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3

        61.
        201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found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on determinants such as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long with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the service quality element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185 materials by conducting the survey upon the customers who have previously visited the restaur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identified that the elements of restaurant service qual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customer through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by using KANO model, we investigated the qualities that attract the customers of the restaurant in order to establish the measures that will maximize the customer satisfaction. Also,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KANO model, we additionally analyzed the Better-Worse index. The results of the two quality evaluations were identical to each other, showing the need for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restaurant services. Accordingly, more interests and efforts to stimulat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he restaurant are needed.
        4,300원
        6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주 목적은 친환경농산물가공식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개별 특성과 이 식품의 소비확 대 정책 선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환 경농산물 가공식품 소비실태를 조사하였고, 실증 분석을 위해 다항로짓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 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인증제도 관리가 강화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응답자, 상대적으로 건강에 유익할 것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인하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친환경가공식품 가격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 친환경 가공식품의 안전성에 만족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가공식품 구매를 효과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개별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4,000원
        6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의 28개 도시풍경명승구에서 선정한 200개 디지털 이미지를 대상으로 경관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요소 및 시각조형요소의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28가지 경관요소 및 7개 경관의 시각조형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직관평가법을 이용하여 이들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는 꽃, 잔디, 유희시설 및 정원시설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조형요소는 규모, 색상 및 상대위치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28개 경관요소는 8개의 경관요인(관광서비스, 수경시설, 안전·지도시설, 매력물, 식물, 도로·광장, 자연풍경 및 지형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셋째, 도출된 경관요인 및 시각조형요소를 대상으로 피평가자들의 선호도 성향을 분석(T-검정, 분산분석)하였다. 경관요인의 경우 매력물 및 식물재료에서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보였는데, 정원, 문화유적 등을 포함하는 매력물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식물재료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주었다. 연령별로는 도로·광장인자의 경우 40세 이상의 평가자들이 20대 이하의 젊은 층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주었다. 시각조형요소 중 색상요소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명승구 계획에 있어 자연경관뿐 아니라 안내판, 안전지도 등의 관광기반시설 설치가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주 이용객의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카메룬은 인구증가와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쌀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가이다. 농업이 시장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호 역시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룬 북서부의 Mezam과 Ngo-ketunjia 지역 소비자의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특히 카메룬에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Mezam와 Ngoketunjia Divisions of the North West Regions 라는 사례연구와 함께 살펴보았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주요 시장 지역들에 걸쳐 300명의 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회 경제적 요소들, 유도된 소비자 행동이나 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항식 기호 논리학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쌀의 품질이나 시장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오직 지역 쌀만 먹는 부류, 오직 수입된 쌀만 먹는 부류, 지역 쌀과 수입쌀을 모두 먹는 부류의 3가지 구매 형태를 나타냈다.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경제적 요소로는 소비자의 소득, 교육, 직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요소는 맛, 향, 질감, 도정 후 낟알 색의 흰 정도였고, 시장 속성에 관해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쌀의 출처와 구입 가능성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2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때, 생산성과 쌀 품질에 관한 차원은 카메룬의 쌀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 할 수 있었다.
        4,300원
        67.
        2019.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영구 화장에 따른 화장기법 및 기법에 따른 선호정도를 반영구 화장시술자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 처리프로그램인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영구 화장 시술 시 가장 많이 쓰는 기법은 전체적으로 엠보기법이 31.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수지기법(25.7%), 콤보기법(22.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무경력별로는 6개월 이상(38.2%), 1년 이상(34.6%), 2-3년 이상(33.3%), 6년 이상(29.6%)은 엠보기법이 가장 많았고, 4-5년 이상(31.3%)은 수지기법이 가장 많았다. 가장 선호하는 도구와 기법으로 시술한 눈썹의 조사결과는 엠보기법, 사선형 니들이 2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수지기법, 3R-5R 니들(16.8%), 머신기법, 1R-3R 니들(11.8%) 순으로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26.5%)는 수지기법, 3R-5R 니들이 가장 많았고, 30대(21.4%), 40대(23.7%), 50대 이상(26.7%)은 엠보기법, 사선형 니들이 가장 많았다.
        4,000원
        68.
        2019.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얼굴 유형에 따른 헤어커트스타일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전·충남지역 여성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은 통계 처리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4.0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얼굴 유형에 따른 헤어커트스타일의 선호도는 둥근형, 삼각형, 장방형 얼굴은 레이어커트스타일(Layered cut style)을 가장 선호하였고, 선호 정도는 둥근형 얼굴 46.7%, 삼각형 32.6%, 장방형 35.1%이었다. 그러나 사각형 얼굴은 스파니엘커트스타일(Spaniel cut style)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 정도는 54.0%이었다. 이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얼굴형에 따라 선호하는 헤어커트 스타일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eparated different factors into the Korean Wave and Korean health food according to the interest in Korean culture among the Chinese living in China. We then conducted a two-step cluster analysis with gender, marriage status, academic background, interest in Korean culture, command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status of having visited Korea as variables. The subjects were split into a Korean wave-preferring group, highly interested in Korean food as health food group and a low interested group according to clusters, and we then investigated for preference differences for 20 Korean food dish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statistics indicated a significant influence with a level p<0.001 for Bulgogi, Bibimbap, Kimchi, Galbi-tang, Galbi-gui, Chicken, Samgyepsal, Doenjang-Jjgae, Dak-galbi, Japchae and Gimbap p<0.01 for Samgye-tang and p<0.05 for Naengmyeon, Kimchi-Jjigae, Dak-galbi, Seolleongtang, Haemul-tang, Hanjeongsik and Tteok-bokki. Jeon and Juk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hinese consumers preferred Korean food for Samgyeopsal, Bulgogi and chicken and less preferred gruel, Hanjeongsik and Kimchi-Jjigae. The highly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group preferred Samgyeopal, Bulgogi and Chicken, and less preferred Juk, Jeon and Hanjeonsik in that order. This study offers information on the Chinese’s preference for different Korean food to any food service enterprises that manage Korean restaurants in China or that sell Korean cuisine and also basic data for differentiated marketing to those entering the Chinese market.
