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

        61.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learning modul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ystems Processes Learning Module, Codes of Conduct Auditing Terminology, and Factory Audit Simulation) were developed and assessed in an upper division course in global fashion sourcing. Three forms of assessment resulted in revisions to the learning modules to meet the learning objectives.
        3,000원
        62.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포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에 대한 공중 평가가 해당 포털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상위 포털 기업인 <네이버>, <다음>, <네이트>가 수행하는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가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더불어 각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가 해당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8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포털 기업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는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인터넷 포털 기업의 CSR 영역별 평가 가운데, “법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 영역 평가는 공통적으로 연구대상 포털 사이트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경제적 책임” 영역 평가의 경우, 세 포털 사이트 선호도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각 인터넷 포털 기업별로 <네이버>의 경우,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 모두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다음>과 <네이트>는 포털 사이트 선호도만이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000원
        63.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포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에 대한 공중 평가가 해당 포털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상위 포털 기업인 <네이버>, <다음>, <네이트>가 수행하는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가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더불어 각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가 해당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8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포털 기업 CSR에 대한 영역별 공중 평가는 해당 사이트의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인터넷 포털 기업의 CSR 영역별 평가 가운데, “법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 영역 평가는 공통적으로 연구대상 포털 사이트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경제적 책임” 영역 평가의 경우, 세 포털 사이트 선호도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각 인터넷 포털 기업별로 <네이버>의 경우, 포털 사이트 신뢰도와 선호도 모두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다음>과 <네이트>는 포털 사이트 선호도만이 포털 사이트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000원
        6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책임판단의 대상은 자유로운 의사와 그 의사에 기인하여 실현된 행위이다. 이러한 책임의 근거는 행위자에게 달리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는 것이며, 이는 의사자유를 전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일부 연구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유는 존재하지 않고, 인간이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는 인식은 단지 망상 내지 착각에 불과하다. 물론 뇌신경과학의 새로운 발견들이 여러 가지 흥미로운 결과를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의사자유나 책임과 같은 주제에 대해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간과하거나 새롭게 고려할 만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성공했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러나 의사자유가 우리 인식체계에 포착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우리를 규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많은 연구자들이 의사형성과정의 본질을 파헤치기 위하여 모종의 시도를 할 가능성이 높으며, 최근의 과학 발전 속도를 고려하면 이와 같은 문제제기는 더 빈번해 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뇌신경과학의 발달은 특별예방적 단초로 활용되어 전통적인 제제의 대안으로 치료를 전면에 내세우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의사자유를 전제로 하는 도의적 책임론을 벗어나 사회의 질서유지와 개인의 기본권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책임개념을 요구할 수도 있다.
        6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d on the credibility and image of a food corporation by analyzing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food purchases of consumers. This analysis was undertaken in an attempt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meets consumer demand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CSR activities undertaken by the food corp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image of the corporation and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ical aspect of the CSR activities had the greatest effect while their charitable aspect had the least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customers regarding the food corporation. Thus, it appears that establishing of suitable ethical doctrines and guidelines for corporate management by food corporation is effective in emphasizing the ethical aspects of their policies through transparent management by means of fair trade.
        4,500원
        6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정체성이론과 신호이론 등에 기반을 두어 한국 진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사회책임활동이 자회사 현지 직원들의 조직동일시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사회책임활동은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 하였다. 또한 다국적기업의 본사가 위치한 국가와 한국 간의 문화적 거리가 멀수록, 그리고 본사 지분율이 높을수록 사회책임활동과 조직동일시 간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회사 현지 직원들의 조직동일시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24개국 출신, 75개 한국 내 다국적기업 자회사에 근무 중인 505명의 한국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상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6,000원
        67.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for marketers’ contribution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rograms. Thus, this study could possibly reveal synergies between Marketing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s (CSR). Customers have expectations that firms need to carry out CSR activities and hence customers have various responses towards companies’ CSR actions. This implies that marketers’ contributions seem necessary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SR programs. This research provides a conceptual model to examine possible synergies between marketing and CSR. Based on the resource based theory of firms, it can be argued that marketers need to contribute to CSR initi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return on investments on CSR activities, CSR programs can be viewed as being philanthropic or strategic in nature. Customers tend to respond to both of these CSR types. Hence we propose that contribution of marketers seems important to both kinds of CSR, which in turn would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bout CSR programs. Consequently, companies’ performance can be enhanced. A mix method is proposed for this study. It is envisaged that in near future, this conceptual model would be empirically tested by collecting data from customers and marketing managers of the Sri Lankan financi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4,200원
