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4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washing, and cooking on postharvest-treated pesticide residues in polished rice was investigated. After being traeted with each 500 mg/kg of captan, carbaryl, phenthoate, fenthion, fenitrothion, chlorpyriphos-methyl, pirimiphos-methyl, the polished rice was stored for 8 weeks at 4 and 30℃, respectively. The penetation rate of carbaryl was the highest as 27.5% and the others, 13 to 18%. The half lives of pesticide residues were estimated as 30 to 230 weeks at 4℃, but 1 to 12 weeks at 30℃. The residues were reduced faster at 30℃ than at 4℃. The half lives of pesticide residues by water washing were estimated as 0.7 to 4.6 trials and the residues were removed with the washing trials. The residues of captan and carbaryl in cooked rice were removed 100 and 98%, respectively, comparing to initial residues concentration in treated rice but those of other 5 pesticides were removed 80%.
        4,000원
        4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a belonging to the family of Scrophulariaceae have been utiliz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an effect of air curing for seed rhizome of R. glutinosa on storaging ability and yield. Methods and Results : The root of R. glutinosa cultivar (Dagang) was harvested in the end of November. Seed rhizomes were air curing for one to seven days then wrapped with newspaper and further stored in a plastic container box at 1℃. The weight loss and decay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ed air curing treatment than in untreated. Especially, the decay rate of control was approximately 50% at 120 days after storage. But, the decay rate of all air curing treatment groups was less than 1%. Also air curing led to an increase in germination rate of seeds and root yield compared with untreatment. Taken together, the best air curing treatment period was 3 days, under the that conditions, germination rate and yield were 88.7% and 2,185 ㎏/10 a, respectively. Conclusion : This study ha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the air curing of rhizome as a seeds led to considerable increasement of both storaging ability and yield in R. glutinosa.
        47.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관행 수확과 저장 방식을 개선하여 벌크 상태로 수확하여 수송, 하역,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톤백 및 와이어철제파렛트를 개발한 후 관행저장 방식과 벌크저장 후 저장성을 비교하고 그에 따른 노동투입시간 및 소요비용을 비교하여 양파의 산지물류비 절감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톤백이 관행 톤백보다 길이방향 인장강도가 16% 높았으며, 개발한 와이어철제파렛트가 관행철제파렛트보다 약 10% 더 저장가능하고 차량 적재 효율도 2배 이상 향상되었다. 개발된 500 kg용 와이어 철제파렛트의 벌크저장과 관행 그물망 저장의 감모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1,000 kg 이상 많은 양을 저장할 경우 와이어철제파렛트 벌크저장은 관행저장보다 감모율이 3.7% 높아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톤백을 이용한 벌크 수확이 관행 망 수확보다 노동시간이 50.1% 그리고 총 투입비용은 46.1%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이어철제파렛트를 적용한 벌크저장이 관행저장보다 총 저장비용이 28.8% 감소하였으며, 2016년 양파생산량 (1,298,749톤)의 30%를 와이어철제파렛트 벌크저장으로 대체할 경우 연간 183억 원을 절감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현재 산지업체들의 와이어철제파렛트를 조기 도입하여 정착시키면 전국적으로 노동력 및 비용 절감에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9.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온(20~25℃)에서 후숙(0일~30일)된 참다래의 품질 및 영양성분 함량분석을 수행하였고 최적 후숙 기간을 구명하 기 위해 항산화활성, 단백질 분해능과 관능평가를 수행하 였다. 기간별 후숙된 참다래의 품질은 경도와 산도가 20일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식이섬유,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는 20일 이후에 함량이 크게 증가 하였으 며 유리당과 유기산 함량도 대체적으로 20일 이후에 뛰게 각 증가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과 총플라보노 이드 함량은 20일 이후에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고 아질산 염 소거능도 이와 유사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와 tyrosinase 억제 능을 이용한 미백효과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타민 C 함량 패턴과 유사하였다. 참다래에 함유된 단백질 분해효소 actinidin을 SDS-PAGE 분석을 통해 확인 하였고 함량과 이의 효능을 조사한 결과 후숙 기간이 경과 됨에 따라 actinidin의 함량 과 단백질 분해능도 점차 증가하 였으며 15~20일 이후에 급격히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후숙 기간별 참다래의 관능평가도 수행 하였는데, 20일 째 가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흥미롭게도 30일 째에는 오히 려 선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까지 저온 저장 된 참다래의 상온 보관시 최적 후숙 기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 결과는 소비자에게 저장 보관된 참다래의소비및 섭취에있어서도움이 될것으로생각된다.
