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

        4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북아시아 근현대 문학에서 안중근은 대체로 평화의 인물로 형상화된다. 하지만 안중근을 어떠한 맥락에서 평화의 인물로 서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서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동북아시아 근현대 문학에서 평화의 인물로서 안중근을 서로 다르게 서술하고 있는 양상에 관해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림종상의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냉혈생(冷血生)의 『영웅의 눈물』(英雄淚), 사키류조(佐木隆三)의 『이등박문과 안중근』(伊騰博文と安重根)을 중심으로 북한, 중국, 일본의 근현대 문학에서 나타나는 안중근에 주목할 것이다. 이들은 모두 소극적 평화의 맥락에서 안중근의 삶을 형상화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요한 갈퉁(Johan Galtung)이 주장한 적극적 평화의 맥락에서 안중근의 삶에 나타난 구조적 평화 만들기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가톨릭 신앙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이토 히로부미의 저격으로 ‘평화를 완성한 인물’이 아닌 ‘가톨릭 신앙을 통해 구조적 평화를 만들어가는 인물’로서 안중근에 대한 서사화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6,100원
        42.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based on the author’s book, <The Jamnyo (Jeju women divers) of Korea, Neo-Confucianism and Dual Mythology> (2018). It was published in English and French verion by the Cultural Foundation Barbier-Mueller Museum in Geneva, Switzland. The particularity of the book is that it is the first of its kind that introduces in foreign language Jeju academic discourses (published since 1950’s, but not known outside of Korea)) on various topics, such as Jeju women divers, mythology, kinship system, shamanism and the influence of the Neo-confucianism on Jeju, imported from the mainland, combined with data collected among a divers' community in the small island of Udo, Jeju in 2016. This article presents two stances of the author regarding Jeju: (1) a feminist point of view on Jeju women divers and their contribution to Jeju society by presenting the island as a <women centred society>; (2) an activist point of view by presenting the history of Jeju and its people as a struggle against the centre by the periphery and dominated by different colonial powers over 1000 years. The article proposes jamnyo’s fireplace (bulteok) as a social model for healing.
        4,300원
        43.
        201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52년 ‘평화선 선언’ 에 대한 관련국가 간의 논쟁과 주요 쟁점을 분석하여 평화선 선언의 법적 정당성을 규명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평화선 선언은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이어져온 일본의 한반도 연안 어장 침탈에 대응하여 한반도 인접해양에 한국의 관할권을 선포한 조치였다. 하지만 평화선 선언 이후 한국은 일본, 미국, 영국, 중화민국 등 국가로부터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한국과 관련국 간의 평화선 논쟁은 크게 두 가지의 쟁점에서 논의되었다. 첫 번째 쟁점은, ‘평화선은 영해선인가?’ 였고, 두 번째 쟁점은 ‘평화선이 공해어업에 관한 국제법을 위반했는가?’ 였다. 두 가지 쟁점에 대한 분석 결과, 평화선은 한국 정부의 입장, 후속 법률의 내용, 별개의 영해제도 시행 등을 고려했을 때 영해선이 아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평화선 선언은 당시 새롭게 변경된 공해어업에 관한 국제관습법에 부합하는 조치였으며, 현재의 배타적 어업수역과 EEZ의 창설에 기여한 ‘법창설적 효력’을 지닌 관행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따라서 평화선 선언은 당대의 국제법에 부합했으며, 현대 국제해양법의 발전에 기여한 관행으로 인정받아야 하는 것이다.
        9,000원
        44.
        201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is focused on some scenarios of a third way for Jeju Peace Island for Koreas as one of provincial government. In 2002 and 2006, We suggest United Three States of Korea :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eju Island Korea. But in real situation Korean government chooses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fter practicing it 11 years, Jeju islanders are complaining it is not enough for them to improve its autonomy to push its policies on its way without empowering main authorities to local province from central government. So, they wants more power through revision of Korean Constitution as same as State government of USA and Switzerland such as guaranteeing special status of Jeju government as Hong Kong of China. In our opinion, in a word, Jeju islanders want to become “ Jeju Peace Self-Governing Province,” for two Koreas.
