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6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nitrogen (N), phosphorous (P) and potassium (K) on the shoot and bulb growth of wild garlic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ere studied by adopting in vitro culture. These macronutrients influenced the growth of both the shoot and bulb of garlic depending upon their application doses. A minimum of 3% potassium nitrate (KNO3) as a source of nitrogen was found to be critical for shoot elongation while higher concentrations were inhibitory. Garlic bulb growth was profuse on the usual KNO3 strength and sucrose (7%), followed by KNO3 (9.4 mM) supplement. On providing 41.22 mM ammonium nitrate (NH4NO3) as nitrogen source highest shoot growth was observed while 82.45 mM NH4NO3 as a source of nitrogen supported high bulb growth. With regard to potassium a good shoot growth was observed in medium that contained 0.31 mM KH2PO4 and 3% sucrose, while bulb growth was high on 2.5 mM KH2PO4 and 7% sucrose. These experiments may thus direct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growth conditions for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edible wild garlic.
        6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멀칭재료와 재식방법에 따른 shallo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멀칭비닐 종류별 시험에서 투명 PE필름 처리구에서 흑색 PE필름보다 엽수, 초장, 엽초장, 엽초경이 더 좋았고, 상품수량도 21%나 증수되었다. 그러나 구의 크기별 분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allot의 재식밀도별 수량은 120 cm 5조(10 a당 20,833주)에서 1,332 kg으로 120 cm 2조(10 a당 12,500주)에서보다 1.7배가 증수되어 밀식재배가 유리하였다. 따라서 shallot의 재배는 투명 PE필름 멀칭에 휴폭 120 cm에 5조가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65.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ulb storability of eight red and ten yellow onion (Allium cepa L.) cultivars grown primarily in Korea was evaluated. During storage, sprouting occurred earlier in red cultivars than in yellow cultivars. In addition, the ratio of sprouted to unsprouted bulbs increased more rapidly in red cultivars than in yellow cultivars. However, not all yellow cultivars had strong storabilities. Bulb storability of three yellow cultivars was as poor as that of red cultivars, suggesting only a slight possibility of a pleiotropic effect of color and bulb storability. Meanwhile, F3 lines of a red cultivar selected based on stronger storabilities showed intermediate storabilities between those of the red and yellow cultivars, implying that strong storability could be obtained by successive selection. In contrast, F1 hybrids from crosses between yellow and red breeding lines showed poor storability compared with the yellow cultivars, indicating that poor storability may be dominant over strong storability.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or and other traits that potentially affect storability, such as fresh and dry weight, water content, and firmness of bulbs, were evalu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trait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colors, although the water content of yellow cultivars and the dry weight of red cultivar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bulb storability and other traits, including weight, water content, and firmness, also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is study, no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bulb color, storability, and other traits. However, based on these results, red cultivars with stronger storabilities could be developed through successive selection of bulbs with stronger storabilities.
        6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임자도에서 토성(사질토양, 밭토양, 사질토와 개펄을 혼합한 토양)과 퇴비 및 석회질 비료시비 등 토양환경에 따른 튤립 구근의 생육을 조사하여 구근생산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Ballerina', ‘Golden Apeldoorn', ’Kees Nelis', ‘Merry Christmas', 'Up Star' 품종 모두 밭토양에서 구근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사질토+개펄토양에서 주구의 직경, 구고, 구둘레, 구중 등 구근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퇴비 처리에 있어서 'Dreaming Maid', ‘Dynasty', ‘Leen van de Mark' 품종은 무처리에 비해 퇴비를 표준량 또는 표준량의 1/2배 처리시 주구의 구고, 구둘레, 구중 등에서 양호한 생육 결과를 보여 주었다. ’Hollandia'와 ’Negrita' 품종은 전반적으로 퇴비 처리에 따라 구근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석회질 비료처리에서 ‘Strong Gold' 품종은 무처리구에 비해 표준량 또는 표준량의 2배 처리한 것에서 구고, 구둘레 및 구중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White Dream' 품종은 표준량의 1/2배 처리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7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튤립(Tulipa ‘Showwinner’, ‘Ballerina’)과 수선(Narcissus ‘Tete a tete’, ‘Dutch Master’)의 고품질 분화 및 절화생산을 위한 구근 저온 저장 및 재배시스템이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튤립 ‘Ballerina'의 경우 재배시스템과 저온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습윤 저온처리는 다른 저온 처리방법보다 개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튤립 ’Showwinner'의 경우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었고, 개화율은 재배시스템이나 저온 처리기간보다 저온처리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윤 저온처리에서 90% 이상의 개화율을 보였다. 수선 ‘Dutch Master'의 경우 개화소요일수는 재배시스템 처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저온 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었으며, 개화율은 습윤 저온처리시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100%를 나타내었다. 수선 ’Tete a tete'의 경우 Ebb & flow 시스템과 습윤 저온처리구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개화율은 재배시스템이나 저온처리기간 보다 저장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습윤 저온처리나 건조 저온처리에 비해 자연 저온처리에서 다소 개화율이 낮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구근의 저온저장 및 양액재배 시스템에 의해 고품질 상품을 기획적으로 생산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73.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배양에 의한 네리네 기내 대량증식 조건을 확립하고자 대량증식 배지선발, 자구비대 및 출현율 향상을 위한 첨가물질, 배양부위별 증식효율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네리네 기내 대량증식을 위한 생장조정제 처리결과 자구형성수는 단용처리보다 혼용처리에서 효과적이었다. 생장조정제 처리별 자구수에서 Nerine bowdenii ‘Favorite’ 와 Nerine sarniensis ‘Red’ 모두 NAA 0~0.5 + BA 0.5~2.0mg · L-1에서 무처리 1.2개보다 66%~100%향상된 1.8~2.4개로 효과적이었다. 자구비대 및 출현율 향상을 위한 최적 배지원과 농도는 Glucose 7%로 가장 양호한 자구비대 및 순화시기에 관련 없는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으로는 질산태와 암모니아태 질소 혼용 40mM에서 토양내 자구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 배양부위별 증식효율은 재료 확보가 제한적인 생장점 배양보다는 인편번식 배양이 54배 높은 증식효율을 보였으며, 인편번식 배양을 위한 부위로는 중인편이 양호한 생장 및 가장 높은 자구 형성(1.8개/절편)이 가능하였다.
