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4

        61.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joint international educational project has been developing between Hokkaido University and Jeju University based on reparations cases in both islands of tragedies. There are many reasons why I as a Japanese civil law/ reparations scholar have got interested in the Jeju tragedy: the need for building peace-making network, the historical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Jeju and Japan, and the continuity of violence between the Korean right-wing soldiers at the Jeju mass killing and the Japanese soldiers in the colonization era. The challenges of Jeju reparations are still immense: including most importantly, unfinished individual symbolic and economic reparations and the US responsibility. To attain true reconciliation, more Americans should know these past injustices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process of reconciliation: (1) fact findings of past injustice and their recognition, (2) the admittance of historical responsibility (3) sincere apologies and supplementary reparations from perpetrators’ sides, and then (4) forgiveness from victims’ sides. As for the Jeju tragedy,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this direction is imminently required.
        4,000원
        62.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12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지역에 속해 있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지정된 특정도서 (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를 대상으로 이 지역에서 관찰된 보호조류의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적 보전방안 활용을 목적으로 조류의 번식시기(하계)와 이동 시기(춘계, 추계)에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도서 중 병풍도는 멸종위기 동물 매 및 슴새 서식이 지정사유를 포함하고 있고 탄항도와 남태기도는 천연기념 물 흑비둘기 서식이 지성 사유에 포함되어 있다. 이 지역 모두 지형․ 경관이 우수하고 상록 활엽수립 등 조류의 서식 처가 잘 발달되어 있어 식생이 우수한 지역이다. 조사결과 전체 조류는 최대개체수 기준 52종 765개체가 관찰되었고 이중 국내 보호조류는 전체 20종이 나타났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의 관심 대상종(LC, Least concern) 이상 등급은 총 49종으로 나타 났으며, 위기근접종(NT, Near Threatened) 2종, 취약종 (VU, Vulnerable) 1종이 기록되었다. 연구지역에서 확인된 국내․외적 보호종 수치는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에 기록된 전체 보호종 수를 기준으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중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의 취약근접종은 3%, 취약종이 4%의 비율이며 특 정도서 5곳(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에서 기록된 비율은 취약근접종이 4%로 더 높은 비율을 보이며 취약종은 절반인 2%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지역은 보호조류의 번식과 서식처로서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보전방안 마련 에 있어 보호조류의 번식 및 서식지 보존을 위해 지리적, 생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정도서에 방목되어 있는 염소구제 및 어로행위를 위한 불법입도 등 인간의 간섭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6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sushima Island (Daemado) belonging to Japan is an island located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so this island is very important geographically. Tsushima is divided into two main islands on North (Kami Jima), South (Shimo Jima). The highest mountain of south Island is Yatateyama (649m) and Mitakeyama in north Island (487m). Almost area is mountainous and forested. We collected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First Collecting site is Miuda beach (28m. 34°40'34.39"N, 129°27'51.35"E), second is Ayumodoshi (65.7m. 34°09’ 06.70”N, 129°12’ 31.1” E), third is Mt. Eboshi (11.7m. 34°22’35.5” N, 129°18’ 33.6” E). The moths were collected by the light trap including one Mercury vapor lamp and two UV lamps with white screen. A total of 17 species, 12genera of Crambinae were identified. The materials examined are deposited i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64.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obal climate change has become a major issue which affects the humanity and nature around the world. Caused primarily by human actions of unabated greenhouse gas emission and deforestation, the destructive effects of climate change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intense during the past decades. As climate change is a global problem, addressing its causes and consequences also requires global responses. While climate change is caused by people from various parts of the world, its impacts disproportionately affect people in coastal regions and islands around the world, and marginalized poor commun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Everyone in the planet has a role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but governments,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nd corporations have broader roles and responsibilities. Due to their mission alignment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conserve nature, environmental NGOs play several vital roles in the fightagainst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NGOs and international NGOs are in a unique position to respond, and to facilitate the involvement of other sectors in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This article discusses some of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NGOs in addressing climate change.