        4,000원
        4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동과 여성독립운동을 세계평화의 시각에 대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일본 에 의해 국권을 상실했던 시기의 거국적인 민족운동으로 전개된 3.1운 동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특히 3·1운동은 민중운동으로서 계층과 지역, 성별의 구분을 넘어선 독립운동이었으며, 그 시대 독립운동이 지향한 독립과 자유에 대해 평화적 견지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 시대가 당면했던 독립의 과제는 시대적·민족적 견지에서의 독립이었으며, 평화운동의 일환이었다. 둘째, 3·1운동에 참여한 여성은 주체의지로 독립운동의 참여자, 실천자로 변화했으며, 독립운동사 에서 한 주류로 한국여성독립운동의 맥락을 이어갔다. 셋째, 3·1운동은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주 등으로 확산되면서 아시아 약소국이 자유 의지를 발휘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국내에서는 독립운동의 정신적 저력이 되었다. 이상에서 3·1운동은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재인식되어야 하며, 3·1운동과 한국여성독립운동이 평화운동으로 주목받아야 할 것이 다.
        6,100원
        4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가장 중요한 선교지는 북한이며 또한 가장 중요한 선교적 과제는 평화적 통일이라는 전제아래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해 기독교의 역할과 사명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전쟁의 위험이 상존하는 한반도에서 한국교회는 평화적 통일의 당위성을 성경과 그리스도의 비폭력 평화 사상에서 찾아야 한다. 없어 야 할 전쟁 그러나 인류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계속되어 온 전쟁에 대해서 역사적으로 기독교는 어떤 태도와 입장을 취해 왔는지 되짚어 볼 주제이다. 또한 우리민족의 분단역사에서 한국교회는 통일과 관련해서 어떤 노력과 태도를 취했었는지 그리고 전쟁에 대한 두 견해 (정전론과 평화주의) 사이에서 어떻게 하나님의 뜻을 대변해 왔는지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역사적으로 정의로운 전쟁(정전론)으로 포장되어 발생했던 재난이 한반도에서 재발되지 않도록 초기 기독교가 보여주었던 평화주의 사상을 보전하는 것은 한국교회에 평화적 통일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우선적 과제이다. 특히 정교분리, 교회와 국가의 바른 관계, 평화와 비폭력 등의 용어 등에 나타난 기독교 평화주의 원칙들이 잘 전수되어야 할 것이다.
        7,800원
        47.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the conflict, war or hostiliti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build the society for sustainable peace and prosperity. There is need to work for positive peace by removing all sorts of cultural and structural violence and injustices. As such, positive peace paves way to true reconciliation, justice, healing of both victims and society members and if possible forgiveness. Even when there is no longer conflict, leaders in a society should never lose focus on attending to the victims who suffered during the conflict. Constant peacebuilding and peacemaking should be done in societies that suffered conflict. As we will see in the article, Gacaca and Bulteok experiences are examples of approaches that have helped Rwanda and Jeju Island respectively in their quest for lasting peace and a just society.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peacekeeping, peacemaking and peacebuilding approaches and how they are used by individuals, nations, and organizations to build peaceful societies. The article will give a realist critique of these approaches.
        4,900원
        48.
        201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clude if Jeju Peace Island for Koreas 2018 gets international awareness from participants in the spheres of Peace Island Education & Tourism Welfare Model at the Grass Roots Level, it will contribute to institutionalization of both peace island and welfare tourism. In addition, if Jeju government supports the financial budget for the establishment of a Jeju Peace University or a Jeju Environmental University, our efforts might include an impetus to create and operate a Jeju Peace University or a Jeju Environmental University based on collaborative Jeju Peace Studies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in the nearer future. Of course, we believe that, through this kind of collaborative leadership, a vision of a Nonviolence Korea “Jeju Peace Island for two Koreas” might serve as a buffer zone potentially approved by the Six Nations in the Asia Pacific region in 2019.
