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6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Figure and Ground, perspective, and orientation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why alternative construals of the same situation are available in the conceptualization of relative spatial locations of objects. It focuses on the availability of alternative construals when one object/two objects have their own inherent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objects within a scene, the perspective may be on the speaker or the object, which results in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relative spatial locations between the two objects. Perspective point can be shifted from the speaker to an object with its own inherent orientation, and that object has the role of a Ground with respect to a Figure. Each object may receive the perspective and an alternative construal is available depending on its orientation. If the principle of Figure and Ground alignment and perspective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former works first: if the reversal of Figure and Ground is allowed, an alternative construal is available. Furthermore, if the perspective point is shifted to an object and the object has its own inherent orientation, an alternative construal of the relative spatial locations is available.
        62.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농구심판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 전략과 지각된 시각초점 영역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숙련자, 비숙련자 각각 6명씩 총 12명의 연구대상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과제는 스크린에 제시되는 농구경기 영상을 보고 반칙상황이라고 간주될 때 컴퓨터 버튼을 눌러 반칙의 종류를 맞추는 과제이다. 반칙거리(원거리와 근거리)와 반칙유형(공관련 반칙과 공관련 없는 반칙)에 따라 동영상이 무선적으로 제시되었으며 매 시행이 종료되면 연구대상자는 지각된 시각초점 영역을 구두로 표현하였다. 숙련성(2수준), 반칙거리(2수준), 반칙유형(2수준)은 독립변인이며, 종속변인은 판단정확성, 동작시간, 시선고정빈도, 시선고정시간비율, 평균시선고정시간, 시각초점영역, 지각된 시각초점 영역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단 정확성 및 동작시간은 숙련자이며 공과 관련 있는 반칙 상황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선고정빈도는 근거리의 반칙상황보다 원거리의 반칙상 황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선고정시간비율은 숙련자일수록, 원거리의 반칙상황일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균시선고정시간은 숙련자일수록, 원거리의 반칙상황일수록, 그리고 공과 관련 없는 반칙 상황일 때 짧게 나타났다. 다섯째, 경기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초점 영역과 실제 지각된 시각초점영역을 분석한 결과, 숙련자는 공격자에 대한 시각초점 영역이 많은 경향이 있었으며 실제 지각된 시각 초점영역은 주로 수비수와 공격수 모두를 주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비숙련자는 공격자에 대한 시각초점 영역이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실제 지각된 시각 초점영역은 공격수를 주시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반칙 순간에는 시각초점 영역과 실제 지각된 시각 초점영역이 비숙련자에 비해 숙련자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6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QTL analysis of agronomic traits based on cultivation of low and high altitude locations, BC1 F5 181 lines were developed from a cross of Tongil type Gayabyeo and japonica Chhomrong originated from Nepal. Plant materials were grown in both of low altitude area of Milyang, Korea and high altitude area of Khumaltar, Nepal. In QTLs analysis, a total of 42 QTLs were detected in days to flowering, culm length, panicle length, number of panicles/hill, panicle exertion, and spikelet ripening ratio. Although many of the QTLs were coincided between the two locations of Korea and Nepal, several QTLs were revealed as location specific in high altitude area of Khumaltar. Especially, the regions harboring marker RM489-RM14281 on chromo- some 3, RM5642-RM19049 on chromosome 5, and RM2854-RM6696 on chromosome 12 where QTLs were clustered and coincided between the two locations are considered as positive target regions for environmental independent traits. Furthermore, high rate of location specific QTLs such as panicle exertion and spikelet ripening ratio c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cold tolerance based on cultivation of different altitude location.
        64.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well-known that when singularities are located within the workspace of the parallel mechanism (PM), the usefulness of its workspace is significantly deteriorated. To handle this problem, we suggest an optimal design method which leads to more useful and larger workspace of the PM by taking its singularity locations into consideration in design process. Kinematic models of three selected planar PMs, a 5R type PM, a 3-RPR type planar PM, and a 3-RRR type planar PM, are derived via screw theory and their singularity analyses are conducted. Then workspace optimal designs for those three PMs are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suggested design method leads more useful and larger workspace in which deterioration by singularity is minimal.