        50.
        201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2 treatment condition to extend the shelf-life of ‘Seolhyang' strawberry. Fresh strawberries with red color on 80% of the fruit surface were harvested. The samples at two different stages (on the 1st and 3rd day after harvest) were placed in a gas-tight chamber with 0, 5, 15, or 30% CO2 concentration for 3 hours at 4℃. Then, the strawberry samples were immediately packaged in a PET tray and stored at 4℃. The carbon dioxide treatment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quality of ‘Seolhyang’ strawberries treated on the 1st day after harvest. These samples had higher firmness, lower redness, softening index, and decay rate compared to samples treated on the 3rd day after harvest. Treatment with both 15 and 30% of CO2 concentration on the 1st day after harvest induced an increase of firmness of ‘Seolhyang’ strawberry after the treatment. Samples treated with 15 and 30% CO2 the 1st day after harvest maintained quality for 10 days. However, samples treated with CO2 on the 3rd day after harvest lost marketability at 10 days of storage. At the atmosphere containing 30% CO2 on the 1st day after harvest was most effective in reducing decay rate and fruit softening, and maintaining bright red color of strawberries among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Therefore, a 30% CO2 treatment within one day after harvest can be a practical postharvest technology to extend shelf-life of ‘Seolhyang’ strawberry.
        52.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 백합‘Siberia’의 수확 후 수명 연장과 품질 향상을 위해 1-MCP의 효과적인 처리 농도, 시간 및 온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개화 단계는 모든 처리별 5°C처리가 개화지연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특히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개화 단계가 지연되었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엽록소 함량을 유지하였으며,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체중은 대조구가 5일부터 감소되는 반면 5°C 조건에서 1.5mg·L-1 1-MCP 전처리를 1시간동안 하였을 때 11일까지 증가되었다. 수분흡수량에서는 대조구가 실험 종료일까지 꾸준하게 감소하는 반면 1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0.5시간 처리시 가장 높은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수분균형은 무처리시 7일부터 (-)값으로 급격히 떨어지는데 비해 대부분의 1-MCP 처리구는 9일부터 서서히 (-)값으로 떨어지고, 특히 5°C조건에서 1.5mg·L-1 1-MCP 1시간 처리구는 11일까지 유일하게 (+)값을 유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전처리별 조사 초기 색상 변화에서는 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0.5시간 처리시 녹색값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었으며, 절화수명 및 절화 품질에 있어서는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19일로 가장 연장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박테리아 발생량은 5°C조건에서 1.5와 3.0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가장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에틸렌 발생량 및 호흡률은 대조구보다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5°C조건에서 3.0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5°C조건에서 1.5mg·L-1 1-MCP를 1시간 처리시 도관의 미생물 발생 억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수분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수확 후 절화 백합의 선도유지 및 품질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출저장유통 과정 중에 상용적인 기술로 사용 가능함을 제시 할 수 있었다.