        4,000원
        49.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ce of peace is eternal vigilance” (Thomas Jefferson) is the theme of this paper presented to the August 2017 Jeju World Peace Academy Bultuk and what we can do to achieve this. Gölbekli Tepe (12,000BP) is the oldest megalithic construction being a creation of a Peace Island, established by pre-urban, pre-agricultural nomadic human groups seeking to establish the natural condition of the human species in all times and in all places: peace. The first glimmer of settled urban peace flourished with the peace island civilizations of the Mediterranean. So, people – even “a small group of thoughtful, committed people” (Mead) such as those at the Naval Base protests at Gangjeong village on Jeju Island – can establish their own “Peace Island” on dry land (Gölbekli Tepe) or at sea (ancient Cyprus and Crete). The contemporary “Peace Island” concept that grew out of the “veiled state violence” (McCall) of the 4.3.1948 Tragedy has led to Jeju being declared a “Peace Island”; this concept can be franchised anywhere in the world with symbols and emblems and by any group of “thoughtful, committed people” using the Haenyeo Bultuk consultation methodology.
        4,000원
        50.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some aspects of the Jeju 4.3 Grand Tragedy (the Jeju Tragedy) education and informing process. We hope to not only with these aspects show some aspects of moral origin of the Jeju World Peace Island movement, but to share a culture of peace with world citizens through world civilization education cross the Pacific at a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In addition bring liberty to the cause of national freedom of the SAM IL movement of 1919 in Korea. it actualizes itself as a peace buffer zone locally, nationally and globally through the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JWPIT,” based on international agreement of the Six Talks Nation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at they (Jeju islanders) will follow the pattern of the SAM IL movement of 1919 with the participants imbued with the spirit of sacrifice to life and liberty to the cause of national freedom (G-2 Summary Report)” as a moral origin of Jeju World Peace Island. Globally, one New Haven teacher has been working on an elective course called “The Power of Culture in a Multicultural World” in which to use social studies tool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culture. Jeju offer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explore a culture that few New Haven students are familiar with. It will be for students to use the Jeju idea of turning troubles into opportunities, as a vehicle for addressing local issues” (“New Haven Learn- Teach Jeju 4.3,” New Haven Independent: March 29, 2017). Another New Haven teacher in his history class explains the different components of genocide. “Although the Jeju 4.3 events are not deemed genocide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sing this as a lens to understand broader concepts seemed really exciting.” Jeju offers educators an opportunity to teach the curriculum but instead of gratuitous death and violence, there is a legacy of hope, healing, reconciliation and remembrance.” (Ibid, New Haven Independent: March 29, 2017). Locally and partially on the global level, “The Resurgence of Jeju 4.3 Social Healing Advocacy of “PETITION FOR A JOINT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JEJU 4.3 INCIDENT TASK FORCE TO FURTHER IMPLEMENT RECOMMENDATIONS AND FOSTER COMPREHENSIVE AND ENDURING SOCIAL HEALING THROUGH JUSTICE” (March 27, 2014). The petition supports a combined solution to social healing for numerous survivors of Jeju 4.3. Based on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Jeju 4.3 Victim Family Association, 20% of them are now elderly and require expensive medical care and assistance. Many continue to suffer from psychological trauma (PTSD). It serves as a beacon of international peace in the same vein as May 24, 2015’s event, “Women Cross DMZ Demilitarized Zone.” Jeju itself aims to serve as a “Peace Buffer Zone” between the two Koreas among 6 Nations Talk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similar to Costa Rica. Never before has the need for a Peace Island in the region been so vital, with China stretching its reach across the ocean, and President Trump flexing his muscles against North Korea, the time has come for serious peacemaking, that is, prevention of conflict. It’s a real time to think about actualization of Jeju World Peace Island Treaty for Peace between two Koreas.
        4,000원
        51.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was an honor to give my speech to the American public about the Jeju 4.3 Grand Tragedy as one member of the Jeju 4.3 delegation. On March 27, 2015 I supported the “Petition for a Joint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Jeju 4.3 Incident Task Force on Social Healing through Justice.” On August 15, 2016, I was happy to write the foreword “Jeju 4.3 Grand Tragedy becomes Human Spirit in the Asia Pacific,” for the new book about Jeju 4.3 titled, “Jeju 4.3 Grand Tragedy during ‘peacetime’ Korea : The Asia Pacific Context (1947-2016). On September 8, 2016, we proceeded with “Authentic 4.3 Jeju Tragedy Reconciliation as a symbol of Peace in Asia” at the Jeju 4.3 Tragedy Reconciliation Conference 2016 in Washington D.C.