        7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팔나리 ‘Gelria' 품종의 구근생산을 위해 소인경의 줄기와 구근 생육에 적합한 저온처리 및 식재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5℃ 또는 10℃에서 30일간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구근 둘레, 구근 직경, 구근 높이, 구근 무게 등 구근생육이 양호하였다. 7cm 깊이로 식재시 초장이 가장 길었으나, 맹아율이 약간 낮아졌다. 식재 깊이에 따라 구근 높이와 직경에 차이가 없었으나, 5cm 또는 7cm 깊이로 식재한 처리에서 구근 둘레와 무게가 증가하였다. 소인경 식재시 무시비구에서 줄기 및 구근생육이 가장 저조하였고, 퇴비 표준량, 기비 복합비료 표준량의 1/2배, 그리고 추비 복합비료 표준량을 처리하는 것이 구근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peatmoss와 vermiculite를 1:3 또는 peatmoss와 perlite를 3:1로 혼합한 배양토에서 줄기 및 구근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76.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apid and mass propagation method for multiple 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using bulb scales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were developed. In vitro different parts of bulb scale as explants were cultured on 11 kinds of MS (1962)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to induce shoot and callus. A combination of 2.0 mg/L 6-BA and 2.0 mg/L IBA on MS medium was the most favorable and induced the highest production (80%) of shoot formation after 30 days. We also found that the middle part of bulb scale was the best for mass propagation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of which production could reach 64.4%.
        7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구로부터 단기간 내에 대량의 자구를 생산할 수 있는 분구법의 최적조건으로 분구시기, 온도, 식재용토 등을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구를 twin-scale법으로 20℃에 처리했을 때 최적 분구시기는 휴면각성기로 자구형성 및 생육상황이 수확기, 휴면기에 비해 우수하였다. 특히 품종 중에서도 Nerine bowdenii 'Stepani' 보다는 N. bowdenii 'Favourite' 품종의 자구 형성률이 80.3%로 수확기의 46.7%, 휴면기의 61.4%에 비해 훨씬 높았고, 형성 자구수도 구당 30.6개로 수확기 모구 사용에 비해 20.1개 이상의 자구 생산이 가능하였다. 또한 분구처리 적정 온도는 20℃로 N. bowdenii 'Favorite'에서 80.3%의 자구형성률과 30.6개의 자구수로 15℃의 64.5%, 23.1개에 비해 15.8%이상 높았으며, 조직 치밀도 역시 저온보다는 20℃에서 충실한 자구로 발육하였다. 분구시 구근 식재용토는 버미큐라이트가 선발되었다. 버미큐라이는 자구생성 및 생육상황이 다른 용토에 비해 우수하였고, 자구가 구당 39.4개 형성되어 관행 피트모스 처리에 비하여 37% 증가하였으며, 자구중을 비롯한 생육상황이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78.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rine 대량증식을 위한 자구 저장 및 순화재배 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온도와 기간별 자구 무게 참모율은 저온보다 고온에서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직배양 자구의 적정 저장온도와 기간은 86.4%의 출현율을 보이는 15℃에서 12주가 적절하였다. 또한 기내 생산 자구의 적정토양순화 시기는 휴면타파온도인 22℃이상 유지가 가능한 6월 상순이 적절하였다. 순화 재배시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적정 광원은 적색과 청색의 혼합파장에서 네리네 생육과 광합성 능력이 우수하였다.
        79.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기내에서 생산된 나팔나리 ‘죠지아’ 소인경의 식재시 배양토와 시비조건이 줄기와 구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단용 처리는 줄기와 구근생육이 불량하였고, 피트모스와 버미큘라이트를 2:1로 혼용한 배양토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왕겨는 혼용비율이 높아질수록 소인경의 생육이 불량하였다. 무시비구에서는 전반적으로 소인경의 줄기 및 구근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다른 처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합리적인 시비를 위해서는 1+1+1/2(퇴비+기비+추비)이 추천되었다.
        80.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기내에서 생산된 나팔나리 ‘죠지아’의 소인경의 크기와 식재방법이 구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소인경의 크기가 클수록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경출엽 발생율이 높았다. 또한, 소인경의 크기가 큰 것(구둘레 4.0cm)은 작은 것(구둘레 2.2cm)을 식재하는 것보다 구둘레, 구고, 구직경, 구중 증가에 더 효과적이었다. 식재깊이는 다른 처리에 비해 1cm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둘레, 구직경, 구중 등 구근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절화용 구근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재간격은 구근 생육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