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most child-care facilities, homeroom teachers take the responsibilities for safety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in class hours on a regular basis. It was found that most homeroom teachers are lacking in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training experience they get. Teachers with fewer teaching careers had a greater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addition, homeroom teachers have been utilizing monthly toddler magazines as a method to acquire knowledges for safety education and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The safety accidents which have most frequently occurred in care-care facilities turned out to be stumble and tear, and infants aged 3 years or younger were found to be easily exposed to the safety accidents mainly due to the frolic between peers during the free-choice activity time. The homeroom teachers recognized only traffic safety education among the range of safety training courses, which varied depending on teaching career such as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indoor/outdoor safety environment training, etc.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safety training methods were limited to the utilization of discussion techniques, role-playing, description and demonstration.
개방화, 세계화의 심화로 국제사회 및 국가간의 상호의존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개발협력의 역할과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또한 글로벌 시장의 개방과경쟁이 날로 심화되고 선진국 위주의 시장확대, 성장이 한계에 다다름은 물론 OECDDAC 가입 등 외교적 국격향상에 따라 대개도국 국제개발협력 확대에 대한 내외부의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이러한 대외환경의 빠른 변화는 정책 및 국제공조의 강화 등 거시적 수준의 변화뿐만 아니라 국제개발협력의 방법론의 미시적 수준의 변화를 동시에 요구한다. 이에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오픈 이노베이션의 가치를 검토 하였고, 특히 교육분야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의 운영사례인 ALCoB을 분석하여 향후 국제개발협력 방법론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을 규명하는 데 있 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육과정 중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동작교육 수업을 진행하 기 위해 수업 연구에 대한 노력과 수업 자료를 갖고 있는지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동작교육에 대 한 창의성 여부는 어떠한가를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일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대학교육에서나 지속적인 연수를 통하 여 동작교육을 다양하게 실습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그 자료를 현장에서 필요할 때 참조 활용할 수 있도록 수준별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보급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동작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을 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동작 교육 지도에 있어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 창의적 동작표현 수업 시 어려운 점 등의 내용 을 살펴 본 결과에 대한 해법으로도 제시 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움직임과 관련된 동작교육만이 그 교과의 인식과 경험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인 만큼 대학교육이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그리고 여러 가지 교재 개발을 통해 교사들 은 수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받기도 하고, 스스로 현장에서 개발하기도 하여 그 영역 에 대한 세계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ive recently proposed or implemented English education policies. Among the policies are performance assessment, the depaπmentalized classroom system (DCS), 20 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the two-Ievel (Types A' B) English test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The study examines three aspects ofteacher perception on each p이 icy: knowledge, attitudes, and implementa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nd the responses of 395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비ts showed that the knowledge aspect scored the highest for all five p이 icies while differences were revealed as to specific aspects of knowledge, attitudes, and implementation across different policie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attitude aspec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plementation aspect and that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implementation was higher than the 、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knowledge. The facto rs identifi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all five policies were teacher’s academic attainment, age, and teaching experien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creative schoo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in-service teacher development, English education policy-making, and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별 교사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청되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하고,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하며, 지역공동체 및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수렴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native-speaking English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through the analysis of transcriptions of videotaped lessons and interviews with six novice English teachers teaching at middle schools. The goal was to discover what pedagogical knowledge these teachers have and how the knowledge was represented in the form of instructional actions. The dominant categories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actions were repetition of input and instructions. Hence, there were a lot of repetitions of input which seem to come from behavioristic perspectiv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lso, there were lots of teacher-initiated questions and directives to elicit responses from the students. The primary way of clearing the meaning of the text was transl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native-speaking teachers’ pedagogical thought are mostly pertinent to general educational knowledge not about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In addition, the novice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deduced from pedagogical thoughts leaned towards heavily to ‘Handling language items’ while experienced teachers in Gatbonton’s (2000) study displayed no dominant category. Implications for teacher training were discus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specialty of pre-service teachers by observing their ways of i mproving lessons and forming experienti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school practicum. The followi ng research subjects were raised to inquire into the me