        4,000원
        53.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joint international educational project has been developing between Hokkaido University and Jeju University based on reparations cases in both islands of tragedies. There are many reasons why I as a Japanese civil law/ reparations scholar have got interested in the Jeju tragedy: the need for building peace-making network, the historical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Jeju and Japan, and the continuity of violence between the Korean right-wing soldiers at the Jeju mass killing and the Japanese soldiers in the colonization era. The challenges of Jeju reparations are still immense: including most importantly, unfinished individual symbolic and economic reparations and the US responsibility. To attain true reconciliation, more Americans should know these past injustices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process of reconciliation: (1) fact findings of past injustice and their recognition, (2) the admittance of historical responsibility (3) sincere apologies and supplementary reparations from perpetrators’ sides, and then (4) forgiveness from victims’ sides. As for the Jeju tragedy,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this direction is imminently required.
        4,000원
        5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에 평화공원을 조성하여 남북 관계 개선과 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시도는 여러 가지 형태 로 있어왔다. 현 정부에서도 ‘DMZ 세계평화공원’을 당초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상징적 결과물로서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하며 시작하였고,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 는 현 시점에서는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명칭을 바 꾸어 추진하고 있다. DMZ 생태계 현황과 가치에 주목하는 것은 DMZ가 세계적으로도 가장 치열한 대립의 현장이면 서도 인간을 제외한 생명들에게는 가장 평화로운 지역이라 는 역설 때문이다. 이는 또한, 대립을 화해와 평화로 전환하 게 만드는 가장 그럴듯한 명분과 상징을 제공하기 때문이며 DMZ를 국내외적 관심의 대상으로 계속 이끌어왔다. 하지 만 DMZ의 생태적 가치를 실제 물리적인 공간 속에서 상징 화하고 남북의 관계 개선 결과 또는 과정을 매개하는 실체 로서 구체적인 개념과 방향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까지는 다소 관념적으로 DMZ 생태계를 상징화해왔다고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개념 과 전략을 공간 속에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도 난항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이 갖 는 중요한 생태적 개념과 의미를 제시하고, 전체 DMZ의 장기적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남북 협력을 위한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역할과 조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당초 현 정부는 남북의 정치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한 대화 의 시작점이자 신뢰구축의 상징적 결과로서 소규모(1㎢)의 평화공원을 DMZ 내부에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기존 접근과 달리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매개로서가 아닌 결과로서 DMZ 활용이 시작될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에서 보다 현실적이고 실효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규모 평화기념공원 개념 접근은 기본적으로 과거 지향적 반성과 기억으로부터 평화를 창출하기 때문에 미래 발전을 위한 동력 생산은 미흡하다. 현재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서 ‘생태’가 강조되 었으나 생태적 이미지 강조 또는 친환경적인 공원 개발 수 준에 머무를 우려가 있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생태적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서는 우선 DMZ 생태계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DMZ 생태계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자 동시에 훼 손된 생태계이다. 군사활동 교란에도 불구하고 높은 생물다 양성을 유지하는 생태계이면서 남북의 하천과 산림이 형성하 는 자연생태축을 단절시키고 인위적인 철책에 갇힌 위태로운 생태계이기도 하다. 또한, DMZ 생태계는 남한에서는 도시화 와 산업화로, 북한에서는 산림 황폐화로 서식지를 잃은 야생 동식물의 피난처이기도 하다. 냉전의 산물인 DMZ는 역설적 평화와 생명의 원천이면서 새로운 통합과 지속가능발전의 시 작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곳이기도 하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조성을 위한 생태적 개념과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반도 DMZ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일시대 미래비전을 먼저 설 정하고 평화기념 상징공간과 접경보호지역이 결합된 새로 운 모델로서 접근이 필요하다. 통일 이후 궁극적으로는 DMZ일원이 독일의 그뤼네스반트 지역과 유사하게 발전하 도록 미래 비전을 설정하고, DMZ 자체가 거대한 평화기념 공원이라는 인식 하에 DMZ 내부에 소규모 평화기념 상징 공간과 함께 DMZ 외부의 인접지역을 넓게 포함한 접경보 호지역 평화공원 협력공간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이 적합 하다. 