        65.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 기법의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도시유출해석모형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0 DLL과 연계하여 최근에 활발히 진행 중인 도심지하저류지 조성사업과 관련한 최적의 위치와 규모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도시유역에서 지하저류지 사업의 진행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설치 위치와 규모의 선정을 위해 가상유역에 적용하였으며, 각 위치와 규모의 결정에 따른 최적의 조합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장 큰 피해를 불러일으키는 집중호우의 경우를 고려하여 50년, 80년 및 100년 빈도의, 60분, 120분 및 180분의 지속기간을 갖는 다양한 초과강우사상을 적용하여 지하저류지의 위치에 규모의 최적 조합에 따른 월류량의 감소를 비교·확인하였다(표 1참조). 분석결과 적용된 가상 유역 내에서 월류량을 최소화하는 저류지의 최적위치와 규모를 선정해 본 결과, 1개의 저류지를 설치 할 경우 A8번 지점에 저류지를 설치하였을 때 월류량 감소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2개, 3개를 설치하였을 때 각각 A5, A8번과 A5, A7, A8번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위치를 보았을 때 공통적으로 A8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주요 관리대상 지점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도심지하저류지의 최적위치와 규모 선정은 투수면적의 감소, 도달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한 도시화 지역의 피해 감소 및 추후 정비 사업 계획 추진에 있어 위치와 규모의 결정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ambient total gaseous mercury (TGM) concentrations in Seoul,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GM concentration, and to identify of possible source areas for TGM using back-trajectory based hybrid receptor models like PSCF (Potential Source Contribution Function) and RTWC (Residence Time Weighted Concentration). Ambient TGM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the roof of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building in Seoul for a period of January to October 2004. Average TGM concentration was 3.43±1.17 ng/㎥. TGM had no notable pattern according to season and meteorological phenomena such as rainfall, Asian dust, relative humidity and so on. Hybrid receptor models incorporating backward trajectories including potential source contribution function (PSCF) and residence time weighted concentration (RTWC) were performed to identify source areas of TGM. Before hybrid receptor models were applied for TGM, we analysed sensitivities of starting height for HYSPLIT model and critical value for PSCF. According to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trajectories were calculated an arrival height of 1000 m was used at the receptor location and PSCF was applied using average concentration as criterion value for TGM. Using PSCF and RTWC, central and eastern Chinese industrial areas and the west coast of Korea were determined as important source areas.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TGM and GEIA grided emission bolsters the evidence that these models could be effective tools to identify possible source area and source contribution.
        6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soybean seed coat have been known as including biological activities, which are antitumor, antioxdant and antivirus. Also in soybean, isoflavone have been reported as health-promoting benefits, which are antiestrogen, antioxidant, antitumoral activities and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s and osteoporosis. The consumption of soybean increased in Korea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nthocyanin and isoflavone.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anthocyanin, and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domestic black soybean cultivars grown at different latitudinal locations, Suwon (37°16'N) and Milyang (35°30'N). D3G, C3G, and total anthocyanins in Geomjeongkong # 3, C3G, and total anthocyanins in Ilpumgeomjeongkong grown at higher latitudinal Suwon were higher compared to lower latitudinal Milyang. Daidzein, glycitein, genistein, and total isoflavone contents in Gemjeongkong # 4 were highest among the seven cultivars. Daidzein contents in Gemjeongkong # 3, Milyang # 112, and Milyang # 113 grown at higher latitudinal Suwon were higher compared to lower latitudinal Milyang. Glycitein contents in Gemjeongkong # 3, and # 4 grown at higher latitudinal Suwon were higher Milyang while that in Milyang # 113 grown at lower latitudinal Milyang was higher compared to higher latitudinal Suwon. Genistein contents in most black soybean cultivars except Milyang # 113, and total isoflavone contents in Gemjeongkong # 4 and Cheongjakong grown at lower latitudinal Milyang were higher compared to higher latitudinal Suwon. The variations of anthocyanin except Pt3G and isoflavone contents seemed to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like different latitude than the genotype because they show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ultivars and locations.