In a bid to settle an appropriat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implications about professional training of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cases of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
어떻게 우리는 복잡하게 구조화된 교육실제에서 능동적인 주체로서 기능하는 예비교사들을 양성할 수 있을까? 최근의 복잡성이론 및 해석학 연구에 힘입어,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있어 주체성과 교육과정, 지식과 정체성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그려보고 있다. 우리의 지식-의식은 우리의 존재양식을 구성하며 역으로 존재양식은 우리의 지식을 구성한다.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언어가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언어를 은유적으로 혹은 시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가르치기 위해 배우는 과정(교사교육과정)에서 개인적 실천적 지식은 어떻게 공적인 지식과 타협되는가? 궁극적으로 우리는 어떻게 학생-교사 주체성에 관계되는, 혹은 침투될 수 있는 새로운 교사 교육과정을 구상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기존의 주요한 세 교육과정 분류, 즉 기술적, 비판성찰적, 상황해석적 탐구 접근 가운데 상황해석적 교육과정 탐구방식을 미시적 접근법으로서 비판성찰적 탐구방식을 거시적 접근법으로서 취하여 균형을 맞추려고 시도하였는데, 이는 우리의 생활경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수준에도 강조점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본 연구는 열정과 자아발달의 관계, 그리고 궁극적으로 윤리적 창조성을 육성하는 교사교육과정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목적: 초등학교에서 보건교사가 실시하고 있는 보건교육 내용 가운데 ``눈과 시력 및 시력관리``에 관한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성장 발육기에 있는 초등학생의 근시발생 및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보건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10년 9월부터 2011년 1월까지 경기도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보건 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우편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명의 설문지와 설문에 응하지 않은 5명을 제외한 48명을 검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은 SPSS 12.0K Window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로 하였다. 결과: 보건교사는 5, 6학년을 대상으로 1년에 17차시의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보건교육 중 ``시력저하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는 18.7%로 조사되었다. 보건교사가 원하는 시력저하 예방교육에 관한 정보 제공 형태로는 ``세미나/워크샵``이 58.3%로 가장 많았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력저하 예방교육 중 가장 선호하는 교육 형태는 눈알사진 또는 눈알실제모형을 이용한 눈과 시력에 관한 체험수업이었고(54.2%), 보건수업 시간을 활용한 눈 건강 관리교육은 31.2%, 전문기관에서 시력검사 후 시력에 관한 교육은 14.6%,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교육은 14.6%, 눈 운동 16.7%, 개인상담 2.1%로, 체험학습과 눈과 시력에 관한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초등학교 보건교사들이 눈과 시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고, 눈과 시력에 관한 보건교육의 실태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므로,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눈과 시력에 관한 전문적인 보건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초등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과 교육 환경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참가자들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문제중심학습을 강의하는 강사로 활동중이었다. 초등학교 교사 3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획득되었다. 문제중심학습과 관련된 교사들의 면담은 두 가지 주요 주제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1) 문제중심학습에서 요구되는 교사들의 교수 실행의 능력 (2)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은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보다 수업 준비와 교수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사들은 자율적이고 허용적인 학습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우미로서 행동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은 잠재능력을 효과적으로 계발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는다. 이를 위하여 교사는 문제중심학습 전체에서 효과적인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위하여, 교사들은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교육 행정가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교사들의 커뮤니티 형성해야 한다. 문제중심 학습의 확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들이 직접적으로 교수 활동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해 보는 것이다. 문제중심 학습을 하면 학생들의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이러한 효과를 경험한 교사는 교수학습과정에 문제중심학습을 채택하게 될 것이다.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made strenu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lish education in public sector. One such attempt is a long-term, intensive teacher training that began in 2007 to facilitate teachers' ability for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This initiative has expanded over the years such that the number of training institutions has increased to 22 in 2009 to serve growing numberof trainees. This development is not without problems as there is a lack ofconsistency in curriculum, course content, quality of instructors, and overseas training among these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suggest idea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900 English teachers to have themevaluate the training programs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findings from 449 respondents showed that most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training programs. These teachers felt that the training programs helped to promote both English skills and teaching skills. Yet, they expressed some concerns about unbalanced curriculum, lack of follow-up service, inefficiency ofoverseas training,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