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합성가스의 에너지화를 위한 가스엔진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회전수 1800 rpm 조건에서 공기과잉률이 1, 1.1, 1.2, 1.3, 1.4, 1.5, 1.6 증가에 따른 엔진출력(kWm)과 열효율(%)을 평가한 결과, 공기과잉률 λ 1.4에서 엔진출력 34 kWm를 나타냈으며, 공기과잉률이 증가할수록 엔진 열효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엔진출력 34 kWm 조건에서 공기과잉률이 1, 1.1, 1.2, 1.3, 1.4 증가시 열효율이 34.2%, 36.9%, 37.2%, 37.4%, 38.1%로 증가하였고, 발전출력을 통한 종합효율은 발전출 력 30 kWe 부하조건에서 38.7 kg/h의 연료를 소모하여 32.1%의 발전효율과 냉각수와 배기가스에서의 열 회수를 통해 57.3 kW의 폐열을 회수하여 53.8%의 열을 회수하여 총 85.8%의 종합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아동의 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 4-6학년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아동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전문가의 2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의 합의된 의견에 따라 구성요인의 개념을 수정하였 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정리된 예비척도 60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169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은 자기관리, 공감과 지지, 경청과 소통, 긍정적 관계, 4개요인 20문항으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는 아동의 코칭교육 결과의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아동의 코칭역량 연구와 아동의 코칭역량 척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코칭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분석하여 코칭역량 구성요인을 살펴 보고 이를 측정할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칭역량 선행연구 분석 및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코칭역량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105문항을 제작하였다. 코칭전문가에게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예비문항 95문항을 도출하고 일반인 120명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 정교화를 진행하여 최종 66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문항으로 일반인 207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적 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7개의 하위요인에 3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수렴 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 낙관주의, 희망, 관계성, 질문, 경청, 피드백 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7개 요인 34개 문항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코칭역량 척도는 전문 코치 양성이나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Identifying the selection criteria of wedding planners, who are the main human resource that contribute to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a wedding’s preparation, can produce important data for the wedding industry as it faces a transition period. To develop a scale for wedding planner selection criteria, preliminary items were prepar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an experienced wedding planner group and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such as studies on selection criteria in the wedding industry and service work similar to wedding planners and wedding planner selection criteria. The preliminary items were tested for content validity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comprising people in the wedding industry, and were refined accordingly. Then, the definitive quantitative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The main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responses of 295 consumers taking an Internet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dopted to develop the scale, which was tested for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 selection criteria scale tailored to wedding planners to address an area that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studies conduct empirical analyses using the selec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to compare influential variables that could affect behavior intention.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역으로 삶을 살게 될 청소년의 코칭역량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역량, 청소년 역량, 코칭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코칭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청소년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여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예비문항 93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도출된 79문항을 중,고 등학생 98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71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정리된 예비문항으로 경기도·강원도·경상도·충청도 지역의 중·고등학생 청소년 27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청소년의 코칭역량 척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7개 요인의 33개 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934로 나타났다. 그 결과 청소년의 코칭역량 척도로 자기이해역량, 긍정정서역량, 경청역량, 강력질문역 량, 목표실행역량, 동기촉진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7개요인 33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구성하여 타당화 검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고찰 및 부모코칭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 하여 180문항을 구성하였고,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65문항을 영유아기 부모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역량, 의사표현 역량, 의사존중 역량, 자기성장 역량, 성장촉진 역량, 관계 형성 역량의 6개 하위 구성요인, 32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이는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들의 부모코칭역량을 측정하여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부모들의 코칭역량을 점검하여 부모역할지원과 부모교육 자료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성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들의 코칭역량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분석하여 청소년 부모코칭역량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역량, 청소년 부모역량, 코칭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코칭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청소년 부모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여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예비문항 121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청소년 부모 20인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04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정리된 예비문항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경기, 충남, 경북 지역의 청소년 부모 20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3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수렴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성장역량, 자녀이해역량, 경청스킬역량, 실행촉진역량, 목표수립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5개 요인 23개 문항의 청소년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솔껍질깍지벌레는 남부지방의 곰솔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으로 최근 그 분포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현재 솔껍질깍지 벌레의 모니터링은 난낭의 조사를 통해 이뤄지고 있으나, 이는 매우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부정확하다. 따라서 페로몬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의 모니터링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적절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현장적용에 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페로몬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기법 개발을 위하여 최적 페로몬 방출농도 및 트랩설치 방법을 규명하였으며, 페로몬의 새로운 합성기법의 개발 통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기하였다. 성 페로몬에 대한 수컷 솔껍질깍지벌레의 유인효과는 100 μg부터 1,600 μg 까지의 처리에서 용량의존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 이상으로 처리할 경우 페로몬 처리 증가에 따른 유인개체수가 증가하지 않았다. 트랩의 설치 높이를 지표면으로부터 50cm, 100cm 150 cm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지상부로부터 50cm에 설치한 트랩에 가장 많은 개체가 포획되었다. 새로운 방법으로 합성한 페로몬 역시 기존 페로몬과 마찬가지로 페로몬 처리량과 유인 개체수 간 용량의존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과 태도를 갖추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 중 많은 대학들이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교육성과를 확인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들을 개발하고 있다. 전문화된 해양인력을 양성하는 M대학의 경우에도 대학의 특수성을 반영 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대학의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둘째,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검사를 실시하여 총 52개의 문항이 도출되었고 이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 도구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할 뿐만 아니라 개별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하여 프로그램을 연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해사 및 해양 특성화를 갖춘 대학의 차별화된 인재를 기르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Introduction
