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4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사료원으로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이용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구 (볏짚+농후사료 체중의 2.0%, 청보리 사일리지 + 농후사료 체중의 2.0%, 체중의 1.5%, 체중의 1.0%)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1일 두당 가소화 조단백질 섭취량은 대조구, 청보리 사일리지에 농후사료를 각각 체중의 2.0과 1.5% 급여구가 농후사료를 1.0% 급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가소화 NFC 섭취량은 청보리 사일리지와 농후사료를 체중의 2.0% 급여구가 가장 높았고, 농후사료를 1.0% 급여구가 가장 낮았다 (p<0.05). 일당 증체량은 청보리 사일리지+농후사료 2.0%, 청보리 사알리지+농후사료 1.5%, 볏짚+농후사료 2.0%, 청보리 사일리지+농후사료 1.0%,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p< 0.05). 건물소화율은 청보리 사알리지와 농후사료를 1.5% 급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축적량은 대조구와 청보리 사일리지에 농후사료를 각각 체중의 2.0과 1.5% 급여구가 농후 사료 1.0% 급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청보리 사일리지를 조사료원으로 급여시 육성기 흑염소의 생산성과 효율적인 영양소 이용을 위한 농후사료 급여수준은 1.5%가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계사료 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 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샤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혼파 총체보리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T1), 헤어리베치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2), 사료용 완두 (forage pea)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3)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T4)}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과 유기물 섭취량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조단백질 섭취량도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ADF와 NDF 섭취량은 IRG>HV> 총체보리 단파>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IRG와 HV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과 유기물 소화율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질소섭취량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총체보리와 헤어리베치 혹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가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척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feeding ratios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the embryo production in Hanwoo donors. All donors were basically fed 2.5 kg concentrate daily. Don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feeding of forage; hay 70% and rice straw 30% (control, n = 21), whole crop barley silage 80% and rice straw 20% (T1, n = 25), and whole crop barley silage 60% and rice straw 40% (T2, n = 23) fed based on TDN 6.70/ BW 500 kg. All Hanwoo donors received a CIDR together with injections of 1 mg estradiol benzoate and 50 mg progesterone (, Day 0). Four days later, they were superovulated with 28 mg FSH twice daily IM in decreasing doses over 4 days. Then donors received 2 doses of (25 and 15 mg) with the 5th and 6th injections of FSH on Day 6. CIDR were withdrawn at the 6th FSH injection and the donors received GnRH 36 h after the second injection. The donor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t 8 and 24 h after GnRH, and embryos were recovered 7 or 8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The flush rate of the donors following positive superovulation responses did not differ among groups (76.2~96.0%, p>0.05). The number of corpus luteum (CL) at embryo recovery also did not differ among groups (10.6~14.0, p>0.05). Furthermore, the mean numbers of total ova (9.4, 10.5 and 12.0) and transferable embryos (5.3, 12.0 and 6.5)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control, T1 and T2 groups, respectively (p>0.05). However, mean concentrations of serum of the T1 (64.2 ng/ml) and T2 groups (55.7 ng/ml)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43.3 ng/ml, p<0.01), while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control (105.8 mg/dl) and T2 groups ()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T1 group (121.1 mg/dl, p<0.05). Conclusively, whole crop barley silage can be fed a good substitute for hay forage for Hanwoo donors. Furthermore the ratios of whole crop barley silage 60% and rice straw 40% might be more worthful for embryo production.
        4,000원
        4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농가에서 제조한 사일리지의 품질에 관한 분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사일리지 품질경연대회에 출품한 농가의 청보리 사일리지 33점의 품질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품질평가는 생산지역, 생산량, 첨가제 사용유무,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청보리 사일리지 생산지역별 품질의 비교에서는 젖산 함량은 생산지역, 건물수량, 첨가제사용유무, 수확시기에서
        4,000원
        4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일리지 조제시 품질 개선을 위한 젖산균 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조사료 분석실험실에서 수행하였다. 보리는 한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서 대부분이 식량으로 이용되나 곡실부분이 많아 가축의 사료로도 활용되며 특히 총체보리로 하여 반추가축의 조사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시험은 우량 보리 사일리지에서 젖산균을 수집하여 0.02% 가 함유된 MRS agar에 도말하여 생장을 보며 1차 선발한 후 M
        4,000원
        4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친환경적인 조사료 생산과 사료가치 향상을 위해 콩과 작물과 청보리 혼파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최근 보리 재배시 심하게 발생하여 감수를 초래하는 토양 전염성 병인 호위축 바이러스(BaYMV) 발생은 간작에서 3정도 발생하였으나, 혼파했을때는 발생이 1 정도로 경감되었다.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또는 자운영을 혼파했을 때, 혼파에서 출수 및 성숙기가 간작보다 다소 빨랐으며, 질소 시비량이 늘어날수록 생육이 지연되었다. 청보리의 단위면적당 수수는 간작에서
        4,600원
        50.