둘째, 끊어진 백두대간과 강줄기 및 생물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남북 협력공간으로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DMZ에 의해 남북으로 나뉜 한강하구,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의 강(江) 생태축과 백두 대간 산(山) 생태축을 연결하고, DMZ 내부 생태계를 원천 으로 남북한 각각의 지역에서 생태계서비스를 복원 증진시 키는 협력공간으로서 자리매김될 필요가 있다. 셋째,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지속가능발전과 사회통합의 미래발전 패러다임 실현을 위한 교육과 실천의 공간으로서 역할이필요하다. 지역적으로 생물권보전지역, 지질공원 등을 포함 하여 생태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대안적 지역 발전 모델을 제공하도록 확장될 필요가 있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으 로는 DMZ 내부 소규모 상징공간을 포함하여 외부의 인접 지역을 포함하면서 DMZ를 따라 여러 곳에 조성하는 남북 연결·확장형 공원 형태의 공간 구성을 제안한다. DMZ 각 지역별 특성과 내부의 상징적 의미, 외부 인접지역들과의 연결 관계를 반영하여 크게 네트워크 활용형, 동심원형, 대 칭핵 연결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체계적인 공간 구상 과 핵심활동 발굴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활용형은 DMZ 내 부의 상징공간이 외부의 연결요소들과 비슷한 정도로 활용 되는 유형으로 다양한 생태, 문화, 사회요소들의 연결이 가 능하다. 동심원형은 생물권보전지역과 유사하게 핵심, 완 충, 전이지역으로 구분하고 DMZ 내부는 상징공간을 물리 적으로 조성하지 않고 생태계 보호 및 연구활동이 가능한 핵심지역, 외부는 생태관광과 지역활성화 기반 강화 등의 완충·전이지역으로 구분하는 형태이다. 대칭형 연결형은 DMZ가 통로로 가능하여 남북의 핵심거점 또는 핵심 보호 지역을 연결함으로써 단절된 남북 생태축을 연결하고 협력 활성화가 가능한 형태이다. DMZ의 서부지역부터 동부지역까지 한강하구,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 그리고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성을 우선적 으로 고려하여 5개의 연결 지점을 거점으로 하는 세계생태 평화공원 조성이 가능하다. 한강하구인 판문점 일대 지역은 평화를 기념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자원(평화명소)들이 풍 부하고 DMZ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활용형 공원을 조성하고 한반도DMZ연구소 설치 가 가능할 것이다. 철원평야 일대의 경우는 근대역사유적, 생태환경, 지질경관 등 다양한 자원을 연결하는 지질공원 형태의 네트워크 활용형 공원을 조성하고, 습지와 산림 등 다양한 서식지를 활용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추진이 가 능하다. 임진강과 북한강 지역은 동심원형이라 할 수 있는 생물권공원(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이 적합하며 지속가능발 전 모델사업과 공동 유역관리 및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설악산과 금강산을 연결하여 한반도 백두대간 축을 연결·복원하고 설악산-금 강산 생태관광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는 대칭핵 연결형 공원 형태가 적합하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DMZ 내 존재하는 다양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일 이후 생태·문화 자원의 보전과 사 회경제적 이용을 촉진하는 지속가능발전 지역으로 만들 수 있도록 미래 비전과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상징적 공간이 다. 이러한 접근 하에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DMZ 생태계 보전과 더불어 남북 자연생태계를 복원하는데 핵심 적인 역할을 하는 시작점으로 기능하고, DMZ 생태계 보전 이라는 공동 협력 과제를 통해 남북의 대립·갈등 관계를 완화하고 남북 평화의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5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한민국헌법의 해석은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주권자의 의사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통일은 헌법적 중요사안으로서 주권자인 국민 모두의 사안이다. 통일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및 합의가 전제되지 아니하는 통일입법 및 통일정책은 기대효과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통일입법 및 정책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끊임없는 정부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헌법의 모든 규정들은 서로 조화롭게 체계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헌법 제3조는 통일의 영토적 범위, 그리고 제4조는 통일의 방법과 전제조건을 제시하는 통일을 위한 규정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양자 간에는 결코 충돌과 모순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영토조항이 처음에 도입된 시기에는 이 조항을 근거로 하여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보았으므로 남북 간의 이해와 교류를 막는 조항으로 기능하였으나 지금은 시대가 변화하였으므로 영토조항도 주권자의 의사에 맞게 해석될 수 있다. 영토조항이야 말로 한반도 평화체제의 선행과제인 남북경협의 근거가 되는 조항이며 탈북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즉 통일과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기본조항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헌법 제4조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이란 결국 사회민주주의 국가인 북한에 대한 흡수통일을 천명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북한과의 평화체제를 수립함에 있어서 교섭에 난항을 겪을 우려가 있다. 이미 60년 이상 ‘사회민주적 기본질서’가 고착화되어 있는 북한을 포용하기 위해서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헌법조항을 개정하여 ‘민주적 기본질서’로 바꿀 필요가 있다. 이것은 대한민국에게 흡수통일의 의사가 없으며 평화체제 구축의 목적이 북한 정권의 몰락․전복이 아닌, 북한의 경제발전과 한민족공동체의 번영이라는 것을 주지시켜 협상을 진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56.