        68.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sumers are increasingly willing to consider ethical aspects in their buying decisions, while organizations strategically respond to consumer needs in this respect by focusing on their ethical reputation in their branding strategies (Singh et al., 2012). Moreover, brands are increasingly switching to natural ingredients in their products or adding an organic option to their current product line (Johri & Sahasakmontri, 1998; Prothero & McDonagh, 1992; Todd, 2004).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growth of green and ethical products is found within the organic food (Organic Monitor, 2011; Willer & Kilcher, 2010) and fair trade products (FLO, 2011) categories, there also seems to be constant growth in the demand for organic personal care products (PCPs) (Smitson, 2006). In contrast, scientific research on organic Personal Care Products (PCPs) seems to be scarce (Kim & Chung, 201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brand associations on consumer perceptions considering organic PCPs. More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role of corporate ability (CA) versu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ssociations in brand equity (Yoo et al., 2000) and brand trust (Chaudhuri & Holbrook, 2001) perceptions. To test the effects of CA and CSR associations on consumer brand equity and trust, we first conducted a pretest, in which we included brands with the highest market share in the Dutch PCP market (Nielsen Market Analytics, April 201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the following brands were selected for the main study: L’Oréal, Rituals and Palmolive. For the main experiment respon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conditions in a between-subjects design: L’Oréal (N=42), Palmolive (N=42) and Rituals (N=37).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Brands may be associated with both CA and CSR characteristics. Even though possible benefits induced by introducing an organic PCP are higher for brands that are currently associated with CSR, other brands may benefit still from introducing an organic PCP, as the effects of CSR associations and an organic product launch merely seem to be complementary. When a brand considers the introduction of a green variant of its current PCP line, the brand does not seem to need a specific “green” reputation or image. More important, the producing company behind the brand should communicate its innovative characteristics as a market leader as well as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 environment and society. Combining CA with CSR characteristics seems to be the most profitable strategy for attracting more consumers than one’s competitors. Although one should constantly aim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market, the overall effects of sustainable initiatives will be much lower for brands with a weaker reputation in general than for brands that already induce multiple positive associations. In sum, an organization that decides to introduce a new organic product should be aware of the strong positive associations of their current brands on a variety of product characteristics. In the end, investing in improving multiple positive associations instead of focusing on either CSR or CA will be the most profitable strategy.
        69.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employs two studie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s’ (promotion versus prevention) regulatory focus on a variety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reactions. Results of Study 1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ronic promotion focus and general environmental concern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ronic prevention focus and environmental concern. Study 2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n individual’s regulatory focus, both measured and primed, and environmental concern, attitudes toward and intentions to perform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 and affect toward self and others who did or did not engage in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it (i.e., promotion focus & recycle message; prevention focus & reduce message) on these same variables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general environmental concern, attitudes toward and intentions to act on specific conservation messaging, and positive emotions toward themselves and others that do respond favorably to the messages intensified as their chronic promotion focus ros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romotion focus and negative emotions directed at others that do not make an effort to do what the conservation message advocates was also evident. In addition, general environmental concer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chronic promotion focus on positive emotions as a result of others’ environmentally responsible actions. Partial mediation via environmental concern also takes place on intentions to follow the message advice and positive emotions directed toward oneself on doing so. Chronic prevention focu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general environmental concern, attitudes toward or intentions to engage in the recommended conservation behavior. As participants’ chronic prevention focus rose however, their negative emotions as a result of they themselves as well as others not following this advice increased. Study 2 also revealed that priming a promotion focus strengthene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attitudes and intentions, and positive emotions toward others that behaved responsibly. Results also showed that a promotion prime also triggered greater negative emotions directed at others that did not behave responsibly. Conversely, a prevention focus prime did not significantly alter attitudes or intentions to do as the conservation message advocated. Further testing revealed greater positive affect toward other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s a result of prevention priming. No fit effects between chronic or primed regulatory (promotion or prevention) focus and conservation messages (framed as recycle, reduce, or recycle and reduce) were found in this study however. This lack of effects may have been due to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inferring that the conservation messages contained both recycle and reduc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message they viewed. This work has extended our understanding of Regulatory Focus Theory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of promotion focus to environmental concern and its influence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intent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environmentally responsible attitudes and intentions may be encouraged by fostering the adoption of a promotion focus. Our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fostering a promotion focus may yield both positive affect for self and others who do behave in an environmentally responsible manner and negative affect for self and others who do not behave in an environmentally responsible manner.