        200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November 2007 and October 2008 in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nam National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anwoo heifers and cows. Two diets, rice straw or whole crop barley silage separately from concentrate were fed 11 Hanwoo heifers and 26 Hanwoo cows. In control group (=CON), heifers (n=6) and cows (n=13) were fed 7 kg (/head) rice straw and 4 kg (/head) commercial diet. In whole crop barley silage group (=WBG), heifers (n=5) and cows (n=13) were fed 8 kg (/head)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1 kg (/head) commercial diet. 1. Conception rates for first service in CON or WBG heifers were 66.7% (4/6) and 60.0% (3/5), respectively, and the services per conception cows were 1.5±0.2 for CON and 1.4±0.2 for WBG group. 2. Days to post-partum insemination were 106.6±26.3 days for CON and 85.6±12.6 days for WBG group, and days to post-partum conception in CON or WBG were 128.4±27.1 and 96.8±16.8 days, respectively. 3. Post-partum conception rates for first service in CON or WBG were 76.9% (10/13) and 84.6% (11/13), respectively, and caving interval was 418.1±50.7 days for CON and 392.8±20.7 days for WBG group.
        3,000원
        5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보리와 월동 콩과작물인 사료용 완두와의 혼파재배를 통해 사료작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작부체계로서의 혼파비율을 구명하고, 조단백질, ADF, NDF 등과 같은 사료가치와 수량을 만족하는 적정한 혼파비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였을 때 청보리의 생육특성에서 출수일과 초장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청보리의 경수는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지만, 사료용 완두의 개체수는 증가하였다.
        4,000원
        5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uble cropping system, such as winter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rice (WBFR) or after Sorghum × Sudan hybrid (WBASS), in paddy land on the properties of soil and water. A field study was conducted at Baeksan-myeon, Kimje, Jeonbuk province in Korea on clay loam soil for 3 years. All plots were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pH and the contents of T-N, P₂O? and organic matter (OM)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in both WBFR and WBASS. The contents of an exchangeable cations (CEC)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The concentrations of NO₃-N, NH₃-N and PO₄-P in discharge and leaching water were not influenced by the cropping system.
        53.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under double cropping system such as winter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rice (WBFR) or after Sorghum ㎡ Sudan hybrid (WBASS) in paddy l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at Baeksan-myeon, Kimje, Jeonbuk province in Korea on clay loam soil for 3 years. All plots were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yield of dry matter (DM) of whole crop barley in WBASS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WBFR. And then, the contents of ADF, NDF and TDN of whole crop barley in WBASS treatment were higher t㏊n those of WBFR.
        54.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rley is an important substrate for forage production in winter season of Korea. In this study, field trial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rvest time and cultivar on the yield and quality of forage barleys developed in Korea. Four whole crop barley cultivars (Youngyang, Wooho, Yuyeon and Dami) were selected and harvested on five separate growth stages (heading, and intervals of 1, 2, 3, and 4 weeks after heading) in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were determined.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harvest time and cultivar in dry matter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for forage. The interaction between harvest time and cultivar was not significant. The TDN yield trends were increasing with later harvest time due to higher dry matter yield and TDN content. This experiment provides some interesting results with respects to optimum harvest time, feed value and ultimately yield for the different whole crop barley cultivars.
        55.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whole crop barley are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but silage quality of the whole crop barley produced from farmer's fields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age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which was participated in Korean quality contest in 2008. These data were classified by region, forage production, added inoculants, planting date and harvest date. Difference on lactic acid of barley silage was detected in the region (p<0.05), however, th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chemical composition. The moisture and lactic acid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 matter yield of barley silage.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silage added inoculants and control. Differences between planting dates in ash and crude protein (CP) were detected in barley silage (p<0.05). From comparison within harvest date, lactic acid ㏊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arley silage. Differences in forage quality were observed among whole crop barley for silage. Therefore, nutritional quality as well as lactic acid is important in silage quality contest of whole crop barley.
        5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사료용 청보리 전용품종들의 수확 시기별 수량과 품질을 검토하여 적정 수확 및 이용시기를 도출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시험은 수확시기를 주구로 5회 (출수기로부터 7일 간격), 품종을 세구로 4품종 ('영양', '우호', '유연', '다미')을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실시하였고,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지상부 이삭비율은 출수기 이후 직선적으로 증가
        4,000원
        5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보리 소비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재배 면적도 줄어들어 겨울철 논을 이용한 보리 재배 농가의 대체 소득원이 보리를 활용한 조사료 생산이다. 경지이용률 제고와 양질의 조사료 공급은 국내 축산 농가의 국제경쟁력을 올릴 수 있어 최근 청보리의 생산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총체사료용 청보리는 식용보리에 비하여 전체적인 건물수량성이 높아야 하고 가축이 먹기에 좋도록 형태적으로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 동안 개발된 총체사료용 청보리는 벼와의 작부체계에
        4,000원
        5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축산분뇨를 이용한 사료작물을 재배할 때에 가장 큰 문제점은 지나치게 생육이 왕성하여 수확 전에 도복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본 연구는 논토양의 유기물함량에 따른 품종별 작물학적 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선우보리, 영양보리, 상원보리, 우호보리, 소만보리, 유연보리 등 6품종을 비옥도가 다른 논토양에 2006년 10월 18일에 파종하여 연구한 결과 공시품종 중에서 비옥지에서는 우호보리와 소만보리가 내도복성이 강한 것을 알 수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