        4,200원
        6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에 위치한 5개의 특정도서지역(소치도, 장도, 세존도, 솔섬, 학섬)의 관속식물상을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50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장도에서 관속식물의 출현은 특산식물 1분류군, 귀화식물 10분류군, 희귀식물 1종을 포함하여 총 52과 102속 11종11변종 2품종 124분류군 이 조사되었으며, 학섬에서는 44과 73속 76종 8변종 84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특산식물 3분류군 귀화식물 5분류군을 포함하고 있었다. 소치도에서의 관속식물은 38과 51속 51종 8변종 59분류군이 출현하였고, 귀화식물 3분류군, 희귀식물 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솔섬에서는 귀화식물 1종, 희귀식물 2분류군을 포함하여 28과 28속 24종 4변종 28분류군, 세존도에서는 귀화식물 1종, 희귀식물 1종을 포함하여 15과 19속 16종 4변종 2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 46종, II등급 1종, III등급 16종, Ⅳ등급 2종, Ⅴ등급 4종이 출현하였다.
        4,800원
        66.
        201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어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영유권 분쟁은 독도문제와의 유사성 때문에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현재도 진행 중이다 특히 차 세계대전 전후로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이 이 두 영토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같은 역사적 배경을 공유하는 두 지역의 상황을 국제법적으로 비교분석하는 것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종전 후 그 처리과정에서 영토문제가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에 따르면 당시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세력 즉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의 판단이 영토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근거로써 작용할 수 있다 이 견해는 영토문제에 관한 국제법원의 판결기준에 근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견해를 포함한 도서영유권에 관한 국제법원의 판결원칙을 살펴보고 위 두 지역의 사례와 비교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이 지역들의 도서영유권 문제는 제 차 세계대전 종료시점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6,000원
        67.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3,358 islands in Korea and about 85% of them are uninhabited islands. Concerning thi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has been seeking not only to settle the fundamental policy on the preservation, the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but also to search the proper types of management suitable for the specialities by inhabited islands. Accordingly, we participated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from May 2012 to January 2013 by MLTM intended for 171 un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Mokpo City, Yeosu City, Jindo-Gun, and Shinan-Gun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uninhabited islands. In this treatise, we report the result of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about twenty six uninhabited islands nearby Hong-do island.
        4,800원
        7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rveillance for subtropical moths through the inanimate pathwa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ast seven years using the light trap in Baengnyeong and Daecheong islands, located near the Northern Limit Line (NLL) in the West Sea. Each record typically includes the taxonomic identify, its country of origin, and information related to inanimate pathway. A total of 2,201 individuals were detected, comprising 25 families, 441 species of Lepidoptera.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hionarctia nivea (Noctuidae) with 44 individuals, followed by a crambid moth, Ostrinia furnacalis with 37 individuals. Among them, two species of subtropical moths, including Ischyja manlia Cramer and Spirama sp. belonging to the family Noctuidae, and they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subtropical area from the southern part of China to Borneo or Java. Interestingly, the other three species, Acronicta pruinosa (Guenée), Marumba spectabilis (Butler), and Spodoptera pecten Guenée were distributed in the southern regions, however,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biotic province is now considered that may be certified moving northward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our weather conditions and further study on the surveillance of subtropical or/and southern species is needed, considering its possible status as a pest insect.