        5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프레이 국화 ‘Radost’의 수확 후 저장 온도와 기간 에 따른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 다. 절화 국화 ‘Radost'를 수확 후 1, 4, 7, 10, 20℃의 온도 조건에 서 5, 10, 20, 30일간 저장한 후 저장전과 저장 후, 그리고 보존용액 에서의 생체중, 화폭, 흡수량 등의 품질 변화와 절화수명을 조사하 였다. 5~10일 동안의 단기간 저장에서는 1과 4℃ 조건에서 생체중 과 화폭이 다른 처리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절화수명이 16일 정도 로 길었다. 20~30일 정도 장기간 저장시에는 4℃보다 1℃로 유지 하는 것이 생체중과 화폭이 높게 유지되었고, 흡수량이 많았다. 또 한 절화수명은 1~8일 정도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프레 이 국화 ‘Radost'를 단기간 저장시에는 4℃이하로, 장기간 저장시 에는 1℃로 유지하는 것이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효과적이었고, 1℃ 조건에서는 30일까지도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신마’의 절화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수 확 후 저장 온도와 기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절화 국 화는 수확 후 1, 4, 7, 10, 20℃의 온도 조건에서 5, 10, 20일간 저장 한 후 절화의 생체중, 화폭, 흡수량 등의 품질과 수명을 조사하였다. 5일 동안의 단기간 저장에서는 4와 7℃에서 저장했을 때, 생체중 과 화폭 등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수명도 다른 처리에 비해 3~5일 간 연장되었다. 10일간 저장에서는 20℃ 저장처리에서 수명이 12 일 감소하였으며, 1~4℃에서 저장한 처리에서 수명과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다. 절화 국화의 20일간 장기 저장은 5일과 10일 저장보 다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생체중, 화폭, 흡수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다른 처리보다 1℃ 저장한 처리가 절화수명이 6일이었고, 품질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스탠다드 국화 ‘신마’를 수확한 후 5일이나 10 일간 저장하기 위해서는 4℃가 가장 효과적이며, 20일간 장기 저 장을 위해서는 1℃에서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57.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 단호박 원료의 수확 후 적정 후숙 기간과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방법을 구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형 단호박 ‘보짱‘을 수확하여 1주, 2주 후숙시킨 다음 1차 수돗물 세척 후 100 μL/L의 염소수에 살균소독 세척한 다음 절단하여 80 μm PE/Ny 필름에 진공 및 밀봉포장 하여 5℃ 에서 21일간 저장하였다. 단호박의 후숙기간은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내부의 기체 조성 및 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단호박 원료 2주 후숙 처리는 1주 후숙 처리보다 신선편이 제품 저장 중 CO2 농도가 2.2~5.0 kPa 낮았고, 저장 7일 이후 경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당도는 2주 후숙이 1주 후숙 처리 보다 2~3%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적색도(Hunter a)도 2주 후숙이 1주 후숙보다 높게 나타났고, 색과 외관에 대한 관능점수가 높아 기호성이 우수하였으며, 이취발생도 적어 저장 3주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밀봉포장은 진공포장보다 미생물 수가 적고, 외관에 대한 관능적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호박을 수확 후 2주 후숙한 다음 신선편이 가공하여 밀봉포장하는 것이 신선편이 단호박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58.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udies were carried to evaluated the influence of storage method by temperatures and fillers on yield and quality of seed rhizome in turmeric. Seed rhizome was stored at styrofoam box filled with rice hull and sand (3:1) or vermiculite for 30, 60 and 90 days at different temperatures (5, 10 and 15℃.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 (rhizome only). Parameters were obtained for weight loss, cold injury, percentage of decayed in stored rhizome during storage periods. Also, the germination, growth pattern and yield from stored rhizome has been investigated. It was confirmed that storage of turmeric in stored with filled with vermiculite helps in prevention of rhizomes from microbial and fungal attack. The storage of rhizomes in styrofoam box without any filler at low temperature below 10℃. is not advocated due to heavy losses weight and decayed in management of postharvest for turmeric rhizome. Germination percentage, growth pattern and yield was maximum for rhizomes stored at styrofoam box filled with vermiculite for 90 days at 15℃. The paper outlines a brief attempt to assess the efficacy of non-chemical methods including optimal storage method (temperature and filler) of control of decay and moisture losses during storage of turmeric.
        60.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d-ripe ‘Betatiny’ jujube-shaped cherry tomato fruits via stem maintenance or stem removal were stored at 20℃ for 12 days. Their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parameters like their respiration rate, weight loss, soluble solids content (SSC), titratable acidity (TA), firmness, hue value, aerobic microflora, coliform, yeast and mold count, and decay were evaluated during their storage. The jujube-shaped cherry tomato fruits whose stems were removed lost less weight than the fruits whose stems were maintained during their 12 days of storage. The stem removal lowered the respiration more significantly than the stem maintenance, and the formation of novel tissues at the stem scar that resulted from the stem removal was observed morphologically. The SSC, TA and hue value of the skin color decreased after eight storage days, bu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stem maintenance and removal. The stem had higher microbial counts like aerobic microflora, coliform, and yeast and mold counts. The stem maintenance showed a short shelf-life because molds grew on the attached stem after five storage days. The shelf-life of the jujube-shaped cherry tomato fruits whose stems were removed was about eight days, but that of the fruits whose stems were maintained and that were stored at 20℃ was only about six day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