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

        61.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박유통에 있어 수확시 꼭지를 T 형태로 자르는 관행적 방법과 꼭지를 제거할 경우 저장성에 미치는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수박의 평균 무게는 7.8 kg이었고 각각 7℃와 실온에 저장하면서 여러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무게는 저장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꼭지처리한 수박을 7℃에서 30일 저장한 경우 그 무게가 0.6~0.7% 감소한 반면 실온에서는 1.9~2% 감소하였으며 동일 온도조건하에서는 꼭지유무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경도는 초기 755 g에서 저장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실온에서 저장하였을 경우542~549 g으로 더 큰 감소폭을 보였으나 같은 온도조건하 에서는 꼭지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 동안 pH,총산과 내부 수분은 모든 처리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용성고형분은 실온에 저장한 것은 초기 평균 11.3°Brix에서 30일 후에는 9.3°Brix로, 수박 내부의 적색도는 초기 36.7에서 저장후기에는 처리별로 31.7~33.6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당총량은 저장전 8,133 mg/100 g에서 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이들 변화 역시 동일저장조건에서의 꼭지유무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수박을 수확할 때 꼭지를 T 형태로 남긴 것과 제거한 것이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므로 생산, 유통 등을 고려하여 꼭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6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균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약용식물 133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133종 약용식물의 MeOH 추출물에 대한 bioassay를 통해 항균 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 추출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hexane fraction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Hexane fraction을 GC-MS로 분석하여 chromatogram상의 각각의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 한 결과, essential oil인 d-limonene, γ-terpinene, β-linalool, terpineol과 지방산인 palmitic acid, 9,12-octadecadienoic acid, linolenic acid 그리고 steroid 화합물인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화합물 중에서 항균 활성물질로 추정되는 d-limonene, γ-terpinene, β-linalool, terpineol의 항균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두 화합물 dlimonene, γ-terpinene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청피로부터 분리한 d-limonene과 γ-terpinene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항균력이 강한 청피 추출물 또는 d-limonene과 γ-terpin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추출물을 수박 과실썩음병에 대한 친환경 방제용 자제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63.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L.) is a summer fruit typical to help fatigue systemic absorption is getting bett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creen antioxidant activ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exocarp of watermelon. Watermelon was extracted with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 (CM, 2:1, v/v). Total phenol contents were 12.01 mg/g, 8.89 mg/g, 3.53 mg/g in the 70% methanol, 70% ethanol, CM, in that order,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β-carotene bleaching assay were 70% methanol extract remarkably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And these results showed the same trend of total phenol content.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watermelon was effective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6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박(Citrullus lanatus)은 대표적인 고온성 채소이지만 대부분이 저온기에 정식하여 재배 하기 때문에 유묘기 저온 으로 인하여 생육 불량하여 고품질 안정생산에 많은 장해 요인이 되고 있어 유묘기 내저온성 품종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박유전자원 16개 계통을 NDVI영상분석을 통하여 선발된 저온 신장성 우수 계통(PI299379, PI482261)과 시판품종삼복꿀, 수퍼금천을 식물생장상 28℃/18℃에서 20일간 육묘하여 3일간 15℃ 에서 순화 시킨 후 10℃에서 2일간 저온 처리(순화구)와 순화 없이 10℃로 2일간 저온처리(급저온구) 하였고 대조 구는 주야간 온도를 28℃/18℃로 하여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와 저온처리구의 발현양 상 차이를 보이는 17개의 단편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단편 서열을 바탕으로 한 RT-PCR 분석을 통하여 저온신장성 우수계통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calcium-binding EF hand family protein, trypsin inhibitor, Sigma factor binding protein, 등 4개의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65.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박은 토마토에 비하여 라이코핀 함량이 60% 높으며, 라이코핀 고함유 수박 품종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라이코핀 함량 분석을 위한 대량 분석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고함유 유전자원의 선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고 간편한 lycopene 함량 분석기술의 개발과, 개발된 기술(microplate법)을 이용하여 라이코핀 고함유 유전자원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방법을 개선하여 Microplate법을 개발하였다. Microplate법은 HPTLC를 이용한 방법과 약 97%로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분석의 정확성이 높은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icroplate법을 이용하여 수박 유전자원, 계통 및 96점을 대상으로 수박 과실의 라이코핀 함량을 분석한 결과 라이코핀 함량이 생체중 1 g 당 3.2∼98.3 μg・g-1의 넓은 변이를 보였다. 선발 유전자원은 시판 대비품종(스피드플러스; 10.3 μg・g-1 FW)에 비하여 4.4∼9.6배 높은 수준이었다. 선발된 자원들은 라이코핀 고함량 품종개발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6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4년도부터 저온 암꽃 발생이 양호한 모계친 원형수박인 KC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부계는 노란색 과피의 비대가 빠른 HB.Y계통을 선발하여 조합을 작성하였다. 이중 2008년도와 2009년도에 2년간 조합작성 및 조합능력을 검정한 결과 한 개의 조합을 선발하였다. 2009년 가을파종에 선발된 조합을 시교생산을 하여 2010년도에 생산력검정 및 차대검정을 하였던바 균일성 및 생산성이 좋아 새로운 품종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어 “조생노란꿀수박”으로 명명 하였다. “조생노란꿀수박” 품종의 특성으로는 과의 형태는 단타원형의 중대과종이고, 황색의 외피에 과육색은 연한 빨강색이며 당도가 매우 높다. 생육초기에는 잎이 연한 녹색이나 착과 후에는 노란색으로 변한다. 저온에서 암꽃 발생이 좋으며 과의 비대가 좋다.