        71.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러시아와 일본 간 영토분쟁의 본질은 러시아가 실효지배 하는 몇몇 섬들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이다. 쿠릴열도라 불리는 이 섬들은 지리적으로 캄차카에서 홋카이도에 이르는 일단의 섬을 말한다. 일본이 말하는 북방영토에는 4개의 섬, 즉 쿠나쉬르, 이투루프, 시코탄, 하보마이가 포함되고, 일본은 이 섬들이 자국의 4번째 섬인 홋카이도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일본이 소위 북 방영토의 일본 반환을 요구하는 것은 위 4개 섬 모두를 돌려달라는 말이다. 러시아는 아시아의 현 상태가 유지되길 바란다는 점에서 중국, 한국 등과 입장 이 같다. 이 두 나라 역시 2차 세계대전의 결과가 바뀌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다케시마라고 부르는 독도 문제 역시 한국과 일본 간의 삐 걱대는 관계의 원인이 되었다. 즉, 독도는 한국의 남쿠릴열도라 할 수 있다. 일본 의 독도 및 쿠릴열도, 팽호도(중국), 파라셀군도(베트남) 영유권 주장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를 간접적으로 부정하는 것이고 따라서 일본의 국제법 상의 의무에 직접적으로 반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은 2차 대전 이후 확립된 이웃국가들의 영토에 대해 영토 주장을 함으로서 2차 대전의 법적, 정치적 결과들을 무시하고 있다. 모든 국가들은 이웃이자 역내 파트너들이며 우호 관계 강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모든 국가들에게 영토문제는 민감한 문제이며, 이들은 인접국과의 모든 분쟁에 있어 영토 획정 문제의 수용 가능한 해결은 해당국의 주권과 영토보전 을 해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는 기본원칙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10,700원
        72.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지리학자들이 울릉도 및 독도 연구, 정착 및 영유권 연구에 주로 사용하는 세 가지 수단에 집중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지리학에서 중요한 세 가지 전환점을 선정해 보았는데, 이 전환점들을 계기로 지리학이 설명적인 학문에서 분 석적인 학문으로 변모되었다. 지리학의 세 가지 전환점은 다음과 같다. 1) 지리학 에서의 탐사(exploration), 2) 지도제작과 크로노미터의 발전, 3) 21세기 영토 문제 에 있어 공간정보 기술의 중요성이다. 사람이 최초로 울릉도와 독도에 도착한 정확한 날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고학적 증거 및 기록에 따르면 기원후 6세기에는 한국 선조들이 울릉도에 살고 있었다. 한국 어민들이 독도에 자주 갔지만 정착한 것은 20세기 중반 이후부터였다. 지리학적 연구는 울릉도에서 발견된 고대 유물도 연구 대상으로 한다. 고대 유물을 보면 삼국시대 말과 통일신라 시대에 정기적인 무역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유물이 나중에 발굴되게 되면 훨씬 이전부터 사람들이 울릉도에 정착했었음을 드러낼 것이다. 울릉도와 독도 간의 긴밀한 관계가 수세기 동안 이어졌음을 증명하는 수백 개의 지도와 해도가 증거 서류에 포함되었다. 두 섬간의 연관성과 동해에서의 인간 활동은 한국인들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울릉도와 독도에서 활동하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그 증거의 양은 방대하고 이는 영유권 차원에서 독도와 감정적 그리고 문화적 유대가 없는 사람에게 곤란하다.
        10,400원
        7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령도와 연평도의 곤충상 조사결과, 통나방과 (나비목: 뿔나방상과)의 11종이 서해안지역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그 중 Coleophora adjunctella Hodgkinson, C. chenopodii Oku, 그리고 C. kurokoi Oku는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으로 이들 종 동정에 필요한 성충과 암컷 생식기 사진을 함께 기재한다.
        4,000원
        7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 M. 싱의 시학 읽어내기: 「아란 섬」과 「바다를 타는 사람들」에 나타난 자연과 시 우리말 요약: J. M. 싱은 아마 지금까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가장 위대한 극작가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그는 자주 많은 이들에 의해 폄하(조이스 포함하여)되고 있지 만 예이츠는 당대에 모든 극작가들 중 최고로 여기는 것 같다. 본 논문은 싱이 아란 을 방문하기 전에 이미 잘 준비된 위대한 극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아란 섬」을 증거로 제시하는데, 그가 나중에 희곡을 쓸 때 사용하는 관찰, 느낌, 생각으로 가 득 찬 아주 시적인 위대한 저술임을 증명한다
        5,100원
        7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ng 3,358 islands in Korea, about eighty five percentage of them are uninhabited islands. Concerning thi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has been seeking to settle the fundamental policy on the preservation, the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and to search the proper types of management suitable for the specialities by inhabited islands. As part of such research, we participat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from May 2012 to January 2013 by MLTM intended for 171 uninhabited islands in Mokpo City, Yeosu City, Jindo-Gun, and Shinan-Gun of Jeollanam-Do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uninhabited islands. First of all, in this treatise, we report the results of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about nine uninhabited islands nearby Gakyeo island in Shinan-Gun of Jeollanam-Do.