        7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적 책임 활동(CSR) 은 기업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인 부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심을 가져왔다. 많은 한국기업들도 불우이웃돕기, 사회복지, 장학사업, 환경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 사회적 책임활동을 해오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하여 기업의 참된 사회구성원 이미지를 만들기 위하여 참여할 수도 있지만 일부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하여 실제로 사회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도 있을 수
        4,300원
        7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늘날 우리가 소비하는 축산물, 즉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은 대부분 공장식 축산방법으로 사육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장식 축산이란 공장에서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찍어내듯이,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표준화된 방법으로 가축을 사육하여 고기를 대량 공급하는 시스템이다.안전한 축산물 소비를 위해서는 가축의 도살이후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위생환경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적절한 사육환경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축산 농가는 소득증대를 위해 이것을 무시하며 대량공급 달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즉 활동하기조차 매우 비좁은 공간에서 항생제를 대량으로 먹여가며 빠른 시간 내에 살을 찌워 우리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이런 축산물은 우리 건강에 장래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그리고 그에 대한 근본적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공장식 축산의 내용인 ‘단위면적당 가축사육기준’은 축산법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다. 2013년 2월부터 축산법상 사육규제를 강화하였지만, 이 기준은 예전과 비교하여 크게 달라진 바가 없다. 그리고 여전히 사육업자가 이 기준을 준수하도록 하기 위한 행정제재의 실효성에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공장식 축산방법으로 사육된 축산물과 이를 소비한 국민의 생명 ․ 건강상의 위해 간에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즉 국가가 설정한 ‘단위면적당 적정사육기준’이 사육업자의 부적절한 사육환경을 유발시키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국가의 안전보호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을 논하였다.
        72.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ling for the Jeju 4.3 survivors and families progressed significantly after the work of the 2000 National 4.3 Committee and the 2005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cting on these investigatory organizations’ recommendations and the expressed desires of the Jeju people, the Korean government began a healing process that included a presidential apology, a government-sponsored museum and an extensive public memorial and gravesite for known victims—albeit without individual reparations. American and Korean scholars also point to the United States’ partial responsibility for Jeju 4.3 and its lack of participation in redress efforts. Acknowledgment of the United States’ historical role in Jeju 4.3 by the Korean and U.S. governments today may be one of the crucial next steps toward genuine reparatory justice for the Jeju people and for Korean society. It may also bolster U.S. legitimacy globally as a democracy actually (and not just professedly) committed to humanrights.The United States grounds its global moral authority as a democracy in its stated commitment to human rights. But a genuine commitment entails acknowledging and actively repairing the damage caused by its participation in human rights atrocities—even decades ago. Its legitimacy as a democracy depends upon doing so—and after two damaging wars the United States needs to bolster its moral authority internationally. If America under President Obama, with its security pivot toward Asia, is to reclaim full legitimacy as a democracy committed to human rights, if there is to be complete social healing for the Jeju 4.3 survivors and families and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people—if the “han,” the deep sense of suffering from injustice, is to be lightened—then the United States needs to mutually and actively engage in the reconciliation process. The time is now.
        4,000원
        73.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무체재산이 혁신과 창작을 유도하는 데 효율적인 법적 도구가 될 수 있다면, 기업이나 개인의 명성과 신용은 거래비용을 낮춰 줌으로써 일상적인 경제활동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명성과 신용의 경제적인 효과를 보면, 진실에 기초한 명성 또는 신용은 정확한 정보의 무상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효율적인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명예훼손이나 퍼블리시티 기타 불법행위에 관한 법리는 관련시장에서 거래비용을 낮춰 주는 훌륭한 법적 도구가 될 수 있다. 종래 기업의 신용을 훼손하는 행위에 대한 불법 행위책임의 문제는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거나 의견을 표명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해하는 행위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선고된 대법원 2008. 10. 9. 선고 2006다 53146 판결에서는 고급 이미지의 의류로서 명성과 신용을 얻고 있는 타인의 의류와 유사한 디자인의 의류를 제조하여 저가로 유통한 행위가 타인인 법인의 신용을 훼손하는 행위에 해당하고 그에 대해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된다는 취지로 판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위 대상 판결의 사실관계와 판시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산업디자인에 대한 저작권법적 보호가능성,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품주체혼동행위 및 상품형태모방행위의 각 성립요건,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성립요건, 저작권법이나 부정경쟁방지법 등의 성문법을 위반하지 아니한 행위에 대한 일반 불법행위책임의 적용가능성과 위법성의 판단기준 및 손해배상의 범위 등에 관한 쟁점을 검토하고 있다. 이 사건의 예에서 보듯이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쟁질서 위반행위가 나타나고 있고, 이에 관한 판례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는바, 이 분야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4,300원
        7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wadays, business environment changes with higher consumer deman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an before. However, many fashion companies are unaware of such a wave of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they are not so much interested in making any investment or policy for CSR activities. Besides, despite changing environment and consumer demands, there are very few studies dealing with this matter. Thu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proper types of CSR activities for fashion companies. In addition, it also intended to determine potential effects of CSR activities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behavio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onsumers' perceived suitability depending on types of CSR activities of fashion company.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 suitability of CSR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has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attitudes to fashion companies. Thirdly, the more favorable consumer attitudes to fashion companies owing to their CSR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the higher consumer satisfaction. Fourthly, the more favorable consumer attitudes to fashion companies are also correlated with the higher consumer intention for purchase. Hence, it is required that fashion compan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CSR activities, and also plan and implement appropriate CSR activities for consumers.