        6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탄저병 저항성 수박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계통인 ‘AU-Producer’를 선발하여 탄저병 저항성 친으로, 고품질 계통인 ‘920533’을 반복친으로 1993년 교배하여 F1세대를 작성하였으며, 1994년부터 1996년까지 BC3F1세대를 진전하였고 중만생종인 ‘920532’를 반복친으로 추가하여 1997년 BC4F1세대를 작성하였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원예적 특성 고정을 위해 6회 자가수분하여 세대를 진전하였으며, 원예적 특성이 우
        6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수박 주산단지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수박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계통 육성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한 수박 유전자원의 병 저항성 검정으로 탄저병 저항성이 강한 ‘AU-Producer’를 선발하여 저항성 친으로, 고품질 계통인 ‘920533’을 반복친으로 1993년 인공교배를 하였으며 1994년 부터 1998년까지 BC4F1세대를 진전하였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원예적 특성 고정을 위해 6회 자가수분하여 세대를 진전하였으며 원예적 특
        69.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과 이외에는 상품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수박을 이용하여 수박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48일째 수박와인의 pH는 2.8~3.4, 총산 함량은 0.51~0.59%, 당도는 까지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9.5~10.5%로 증가하였다. 알콜생성량이 가장 높은 조건은 와 이었으며, 두 온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박와인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citri
        7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박에서 종자크기의 유전분석을 위해 종자크기가 다른 6계통을 양친으로 한 교배집단을 조사하였다. 전체 6계통 중 3계통은 수집 계통으로 giant seed(GS)인 'PI525088' big size(BS)인 'Charleston Gray' 그리고 medium seed(NS)인 'NT'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3계통은 보통 크기와 가장 작은 크기 계통간('NT'× 수식 이미지'TDR') 교잡 및 여교잡으로부터 육성되어 종자크기만 상이한 nea
        7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박에서 종자크기가 다른 각 계통들간의 종자특성과 종자 크기의 변화에 따른 과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박 유전자원 353 점을 대상으로 종자의 크기를 조사하고 6가지 대표적인 종자크기 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종자크기가 큰 순서부터 giant seed(GS), big seed(BS), medium size(NS), small size(SS), micro seed(MS), tomato seed(TS)라고 명명하였다. 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종장, 종경이 작아졌고,
        72.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파를 이용한 수박의 내부품질을 비파괴적으로 판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박품질판정기는 크기가 , 무게가 290 g로 휴대가 가능하여 수박 재배포장, 집하장, 슈퍼마켓 등 현장에서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수박의 음파수집한 후 음파데이터에서 영교차율, 피크(peak)점간 거리 표준편차, 시간파형에서 진폭 적분값, 주파수대역 에너지, 영점빈도수와 같은 특징인자를 추출하여 내부품질을 판정할 수 있는 주성분회귀 모델개발에 이용하였다.
        73.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박의 5가지 품종에 대한 이화학적성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도 및 pH는 우리꿀이 각각 10.75 , 5.6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박에 함유된 주요무기질은 칼륨(/100 g), 인(/100 g), 마그네슘(/100 g), 칼슘(/100 g), 나트륨(/100 g), 철분(/100 g) 등이었으며 이 중 칼슘의 함량은 우리꿀이 가장 높았고 인, 칼륨, 나트륨, 철분, 아연, 구리의 함량은 달고나가 가장 높았다. 유리당은
        74.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박꼭지의 시듦 현상을 지연시키기 위해 수박꼭지에 바셀린, 왁스, 대두유, 접착라벨지 등을 처리한 후 저온에서 저장한 결과, 수박꼭지에 바셀린을 발랐을 때 시듦이 가장 지연되었고, 접착라벨지를 처리한 경우 외관상 상품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왁스와 대두유의 경우 개선효과가 없었다. 수박꼭지의 시듦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는데, 수박꼭지의 수분함량은 수박꼭지의 시듦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수박꼭지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수박꼭지의 시듦은 지연되었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