        6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ude protein is about 40% in soybean seed, and oil extracted from soybean seeds is one of the major vegetable oils. Also soybean oil is a good source of essential fatty acids, and sugars in soybean seed is composed of water-soluble saccharides, and most of them are oligosaccharide namely sucrose, raffinose, and stachyose. Although the production of soybean decreased in Korea, the consumption of soybean increased in recent time because soybean is well known as a well-being and healthy foo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know the variation of crude protein, crude oil, fatty acids, and sugar contents in Korean domestic black soybean cultivars grown at different latitudinal locations, Suwon (37°16'N) and Milyang (35°30'N). In most black soybean cultivars, oleic acid content was higher, while linoleic acid, or linolenic acid contents were lower at higher latitudinal Suwon compared to lower latitudinal Milyang. Sucrose content in Geomjeongkong # 3, raffinose contents in Gemjeongkongkong # 3, # 4, Ilpumgeomjeongkong, and Cheongjakong, and stachyose content in Gemjeongkong # 1 grown at lower latitudinal Milyang was higher compared to higher latitudinal Suwon. The variations of crude protein, crude oil and fatty acids contents seemed to be affected by genotype than growing loc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latitude as they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ultivars and locations. In contrast, the variations of glucose, sucrose, and stachyose contents maybe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 as different latitude than the genotype because they show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ultivars and locations.
        69.
        200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관망의 유지 관리를 위한 최적 압력 계측 위치 선정은 효율적인 상수관망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압력 계측 위치 결정에 기존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정보이론인 엔트로피 이론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방법은 실측자료를 이용한 검 보정이 필요로 하기에 체계적인 관리가 미흡한 지역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상수관망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며 측정비용을 최소화하는 절점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상수관망 유지 관
        7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사장교의 시공 중 장력보정을 위한 최적 변위계측 위치(OLD) 결정법을 제안한다. 변위 민감도를 구하여 Fisher Information Matrix(FIM)를 정식화하였고, 이를 이용한 유효독립분포벡터(EIDV)를 계산하여 최적 변위계측 위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최적 변위계측 위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장교에 대한 수치예제를 수행하였다. 변위를 사용한 FIM을 정식화하여 이의 결과를 변위 민감도를 사용한 결과와 수치예제를 통해 비교하였다. 또한 변위 측정오차와 케이블 길이오차가 장력 보정에 미치는 영향을 Monte Carlo 기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71.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wth and quality of rice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location of culti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titudinal locations on the growth and yield-related components of rice. Nineteen Japonica type varieties were grown at Iksan (altitude, 10 m), Imsil (altitude, 150 m), Jinan (altitude, 275 m) and Jangsu (altitude, 430 m) at a similar latitude in Jeonbuk province in the south western Korea. Minimum air temperature showe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altitude. The morphological traits and yield-and quality-related components were analyzed. Longer days to heading was required at higher altitudes. However, culm length, panicle length, panicle number, grain number and rice yield were reduced at higher altitudes. Protein content of brown rice increased but fatty acid content decreased at higher altitudes. Amylose content was affected by neither the altitude nor the ecotype. Palatability of polished rice tends to be improved at higher altitudes and in early-maturing ecotypes but its relationships with altitude and ecotype were not significant. Head rice ratio was lower at higher altitudes but broken rice ratio vise vers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wth and quality of rice are affected significantly by changes in temperatures at the locations of different altitude. Also, the characters related to yield and quality of rice often respond incompatibly to the changes in altitude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strategic planning of rice production in geographically diverse areas
        72.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시기, 시설형태 그리고 시설내 계배위치에 따른 가상환경의 차이와 이에 따른 양액계배 오이의 생장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름재배와 억제재배, 1-2W형 하우스와 무기둥 하우스에 양액계배를 통해 오이를 패배한 후 시설내 부위별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과 생장해석을 통해 얻어진 생리적 형질들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우스 내부의 평균기온이나 평균상대습도는 하우스 형태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사량은 1-2W형 하우스가 무기둥 하우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일누적일사량은 1-2W형에서는 남서쪽이 무기둥 하우스에서는 북서쪽이 대체로 높았다. 초장과 엽수는 억제재배보다 여름재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엽면적은 억제재배에서 많았다. 상대생장율은 순동화율 및 엽면적비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대생장율에 대한 기여도는 순동화율이 엽면적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생장율은 엽면적지수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엽면적지수의 증대가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증대에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생육기간의 일평균기온는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억제재배에서는 전 생육기간의 누적일사량과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4.