        4,000원
        76.
        201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일찍부터 소위 남중국해에 ‘9단선’을 긋고 자국의 해양관할권을 주장하여 왔는데, 국제사회에서 본격적으로 문제가 된 것은 2009년에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이 공동으로 제출한 대룩붕 외측한계자료에 대하여 중국이 공식적으로 ‘9단선’ 내의 자국의 관할권을 주장한 것이다.필리핀은 일방적으로 2013년 1월 22일에 남사군도에 대한 영유권 내지 관할권의 귀속에 관한 문제를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 제15장 제2절에 근거하여 동 협약 제7부속서가 정하고 있는 ‘중재재판’에 의하여 해결할 것을 청구하였다.본 논문은 필리핀이 일방적으로 중재재판을 제소한 것에 대하여 그 법적인 타당한 근거가 있는가를 중심으로 중재재판의 성립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데, 동 분쟁사건에 있어서 유엔해양법협약 제7부속서에서 정하고 있는 중재재판의 관할권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본다.앞으로, 필리핀과 중국의 도서분쟁은 관련 국가들과 남사군도의 영유권 내지 관할권을 해결할 수 있는 공동관리 등의 평화적인 방법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리라고 본다.
        6,100원
        7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잘피자생지의 서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7월 GPS를 활용하여 서식면적을 기록하였고, 직접적인 잠수 조사로 서식 현황을 확인하였다. 잘피가 자생하는 곳은 해수와 퇴적물 공극수의 영양염 분석과 함께 분포 면적, 종조성, 형태적 특성, 밀도와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추자도에는 3종의 거머리말속 잘피(거머리말, 수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가 출현한 것에 비하여 제주도에는 거머리말한 종이 동북연안에서만 서식하고 있었다. 제주도의 거머리말 서식면적은 238,572m2이고, 추자도의 잘피 서식면적은 23,584m2로 수거머리말이 21,216m2, 포기거머리말이 1,870m2, 거머리말이 498m2를 차지하고 있었다. 제주도와 추자도의 거머리말은 조간대부터 조하대 평균 수심 5m까지 출현하였다. 추자도의 포기거머리말과 수거 머리말은 각각 조하대 평균 수심 3~4m와 4~6m에서 출현하였다.
        4,000원
        79.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에 속해 있는 5개의 섬(지심도, 내도, 윤돌도, 송도, 갈도)에 대한 식물상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출현은 지심도는 85과 195속 219종 24변종 2품종 3아종 246분류군, 내도는 72과 127속 131종 12변종 143분류군, 윤돌도는 56과 73속 73종 10변종 1아종 84분류군, 송도는 33과 63속 64종 6변종 70분류군, 갈도는 47과 84속 84종 7변종 1품종 1아종 93분류군으로 모두 105과 272속 334종 39변종 4품종 3아종으로 총 38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7종이 출현하였으며, 특산식물은 6종이 출현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은 Ⅰ등급에는 42종류, Ⅱ등급에는 1종, Ⅲ등급에는 25종류, Ⅳ등급에는 4종류, Ⅴ등급에는 4종류로 총 76종류가 출현하였다.
        4,500원
        8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도해지역인 신안군 임자면 임자도 일대 19개 무인도서에서 나비를 조사하여 총 5과 11속 14종을 확인하였다.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나비가 5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부전나비과 (Lycaenidae)가 4종, 흰나비과 (Pieridae), 네발나비과 (Nymphalidae)는 2종, 팔랑나비과 (Hesperiidae)는 1종이 나타났다. 본 조사의 우점종은 남방부전나비 (Pseudozizeeria maha), 푸른부전나비 (Celastrina argiolus), 먹부전나비 (Tongeia fischeri), 호랑나비 (Papilio xuthus), 청띠제비나비 (Graphium sarpedon)이며, 이들 중 청띠제비나비는 서남해안 일부지역에서만 서식하여 한반도 내에서 서식 분포가 매우 좁은 종이다. 나비의 분포는 섬의 면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 공급원과의 거리나 최고 고도와 유의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변화에 따른 종의 확산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