        4,600원
        76.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들어 기업도 사회적 책임투자를 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투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이념의 실천으로 보이며, 향후 우리 기업도 이에 대하여 적극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입법의 형식으로도 점차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2010. 7. 1일 박선숙 의원이 발의한(의안번호 1808785)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의 일부 개정안」(동법 제159조 제2항)을 보면, 이러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보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따라서 본 논문은 CSR 이념에 우리의 법제도 속으로 들어올 때 어떠한 영향이 미칠 것인지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고자 하였다.검토의 결과 CSR이념이 기업 관련법 속에 도입될 때에는 기업이 CSR의 이념을 실천에 따른 기업의 의무, 특히 기업 이사 등의 의무와 책임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예로 기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업의 기부가 과연 어디까지 허용될 것인가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제기되었지만 CSR 이념을 도입할 경우 이 문제를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었다. 다만, 이사의 의무와 책임과 관련하여 지나치게 범위가 확대된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 또한 제기되었다. 향후 CSR를 도입할 때 이사의 의무와 관련해서 그 판단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7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종업원의 이익 및 주주의 이익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경제정의연구소가 2006년과 2007년에 실시한 경제정의지수 조사결과와 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의 사업보고서 및 한국신용평가의 재무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해관계자이론을 중심으로 주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계층적 회귀분석에 의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적 CSR 활동이 임금수준, 복리후생
        5,400원
        78.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Samuel Huntington has asserted, this world suffers from tension and conflicts between diverse cultures. According to Paul Tillich, the core of culture is religion.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of culture without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religions. There has been a long history of tens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although the two have the same Abrahamic tradition. Afghanistan began its Islamic tradition in the 18th century in the Pashtun tribe in the area of Kandahar. A Korean short-term mission team sent by Saem Mul Church was kidnapped by the Taliban armed troops. Two members of the team were then killed by the Taliban in July 2007. The rest of them were released after negotiations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Taliban were made. Koreans had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short-term mission team sent from the Saem Mul Church in the city of Sung Nam, Korea. Some people rebuked them. Others kept silence. Some churches encouraged them. In this critical situation, the Korean Church was embarrassed.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Church overcome this crisis by providing missiological insights based on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First, missions need to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mise and the commission revealed in the Scripture. Second, missions should be implemented with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prayers of the church. Third, missionaries need to understand the various cultural situations of the area where they are called to serve. Fourth, churches and missionaries should be one in Jesus Christ a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states. Fifth, mission groups need to put a holistic mission into practice as Jesus Christ exemplified in His time on earth. Sixth, mission groups need to be free of an imperialistic paradigm in the age of postcolonialism. The Korean Church has to repent of negligence and pride over underdeveloped countries since it has become materially affluent. The Church needs to be incarnational in terms of attitude and holistic in terms of ministry in order to help the people to become Christians in a non-Christian world like Afghanistan. The blood shed by the two Korean short-term missionaries in Afghanistan will produce an indigenous church in the Islamic country because the blood of martyrs are the seed of the church as maintained by Tertullian in his Apology.
        7,000원
        79.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년 6월 시행된 개정 저작권법은 특수한 유형의 OSP에 대하여 권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기술적 보호 조치를 의무화(저작권법 제104조) 하였고 동법 시행령(저작권법 시행령 제46조)에 의해 기술적 보호조치의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이 법에서 특수한 유형의 OSP는 P2P와 웹하드(Webhard) 서비스를 지칭하며, 이러한 특수한 유형의 OSP 사업은 기본적으로 불특정 다수에 의한 콘텐츠 불법복제 전송을 기대한 사업 형태이므로 OSP가 상당한 정도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일반 사용자가 저작물 불법복제 침해 행위에 너무도 쉽게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또한 개별 권리자들은 자신의 저작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OSP에 대하여 일일이 이를 추적하여 기술적 보호 조치를 요구하거나 이에 대한 이행을 모니터링 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나아가 민·형사 상의 소송을 통해 권리를 보호 받기에도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본 조항이 신설된 것은 상대적으로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가 저작물에 대한 권리침해의 정도가 많고, 용이하다는 측면과 그 폐해의 정도가 심각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적극적인 기술적 보호조치를 요구함으로써 건전한 시장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보다 높은 수준의 주의 의무 및 관리책임을 부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특수한 유형의 OSP의 서비스 방식에 의해 콘텐츠 산업은 물론 IT기술 발달에 기여가 증명되거나 관련 산업 발달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힘든 상황이며, 오히려 무분별한 불법복제로 인해 폐해가 산업 곳곳에 발목을 잡고 있음을 직시할 때, 특수한 유형의 OSP의 산업적 재평가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