Service quality is becoming an important business factor even in the business-to-business markets. Actually, the various service factors such as technical level, lead time and after-sales service play the role as the important factors regarding decision making on purchasing other than price in the trade of B2B market. Most researches that measure the service quality in service field have focused on B2C consumer goods and the limited number of researches are only being carried out regarding the service quality in B2B area. Initial studies in B2B borrowed the service quality scale that was made mainly based on consumer goods (Gounaris 2005) by partially using the measure of SERVQUAL that was developed and collected by Parasuraman et al. (1988).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wo main objectives: (1) develop the measurement scale to facilitate assessments of B-to-B service quality and (2) investigate the structural model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B2B relationship performance. Considering that most previous researches about service quality were conducted in the business-to-consumer area,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various quality aspects of service that are considered in B2B market and proposes our research model which is the detailed quality measurement scale of B2B service. We developed a measurement scale called B-SERVQUAL for B2B service quality and tested research hypotheses and structural model.
Conceptual backgrou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comparative analysis against the measured items of previous researches and the contents acquired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Various different measuring items and aspects related with service quality evaluation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companies’ purchasing staffs. To develop items for B2B service quality scale, we followed the procedure proposed by Churchill(1979), and Gerbing and Anderson(1988). First, in-depth interview with purchasing staffs was performed regarding transaction experience with B2B service providers. As proposed by Homburg and Garbe(1999), B2B service was classified into professional service that is provided by service expert company and industrial service that is provided by manufacturer of machine equipment. The responders were instructed to answer some important factors required to evaluate service providing company and items for current service provider to improve. After performing the pre-test with the filtered measuring items, the scale of service quality specialized for B2B service was developed after check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items. Based on such results of pre-test, we finally carried out the survey of respondents of B2B companies. Our final scales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were composed of 5 factors with 19 items such as economic quality, technical quality, process quality, empathy quality and convenience quality. We determined to call this scale ‘B-SERVQUAL’.
Research design
We developed research hypotheses and proposed our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relationship performance in B-to-B market. To verify the sets of hypotheses and study model,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personnel in purchase departments of public corporation and in the field of distribution/logistics, financial services, construction, manufacturing (electricity / machine, textile leather, food).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irectly or through mail and 23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 and conclusion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constructs were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and most research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ccepted. The final research model also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goodness-of-fit indices. We found that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bonding, indicating that the superior service quality of service providers leads relationship bonding with buyers. Five dimensions considered in this study bring not only structural bond but also the social bond that refers to the emotional bonding. Relationship bon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Relationship commitment appea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performance, which demonstrates the reduction of management cost through commitment. This study reflected the economic and convenience aspects of services that haven’t been highlighted in the previous studies in the business marketing area.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reflected the economic aspects of services, which have been dealt with conceptually by some scholars such as profitability, productivity, and cost. From the viewpoint of B2B service providers, the B-SERVQUA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guide for B2B marketer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customers’ needs and manage their service quality in the business market.
A predominantly positive view is shown in engagement literature in terms of positive actor engagement (PNE) expressions and outcomes. However, business practices indicate that the understanding of actors being negatively engaged is important. Yet a few studies in marketing, which attempt to conceptualise negative actor engagement (NAE), do not have a consensus as for whether NE and PE are reciprocal or NE is a distinct construct with a different nomological network and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se and operationalise NAE. Built on Li et al.’s (2018) conceptualisation of actor engagement valence, this paper follows Churchill’s (1979) methods of scale development and operationalises the construct of NAE.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a NAE scale in specific online learning servcie platforms, we address this identified literature gap. Specifically, this study derives four NAE dimensions, including annoyance, anxiety, futitlity and failed expectation, which we proceed to validate within a nomological net of conceptual relationships in relation to the engagement behaviours (learning, sharing and endorsing). We conclude with an overview of key managerial and scholarly implications arising from this research. This marks the first study in the marketing discipline to operationalise NA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duct the factors for e-sports and to develop measurement scale of each images of those factors so 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sports.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steps: (1) deduction of the elementary/principal factors which were based on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in-depth interview of experts and general public, (2) conducting first surve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3) conducting secondary survey follow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the first step, in order to develop and identify measurement scales, images concerning e-sports, game and sports perceived by consumers and related items used in the extant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in order to verify the face and content validity of deducted items, in-depth interview of experts, professional gamers, professors of Sports Science, doctoral students, people in charge, general public and etc was conducted. And in the second step, the survey with those confirmed items scales were conducted and with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urve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measuring images consisting e-sports were also conducted. Finally, in the third step, secondary surve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in order to test uni-dimensiona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ith the results emanated from the secondary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aforementioned three steps,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e image factors consisting e-sports which are comprised of six positive factors (i.e., sociality, entertainingness, aestheticness, leisureness, education, and stress relief) and five negative factors (i.e., addictiveness, violence, commercial viability/marketability, and closedness).
