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4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replication study of Hanaoka and Izumi (2012),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process of learners’ noticing of problems in their interlanguage (IL) while they were producing the second language (L2) and their process of relevant input provided in the form of two types of feedback (i.e., reformulation and a model text) in L2 writ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wenty-fiv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y engaged in a four-staged picture description task consisting of the writing stage (Stage 1), the comparison stage (Stage 2), the immediate revision stage (Stage 3), and the delayed revision stage (Stage 4). It was found that output triggered learners’ noticing of problems; however, the problems did not always show up overtly in their writing. Some problems were manifested in writing (i.e., overt problems), while some were hidden (i.e., covert problems). A model text and reformulation played somewhat different roles in offering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a model text provided more solutions to covert problems while reformulation provided more solutions to overt problems. And, the extent of learners’ noticing was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problems (overt vs. covert problems) and feedback (i.e., models vs. reformulation). However, the types of problems and feedback were not related to the rate of incorporation of feedback into subsequent writing.
        6,900원
        46.
        201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earners’ prior knowledge of a linguistic form on the noticing function of output (Swain, 1995), which might mediate second language (L2) production and learning. Based on the degree of prior knowledge of the target form,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levels. The noticing scores (measured by underlining in the subsequent input) showed that Level 2 participants—who had partial knowledge of the target form—noticed more target forms than the other levels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duced more target forms on the second output activity than on the first output activity. However, learners’ increased noticing did not lead to immediate increased improvement of production and learning. Some prior knowledge of the target form was able to mediate noticing of the form, but one-time noticing might not be enough for promoting improvement of production and learning of the target form.
        6,300원
        4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계청에서는 소지역통계공표구역 설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소지역통계공표구역(이하 집계구)설정에 대한 1차년도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본 연구는1차년도에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된 집계구 획정결과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목적이 있다. 1차년도 연구에서 자동획정된 집계구를 현장자료와 비교해 본 결과 주택유형의 혼재,인구 과소․과밀 집계구,사회경제적 동질성 저해,불규칙한 집계구 형태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준을 보완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보완된 기준은 기초단위구에 아파트 및 용도지역 정보 반영,인구 과소 대구역 경계조정 등으로 구성하였다.그 결과 집계구 내의 동질성과 인접한 집계구간 이질성을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대안은 집계구 획정 작업과정의 지침으로 반영하여 집계구가 보다 동질적인 지역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4,200원
        48.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력발전기의 출력곡선은 풍속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풍력발전기의 출력은 밀도에 비례하고 풍속의 삼승에 비례하므로 신뢰성 있는 출력곡선을 얻으려면 풍황중 특히 풍속도을 정확히 측정하고 분석하여야 한다. 풍속도는 크기인 풍속과 풍향으로 표현되는 매우 불규칙한 난류 벡터량이다. 풍속도 난류는 출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특성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풍속도의 난류를 먼저 난류강도로 나타내어 출력에 대한 영향을 풍속의 함수로 분석하였다. 이어서 풍속도의 난류를 풍속난류와 풍향난류로 나누어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난류강도와 풍속의 함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동풍속 부근의 저속영역에서는 난류강도가 큰 경우가 보다 큰 출력을 생산함을 알게 되었다. 연간발전량 역시 연평균풍속이 시동풍속 부근인 경우에는 난류강도가 큰 경우가 많았으나 풍력발전이 경제성을 갖는 풍속에서는 예상대로 난류강도가 작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시동풍속 부근의 저풍속 영역에서는 풍속난류가 출력에 큰 영향을 주며, 고풍속 영역에서는 풍향난류가 출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9.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물에 고유한 진동수,모드형태 및 감쇠비 등과 같은 동적성능치를 추출하기 위하여 25층 및 42층 건물에 대하여 자연진동에 의한 동적계측실험을 수행하였다. 고려된 건물은 주요 횡하중 지지기구로서 코아벽체 혹은 전단벽체가 추가된 철근콘크리트건물이며, 입면 혹은 평면상으로 골조가 혼합된 구조형식을 나타낸다. 특히, 25층 건물은 측면에 위치한 코아벽체 이외에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전단벽 구조가 4층 바닥이하에서 골조형식으로 전환되는 복잡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이유 및 건물 주방향의 유사한 강성배치로 매우 근접하고 혼합된 모드형태가 예상되어 시스템판별 시 어려움이 예상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시스템판별법을 대상건물의 자연진동 실측기록에 적용하여 모달계수를 유도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3개의 주파수영역 및 4개의 시간영역에 근거한 응답의존 시스템판별법이 고려되었다. 서로 다른 시스템판별법에 의하여 추출된 고유진동수 및 감쇠비는 대체로 상당한 일치를 보였으나, 모드형태는 사용된 방법에 따라 정도가 다르게 불일치를 나타냈다. 실험으로부터 추출한 성능치와 초기 유한요소해석 값을 비교해 본 결과 대상건물 모두 적어도 저차 3개의 고유진동수에서 2배 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실험과 해석결과의 일치를 위하여 몇몇 수동모델향상이 시도되었으며, 허용할 만한 결과를 획득하였다. 사용된 시스템판별법에 대하여 각자의 장, 단점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본 연구와 같은 실제 대형구조물에 대하여 자동모델향상기법을 적용할 시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4,800원
        50.
        200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52.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800원
        53.
        200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54.
        200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teady-state simulation the output data of the transient phase often cause a bias in the estimation of the steady-state results. A common method is to cut off this transient phase. This paper presents a new heuristic used to detect the warm-up period in steady-state simulation output. An evaluation procedure is used to compare the presented rule, called EVR, with the method MSER-m known as the most sensitive rule in detecting bias and most consistent rule in mitigating its effects. The rules are applied to the output generated by M/M/1 queuing process and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s is tested at 4 different levels of utilizations. Various measures of goodness ar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consistency and confidence of the methods.
        4,000원
        56.
        200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57.
        200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59.
        200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electrode fabrication of unit cell, it was ascertained that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greatly increased with 90 wt.% of BP-20, 5 wt.% of Super P and 5 wt.% of mixed binder [P(VdF-co-HFP) : PVP =7 : 3] The self-discharge of unit cell showed that diffusion process was controlled by the ion concentration difference of initial electroly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charged by ion adsorption in the beginning, but this by current leakage through the double-layer at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had a minor effect and voltages of curves were remained constant regardless of electrode material.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2.3 V/3,000 F grade EDLC were as follows: 0.35 m of DC-ESR (100 A discharge), 0.14 mof AC-ESR (AC amplitude 100 mV), 2.80 Wh/kg (3.73 Wh/L) of energy density and 4.64 kW /kg (6.19 kW/L) of power density. Power output was compatible with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uninterrupted power supply and engine starter, in due consideration of Ragone relations.
        4,000원
        60.
        200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veloping for Gate-Container Yard model to execute the Input & Output process of containers which are waiting in container yard effectively and fast. The optimal model is developed to manage and trace the containers in yard. We developed the put-away strategies which considered the storage time for volume of transporta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blocks and gates using the MICRO-CRAFT (Computerized Relative Allocation Facilities Technique).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