        200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표홍수 빈도곡선을 개발하여 미계측 지점에서의 확률 홍수량을 추정해 보았다. 홍수빈도 분석은 한강유역의 9개 지점에 대하여 연최대치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수빈도 곡선을 작성한 후 각 지점별 연평균홍수량( )을 결정하였고, 각 지점별 재현기간에 따른 연평균 홍수량에 대한 비를 산정 후 평균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별로 다른 홍수량비가 산정되었다. 연평균 홍수량과 유역의 지형인자와의 상관 분석을 통해 다중선형 회귀식을 도출하였
        75.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G RIL 164계통과 그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지역에 따른 벼의 품질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QTL)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M/G RIL 164계통의 지역에 따른 단백질함량, 아밀로오스 함량, 지방산함량 및 식미평가치에 있어 빈도분포는 정규분포에 가까운 연속변이를 보였으며, 양친의 범위를 벗어나는 초월분리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 품질형질의 분포범위의 폭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단백질함량은 원주>익산>대구의 순으로, 아밀로오스함량, 지방산함량 및 식미평가치는 대구>익산>원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품질에 관련된 QTLs분석에 있어 단백질함량과 관련하여서는 8개의 QTLs를 확인하였으며, 1번 염색체에서 2개, 3번, 6번, 7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 8번 염색체에서 3개의 QTLs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8개의 QTLs가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6.0~~15.2~% 로 나타났다. 아밀로오스함량과 관련하여 6번 염색체에서 1개, 7번 염색체에서 2개의 QTLs를 확인하였다. 3개의 QTLs가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7.3~~24.4~% 로 나타났다. 지방산함량과 관련하여서는 2번과 6번 염색체에서 각각 깨, 3번과 7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의 QTLs를 분석하였으며, 6개의 QTLs로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5.5~~14.0~% 를 보였다. 식미평가치와 관련된 QTLs는 2번과 6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 7번과 8번 염색체에서 각각 2개의 QTLs가 분석되었으며, 그 6개의 표현형 변이는 5.5~~10.3~% 로 나타났다.
        77.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odle texture parameters of Korean style wet and dry nood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noodle quality and flour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two years, 1997 and 1998, and at two locations, Suwon and Deokso, using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and line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ewiness was found between cultivars over locations. Noodles made from flours from 1997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hewiness than those from 1998. Chewiness of cooked noodles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rotein content and SDS sedimentation volume and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tarch peak viscosity and flour swelling volume.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except for Gobunmil, Keumkangmil Tapdongmil, Suwon 265 and Suwon 280, showed chewiness of cooked noodles similar to commercial flours used for noodle making in Korea and Japan.
        78.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ead baking parameters and relationships between bread baking properties and flour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two years, 1997 and 1998, and at two locations, Suwon and Deokso, with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and lines. Among the bread baking parameters, lightness of crumb grain showed differences between yea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ough mixing time, bread loaf volume, crumb grain score or firmness. Keumkangmil, Suwon 278 and Tapdongmil showed higher bread loaf volume, good structure of crumb grain and softer crumb firmness. However, compared to commercial flours for baking, cultivar means averaged over years and locations of nineteen Korean winter wheats showed poor bread baking quality because of low protein content and unsuitable protein quality. Protein content and flour swelling volume showed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bread baking parameters than other flour characteristics. Friabilin-absence lines showed softer crumb firmness than those of friabilin-presence lines
        80.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감자 재배지역(栽培地域)에 알맞은 가공용(加工用) 감자품종(品種) 선납(選拉) 및 재배지역(栽培地域)간 품질성(品質性)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배지역(栽培地域)별로 유망(有望) 가공용(加工用)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들의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에 따른 평 균 총서(總薯) 수량(收量)을 보면 대관령(大關嶺) (3,051 Kg/10a), 강릉(江陵(2,863 Kg/10a), 보성(寶城) (2,844Kg/10a)의 순이었으며 평균(平均)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은 대관령9大關嶺) (2,351 Kg/10a), 강릉(江陵) (2, 278 Kg/10a), 보성(寶性) (2,246Kg/10a)의 순으로 높았다. 품종별(品種別) 수량(收量)은 각지역 모두 Gemehip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식용(食用)으로 사용하기에 유망하였다. 비중(比重)은 대관령(大關嶺)지역이 비교적 높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대서(大西)와 NS1이 높았고 Gemchlp은 낮았으며, 클루코스 함량(含量)은 NS1, 대서(大西), NS2, 수미(秀美) 및 Gemchip순으로 낮게 나타났고 chip color 역시 NS1, 대서(大西), NS2, Gemchip 수미(秀美)순으로 밝아 글루코스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제품수율(製品收率)은 각 지역 모두 대서(大닌西), NS1, 수미(秀美), NS2, Gemchip 순(順)으로 나타나 비중(比重)의 순서와 일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대서(大西)와 NS1 품종(品種)이 칩 가공(加工)용 유망품종(有望品種)으로 판단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