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

        62.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tivated carbon(AC) can be utilized as a soil conditioner in agricultural crop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 on growth and yield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as affected by different amounts of AC.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hen activated carbon added with 5-10%, suggesting that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arbon was ranged from 5 to 15%. Growth and enlargement of the root were improved by 10% AC with higher rhizome length and weight.
        65.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ongmi is the first ginger variety developed by pure line selection from 54 Korean local accessions. The selected pure line having high quality and high yielding was tested for regional adaptation, and it was superior to those traditional accessions in g
        66.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필름과 스티로폴 상자를 이용한 생강 저장시 탄산가스 흡착제 및 저장 온 .습도가 생강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E필름이나 스티로폴 상자에 생강을 저장하여 온 습도와 환기공수 및 탄산가스 흡착제 처리에 따른 효과를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 필름 포장에 의해 중량감소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0.05 mm보다 0.08 mm에서 중량감소율은 낮았으나 부패율 및 곰팡이발생율이 높았고, 저장온도별로는 15에 비하여 1에서
        67.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 efficient propagation through airlift bioreactor system of Zingiber of officinale Rosc. Korean native Seosanjong, the effect of different factors and bioreactor on cultured plantlets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number of plantlets, fresh weight per plant was obtained from explants when cultured in MS liquid medium including 0.3 mg/L NAA and 2.0 mg/L kinetin for 40 days. A 10 L bottle type bubble bioreactor, compared with 250 mL Erlenmeyer flask, was more efficient, producing 4.7 plantlets or from 1.5 to 1.6 times more than did the Erlenmeyer flask. The results demonstrate the rapid mass propagation of airlift bioreactor to produce normal ginger.
        68.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산 건생강으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추출하고자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몇 가지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극초단파(2,450 MHz, 50 W) 추출에서 원료의 입자크기는 60 mesh 내외, 시료와 용매의 비는 1:10 (g/mL)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에탄올 농도 50% 이상에서 급속히 증가되었다. 건
        69.
        2000.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mbryogenic callus cultures of Korean native Seosanjong of ginger(Zingiber of officinale Rosc.) were induced through stem explants taken from in vitro shoot-tip cultures. Among the four concentrations of 2,4-D tested in Murashige and Skoog medium, 0.5 and 1 mg/L of 2,4-D was most effective in inducing embryogenic callus. Leaf explants did not express any new morphogenetic response in all 2,4-D concentrations tested. Plantlets transferred to hormone-free MS medium were developed and successfully acclimatized under greenhouse.
        70.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의 개화특성과 화기구조를 관찰하고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내 생장조절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병의 형성은 국내종은 서산종, 도입종은 태국종에서만 출현되었으며 화뢰당 소화형성은 서산종 8개, 태국종이 10개 형성되었으나 종자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개화기는 8월 18일에서 8월 25일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났고 1일중 개화시각은 오후 4시-5시 사이에 대부분 개화하였다. 3. 꽃은 장주화로서 주두상단에는 섬모가 나 있으며 수술은 연착약, 배낭내 태좌는 증축태좌 형태를 나타냈다. 화분은 원형과 타원형이 혼재되어 있으나 원형이 많았으며, 화분막은 2중 구조였다. 4. 약 유래 캘러스 형성에는 CM배지가 좋았고, 캘러스로부터 기관분화는 MS배지에 BA 2mg/l 를 첨가한 재생배지에 이식 후 40일경부터 부정근이 먼저 출현되고 배양 60일 후에는 줄기와 뿌리가 완전 분화된 정상적인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71.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 근경썩음병 길항균 Bacillus polymyxa 'HB26-5' 균주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배양적 특성 및 제형화, 근권정착률을 조사한 결과 배양적온은 25℃였고, 배지의 산도는 7.0에서 생육이 좋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에는 pH6.I~6.5의 약산성으로 되었다가 7일 후에는 pH7.8~8.2의 약알칼리성으로 변하였다. 길항균의 토양정착을 돕기 위해 첨가된 유기물중 쌀겨와 피트 또는 쌀겨와 카올린을 혼합한 제제가 토양처리 후 7주까지 길항균의 밀도 변화가 가장 작았다. 그러나 실제 노지포장에 처리하였을 경우 3주 후부터 밀도가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제형의 경도,크기 등 물리적 특성과 길항균의 밀도유지 등을 고려할 때 알긴산 나트륨 2%, kaolin 15%, 쌀겨 3%를 혼합한 제형이 가장 우수하였다.