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yrian conflict consists of political and legal components that can be managed under the UN Charter by both political and legal measures. As a result of Russian and Chinese vetoes, the UN Security Council has failed to resolve the conflict by forcible measures, although the Council was able to convene the Geneva II peace talks between the Syrian government and the Syrian opposition on January 24, 2014. The legal aspect of this conflict has been referred to in numerous reports from UN bodies that have emphasized that war crimes have been committed by the Syrian government. Thus, we believe that the UNSC has an obligation to submit this case to a court with appropriate international jurisdiction for its legal resolution. This legal solution should be part of a compromise that satisfies Russia and China pursuant to a Security Council resolution under Chapter VII of the Charter that accompanies the peace talks.
        5,200원
        57.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Jeju events was the Jeju people's struggle to break away from the social evils, to gain national independence, to oppose division of Korea imposed by foreign occupation forces, to gain local autonomy from authoritarian tyranny of the central government. Also, it was an armed insurrection against the US occupation forces. The Jeju April 3rd Events were the series of event, Oppression, Uprising and Grand Massacre in which thousands of islanders were killed as a result of armed clashes between civillian groups and US and Korean government forces. It took place over the period from March 1, 1947, when National Police of US Military Government opened fire on six spectators, and April 3, 1948 Uprising to protest against oppression by the police and Northwest Youth and against US and South Korean Government until September 21,1954 after the last guerilla captured and when closed areas of Halla Mountain were reopened to the public.
        4,000원
        5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want to explore some of the efforts that people living on small islands on this Island Earth have used to manage peace in their often remote places, distant from state government as all of us know it and very immediate in consequences. At the end of my conceptual survey, I propose that a space for peace could be created on Jeju Island, the Peace Island, and that an appropriate mechanism could be something we might call the “Jeju Peace Island Peace Bultuk” where interested parties can come to discuss in cultural calm and natural beauty their seeming diffculties. I give my reasons throughout the paper why I have selected Jeju Peace Island as a place for peace not only for its conditions today, but owing to features of its special cultural history. Looking at a map again, Jeju is quite separate from its neighbours in East Asia. Whilst being politically a part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an autonomous region where constitutionally it could create special conditions that would permit it to assume a global role in peace negotiations. That crucial location in East Asia is a symbolic shift from the European Atlantic to the Asian Pacifc as the new locus of world power, culture and economy. Jeju’s location is very much in accord with Asia’s growing importance in world affairs. By establishing a World Peace Tribunal or “Bultuk” on Jeju Peace Island it would acknowledge this power shift as the reality that it is. On 27 January 2005,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declared Jeju “Peace Isl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this proposal. A little over a year later, on 1 July 2006, the Republic of Korea advanced even further by declaring Jeju Peace Island an “Autonomous Self-Governing Province”, providing the basis for the place to assume an international and independent role in world affairs. Unlike existing European focused places of peace, Jeju is a small island with a small population, without global commercial, economic or political interests as is the case with The Netherlands, Switzerland and the USA, respectively. Apart from being an island with restful scenery and many pleasant places where such a World Peace Tribunal could be established,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Jeju culture that I think make it an appropriate place for the twenty-frst century experiment in world problem solutions.
