리에서 살충효과가 훨씬 높았다. 4.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감로배치량은 로서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 에 비하며 낮았으나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와 비등하였다. 5.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성충에 대해서는 낮았고 약충에 대해서는 높았다. 6. 폿트시험에 있어서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Broadcasting와 Top-dressing 처리간에 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7. 폿트시험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는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높았다. 8.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차세대의 밀도는 총 513마리로서 무처리구 550마리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Furadan 처리구의 3.0마리에 비하여는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Diazinon 처리에서 370.7 마리 비해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9. 수원지방에 있어서 Padan 4 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인데 비하여 Diazinon , Furadan 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벼멸구 방제효과가 높았는데 그 현상은 Diazinon, Furadan 처리에서 더욱 뚜렷하다. 10. 해남지방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인데 비하여 Diazinon처리구 . Furadan 처리구 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수원의 방제효과에 비하면 좀 낮은 편이었다. 담수조건과 배수조건에 따른 방제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Diazinon과 Furadan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1. 포장시험결과 Padan 4G는 4kg/10a 수준에서 벼멸구 방제효과 발현은 충분하였다. 12. 폿트시험과 포장시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서는 금후에 연구검토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