        4,000원
        7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오래전부터 한국인이 애용해 온 기본 도형을 분석하여 의미와 상징성을 밝히고 그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선조들은 원, 네모, 세모 형태를 선호하였는데 한글에 ‘ㅇ, ㅁ, ㅅ’가 존재하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를 위해 고조선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복식과 유물 등에 나타난 기본 도형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서, 인터넷 및 사진자료 등을 분석하였으며 도자기, 청동기, 복식 등 다양한 곳에 나타난 도형의 연결고리를 찾았다. 그 연구결과 첫째, 원은 하늘, 해, 달, 별, 청동거울, 얼굴 등을 상징하는데 일찍이 천문관측이 발달했던 사실과 원형제단이나 제사장의 표징인 원형 청동거울이 이를 뒷받침한다. 둘째, 땅(地)을 상징하는 것은 네모라고 보았다. 하늘과 땅신에게 모두 제사를 지냈었고 네모는 부족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담은 현실을 의미하는 형태이다. 마름모형이 더 많이 애용되었는데 이는 힘을 상징하는 세모가 두 개나 들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셋째, 빗살무늬 토기에서도 나타나지만 뫼 ‘山’과 사람 ‘人’ 및 모자나 마늘의 형태 또는 나 ‘厶’ 등으로부터 세모가 파생되었다고 보는데 하늘, 땅 다음으로 사람이 중요하다는 고대인의 사고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아름다운 유산인 기본 도형의 연구를 통해 한국역사의 오랜 전통과 정신을 이해하고 새로운 창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5,200원
        74.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의 많은 음악예술가들은 연습실, 음악 작업실과 같은 창작공간에서 완성된 작품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음악을 재해석하며 재발견 해나가는 공간으로서 활용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뮤지션 또는 예술가의 눈높이에 맞춘 창작공간의 표준화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선호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마케팅, 경영, 비즈니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분석법인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프로파일의 기준이 되며, 또한 컨조인트 분석법에 맞춘 설문지 작성에 기준이 되는 연구 자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많은 창작공간뿐 아니라 예술가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교육, 네트워킹과 같은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창작소에도 적용한다면 예술가의 눈높이에 맞춘 가치 있는 공간으로 완성될 수 있는 음악 정책 연구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결론을 가지고 있다.
        4,000원
        7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패션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소재와 세탁 등의 전문적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소비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QR코드 적용 시 요구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를 조사하였다. 타 연령대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아 비대면 정보교환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20대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현행 라벨을 통한 의류제품의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서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불충분한 정보제공, 전문적인 용어 사용, 세탁 기호의 불확실함이 불만족의 요인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QR코드는 패션제품의 관리 정보제공의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웃도어, 패딩, 정장 등의 고관여 의류 상품과 신체에 닿는 언더웨어류에 대해서 자세한 세탁방법, 사용 및 보관 시 유의사항, 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 했으며 캐주얼웨어, 코트에 대해서는 제품을 활용한 SNS 데일리룩, 제품과 어울리는 다른 상품, 비슷한 아이템의 추천 등 스타일링이나 의복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싶어했다. 따라서 QR코드를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또는 SNS의 연결수단 으로 사용한다면 소비자들의 정보추구 욕구의 충족과 함께 현명한 제품 사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초 연결시대 패션제품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7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인터넷 문화의 발달과 디지털 게임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에 따라 플랫폼의 변화도 일어나고 있으며 디지털 게임의 장르 또한 많이 세분화되며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문화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다중 이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MMORPG)이 크게 성장하며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였다. 이 다중 이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MORPG)은 수많은 사람들이 가상공간에서 만나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르로, 가상공간에서 소통 및 관계를 맺기에 최적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과거엔 콘텐츠적 특성이 폭력적, 선정성이 강해 남성 이용자들의 전유물이라는 경향이 강했으나 최근엔 여성 이용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한 여성 이용자들의 MMORPG 게임 콘텐츠에 대한 선호양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4,600원
        8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Best-Worst Scaling(BWS)을 이용하여 캄보디아 농촌 지역의 고등학교 교사의 교육 원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공여국에 의한 농촌 개발과 교육 부문을 통합하는 개발전략을 수립할 때, 교육을 제공하는 교사의 교육원조 선호도 우선순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기술직업교육 확대(항목 1)」,「현직 교사의 상 위학위 취득기회 확대(항목 2)」,「학교시설 건설 및 학습 기자재 제공(항목 3)」,「투명한 학교운영(항목 4)」,「빈곤 학생을 위한 재정적 지원(항목 5)」,「전문성을 키우는 교원교육(항목 6)」,「선진국 해외연수(항목 7)」,「교원 보수증대를 위한 재정적 지원(항목 8)」, 「선진화된 교과과정 개발(항목 9)」로 구성된 9가지 교육원조 항목을 선정하였다. 캄보디아 농촌지역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9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BWS 설문조사를 한 결과, 상위 3개 우선순위는 항목 8, 항목 6, 항목 2였고, 가장 낮은 우선순위는 항목 7, 항목 9, 항목 5, 항목 6으로 나타났다. BWS 분석방법은 국제농업·농촌개발전략 수립에 필요한 수혜자의 원조 선호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