The strategic stakes of differentiation are so great for companies that the adequacy between aesthetic perception of the products and functional benefits for consumers must be taken into account (Alba and Williams, 2013; Bloch, 1995; Reimann et al., 2010). In order to examine the consumer's aesthetic perception, we tested an exploratory measurement scale of aesthetic style (Lagier, 2006), which we first validated for different kinds of product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is of this scale were conducted and obtained results which proved the stability of the scale for design products. The three dimensions of the factor analysis can be interpreted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perception of design products. We effectively find two clearly distinct dimensions which measure: “affective intensity” and “tolerance for ambiguity”. The last dimension is composed of items which fall both in the domain of “cognitive differentiation” and “cognitive discrimination”. To segment our sample and quantify the different profiles of aesthetic style, eight groups of consumers were formed from the scores on the three dimensions. Finally, the structure of aesthetic style on consumer preference for four design objects was also tested. We seek to show that our scale can also explain the choice for some objects.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each object based on intensity scores of affective intensity, cognitive discrimination/differentiation and tolerance for ambiguity. Our measurement scale of aesthetic style, in the context of this test, explained consumer preference for some design objects.
The research on country of origin effect (COO) has been oriented lately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As a resul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publications dealing with consumer dispositions in the consumption of local or global brands (ethnocentrism, nationalism, patriotism, cosmopolitanism, xenocentrism).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we conceptualize the Self-Country Connection (SCC) construct, based on the extended self theory, considering the country as one more possession that can be added to the individual’s self. We developed the scale generating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Specialists in marketing and international consumer behavior refined the items. Followed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discriminant, nomological and predictive validities, which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in addition to the two-month interval testretest. The scale has two versions and can be used both to access the consumer's selfconnection with the home country and with foreign countries. The SCC scale can be used with other established scales, such as CETSCALE, COS, among others, to understand better the consumer behavior and improving market segmentation.
Cewebrity is somebody who is only, or perhaps mostly famous through their presence on the Internet, an internet person who crosses over to the mainstream, so called web celebrity or Internet celebrity. Recognizing that Internet celebrities’ participation will bring about improvements of company performance, marketers have considered them to be new source of innovation dedicating to company’s success. For example, fashion companies believe that Internet celebrities have good innovation ideas on clothing collocation or even fashion design. Given the relevance of Internet celebrity in practice, researchers have begun to address its merits (Stever and Lawson, 2013). However, it is not yet a well-established field of academic inquiry, because Internet celebrity’s specific characteristics has not been well developed yet. Based on the nature of Internet celebrity as consumer, the theory of customer value co-creation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se new generated celebrities’ activities in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ies of Internet celebrities in value co-creation can be shown as communication, idea conception, and product design (Genc and Benedetto, 2015). The current study mainly focuses on the effects of fashion internet celebrities on whol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including product design, 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by developing the scale of internet celebrity’s attributes under the perspective of customer value co-creation. Theoretically, the study fills up the research gap that no prior research develops the scales of Internet celebrity and test its effect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ractically, our work is highly useful for marketers understand the effects of Internet celebrity, thus developing appropriate strategies to utilize them.