        4,600원
        59.
        201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일간에 독도의 영유권 문제는 "대일평화조약" 제2조(a)항의 해석 문제로 귀착될 수 있다. 동 조약 동 조항에 일본으로부터 분리되는 도서로 독도가 열거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일본정부는 독도는 일본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했다고 해석하고, 한국정부는 동 조항에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적극적인 규정이 없으므로 독도는 한국의 영토라고 상호 상반된 해석을 하고 있다. 국제재판에서 특히 영토분쟁사건의 재판에서 재판소는 Critical Date라는 일자를 선정하는 경우가 있다. Critical Date는 국제재판에서 그 일자 이후의 분쟁당사자의 행위나 사건(acts or events)은 당해 소송에서 증거능력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일자라 할 수 있다. 이는 국내재판에서 "변론 종결일"에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독도의 경우 Critical Date는 일본이 한국에 대해 최초로 항의를 해온 1952년 1월 28일이 될 것인지의 여부도 문제된다. 그러나 독도의 영유권 문제가 한일간에 영유권분쟁으로 되어 국제재판소에 제소되게 되었을 경우 그 분쟁의 주제(subject of the dispute)가 대일평화조약의 해석이 문제될 경우 이 분쟁사건에서 Critical Date가 설정될 것이냐에 관해서는 Critical Date는 설정되지 아니하게 된다. 모든 영토 분쟁사건에 Critical Date가 설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히 "조약의 해석" 분쟁사건에는 Critical Date가 설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최근의 학설과 판결도 Critical Date를 설정하지 아니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따라서 한일간 독도의 영유권 문제가 국제분쟁화 되어 국재재판소에 제소되게 되고 그것이 "대일평화조약"의 해석을 분쟁의 주제로 하게 될 때 이 분쟁사건에는 Critical Date가 설정되지 않게 된다. 1905년 2월 22일의 "시마네현 고시 제40호" 이후 일본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했다는 사실을 일본은 입증하기 어려울 것이 명백하므로, 특히 제2차 대전 이후 일본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한 바 없으므로 일본은 한일간의 독도영유권분쟁을 "대일평화조약"의 해석분쟁으로 몰고 갈 가능성이 높다. 즉 일본은 한일간의 독도 영유권분쟁에서 청구의 취지 또는 청구의 원인을 통해 분쟁의 주제(subject of the dispute)를 조약의 해석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한일간의 독도 영유권 분쟁에서 Critical Date는 설정되지 않게 될 것이 거의 확실시 된다.
        5,500원
        60.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how the characters of Tolstoy's novel War and Peace experience the death of the others. After the death of his wife, Andrey feels very guilty, for he abandoned her, preferring his social ambition to the happiness of his family. Andrey's life in seclusion is the means by which he punishes himself and is itself his social and spiritual death. He is called again to life only after he meets Natasha, the symbol and embodiment of life in this novel. Maria goes through the process of grief after her father's death. Retrospection tums out to be a vital element in the process of grief. After she successfully detaches herself from her deceased father, she meets Nicholas, her future husband and she returns to a normal life. Another heroine of the novel, Natasha also undergoes the process of grief after the death of Andrey, her former fiancé. But life brings her back to itself by arousing love towards her family in her. Pierre learns from Karataev the lesson that everything happens according to God's will or fate and one must receive everything as it happens. He receives Karataev's death as natural, not even grieving over him. Karataev remains in his memory as an embodiment of goodness, truth and simplicity.
        6,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