목적 : 본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를 한국판(Korean-Bayley-Ⅲ; K-Bayley-Ⅲ)으로 타당화하기 위하여 문항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참여자는 생후 16일에서 42개월 15일의 영유아 1,764명으로, 지역 및 성별, 모의 학력에 따라서 층화 표집되었다. 문항분석을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 난이도 분석과 고전검사이론을 통한 문항 통과율을 분석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분신뢰도를 이용한 내적일관성,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자간 일치도를 살펴보았으며, 상호상관검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 총 72개의 문항은 원척도와 유사하게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까지 비교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월령 단계별 문항 통과율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척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문항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평정자간 일치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타당도 검증 결과, 대근육 운동척도는 운동척도와는 높은 상호상관을 보인 반면 언어척도와는 중간 정도의 상호상관을 보여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가 한국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을 평가하는데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PEMFC는 고효율⋅출력밀도를 나타내며, 짧은 시동시간, 우수한 응답특성에 따라 현지설치형 발전기술로 사용되며, 이를 위한 고효율 연료처리장치가 필수적이다. SMR반응은 연료당 고회수율을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며, 전환율 확보를 위해 700°C, 20 bar 이상의 운전조건에서 수행되며, WGS, PSA의 후단공정을 통해 수소를 생산한다. 분리막 개질기를 이용한 SMR반응은 분리막이 수소를 제거함에 따라 반응효율 증진, 공정온도 저감, 후단공정 배제를 할 수 있어 공정구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팔라듐분리막 개질기를 사용하여 550°C, 5 bar에서 SMR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였으며, 개질된 가스의 CO 농도를 최소화하여 고온 PEMFC용 연료처리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성장발달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성인, 특히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과 부정적 언어(Negative languge)로 상호작용하는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척도는 이소희(2014)가 제안한 바 있는 CCTV 모델을 구축한 다음, 이에 기반하여 2차에 걸친 문항개발과 탐색적 요인분석, 구성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자 한 것이며, 다음의 과정을 거쳤다.
1차 문항선정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84문항을 구성한 한 다음, 유아 교육·보육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룹 토의와 5점 리커트 척도에 의한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여 56문항을 선별하였다. 2차 문항 선별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보육기관의 교사 30명, 원장 30명을 대상으로 5점 리커트 척도에 의한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여 36문항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36문항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도시권에 거주하는 성인 416명을 대상으로 SPSS 21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확인된 척도의 구성요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α에 의한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CCTV 모델에 기반한 신뢰도 .93의 4가지 요인, 즉 Command(명령하기), Criticism (비난하기), Tag(꼬리표 달기), Vex(잔소리하기)로 구성된 25문항의 성인-아동의 부정적 상호 작용 척도 ACNIS(Adult-Child Negative Interaction Scale-based on CCTV model)가 개발·타당화되었다.
식품 포장재 내 곤충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향유를 함유한 방충 필름이 연구되고 있으나 파일럿 규모의 생산 장비를 이용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파일럿 규모의 생산 장비로 미세캡슐화된 시나몬방향유(cinnamon oil, CO) 함유 식품 포장 필름을 개발하고 필름의 방충효과와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모든 필름은 파일럿 규모의 그라비아 인쇄기(Roto Gravure Printing Press, Ilsung Machinary Co., Ltd., Gumi, Korea)와 적층기(Dry laminating & Extrusion laminating machine, INT CO., Ltd; Ansan, Korea)로 제작되었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0.02%, w/w, 폴리비닐알코올/증류수)을 사용하여 CO (5.2%, w/w, CO/PVA 수용액) 미세캡슐 에멀션을 제조하였고, 0,1 또는 2% (w/w, CO/미세캡슐 CO 에멀션)의 미세캡슐 CO 에멀션을 잉크(54 또는 61%, w/w, 잉크/전체 혼합액)와 시너(thinner) (23 또는 26%, w/w, 시너/전체 혼합액)에 혼합하여 인쇄 용액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용액을 폴리프로필렌필름(30 μm)에 그라비아 인쇄기로 인쇄한 후, 인쇄된 면에 저밀도폴리에틸렌 필름(40 μm)을 올려놓고 적층(lamination)하여 방충 필름(75 μm 두께)을 제작하였다. 소규모와 파일럿 규모로 진행된 필름의 방충효과 측정에는 화랑곡 나방(Plodia interpunctella) 유충을 사용하였고, 개발된 필름의 시남알데하이드 방출률, 인장 및 수분 차단 특성 그리고 열 중량을 분석하였다. 파일럿 규모 인쇄기와 적층기는 미세캡슐 CO 에멀션이 사용된 방출필름을 연속적이고 균일하게 생산하였다. 미세캡슐 2% CO 에멀션 제형으로 제작된 필름이 가장 높은 방충능을 보였으며, 미세캡슐화가 방충효과를 유지하면서 시남알데하이드의 보존성을 높여 방충효과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열 중량분석 결과를 통해 미세캡슐화와 적층이 CO의 휘발을 막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필름의 인장강도, 신장률, 탄성률 그리고 수증기 투과성은 각각 40.4-45.4 MPa, 87.1-87.6%, 831.8-838.1 MPa, 그리고 0.0078-0.0082 g·mm·h-1·kPa-1·m-2이 었으며, 이 결과들은 개발된 방충 필름의 인장 및 수분특성에 변화를 주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연구를 통해 파일럿 플랜트 규모에서 방충 필름을 성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고, 방충효과와 이화학적 특성 결과를 통해 제작된 방충 필름의 상업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