        72.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xteen isolates showing relatively strong antagonicity against the ginger rhizome rot pathogen, Pythium zingiberum, were selected among the 155 isolates from ginger rhizome surfaces and rhizospheres of ginger cultivation fields in Wanju, Chonbuk. The isolate, 'HB 26-5'showing the strongest antagonicity was finally selected by testing duration of inhibition effect and pathogenicity to ginger. The isolated antagonistic microorganism, 'HB 26-5' was rod shape, gram positive and formed endospore. The isolate produced acids utilizing glucose, arabinose, xylose and mannitol, and acetoin at VP test, and grew anaerobically. Temperature range for growth was from 10 to 40℃ . Reaction to catalase and gelatin, hydrolysis were positive, and casein hydrolysis and indol production were negative. Based on the mycological character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it was identified as Bacillus polymyxa. The pathogenicity test of isolated Bacillus polymyxa 'HB 26-5'on 22 crop cultivars resulted that only the lettuce was influenced in germination, and the others were not affected.
        73.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의 소포장화 유통을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서, 적정 필름의 선정과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 0.04, 0.06, 0.08mm의 LDPE 필름에 생강을 저장함과 동시에 0.06mm의 LDPE 필름에 흡습제를 sachet형태와 씨트 형태로 첨가한 다음 생강을 150일 동안 저장하면서 생강의 MA 저장 중 필름 두께 및 흡습제의 첨가방법에 따른 저장 효과를 조사하였다. 흡습제를 첨가하지 않은 MAP방법에서는 필름두께별로 저장 150일 동안
        74.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닐하우스에서 생강재배시 종강의 크기와 재식거리가 생강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닐하우스 내의 기온은 노지에 비하여 평균 9℃ 높았으며, 지온은 평균 2-4℃ 높았다. 하우스 재배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초장, 엽면적, 경수, 괴경 수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하우스에서의 재식거리 30×30cm에서 근경수량은 노지보다 121-183%의 증수 효과가 있었다. 60×30cm의 재식거리구에서는 재식거리 30×30cm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노지재배에 비하여 76-82%증수되었다. 단위면적당 근경수량은 재식 밀도가 30×30cm이고, 종구의 크기가 40g 일 때(4,631kg/10a)가장 많았다.
        75.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고품질 다수성 생강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해 국내에서 수집한 우량생강 24클론을 포장과 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조사된 클론중에서 수량과 6-gingerol 함량에서 높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포장에서는 CG9579(3520kg/10a)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CG95134, CG9512, CG96109, CG9596 순이었다. 우량 클론으로 선발된 클론중 6-gingerol 함량을 조사한 결과 CG9579가 4.44mg/g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CG9583이 4.35mg/g, CG95134가 4.32mg/g순이었다. 하우스에서 는 수량이 CG9503과 CG9521 클론이 10a당 5529kg으로 가장 높았고, CG9515, CG9578, CG9579, CG96103 그리고 CG95105 클론이 10a당 4,000kg이상의 수량을 보았다.
        76.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esh gingers, harvested in Seosan, Choongcheongnam-do, were pre-treated by a washing-pasteurizing-drying process, a curing process, and non-treated, respectively. Then they were stored in a lab-scale storage room(12, >92%R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Weight loss of ginger during storage showed ranges in 0.7∼4.3%, and the weight of gingers pre-treated by washing-drying process showed a tendency to change less than those treated by curing. After storage of 130 days, spoilage rates were about 20% in non-treated, 11% in curing treated, and 12% in washing-drying treated ginger,, showing the effect of pre-treatment. The final rate of sprouting was 13∼15%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s. The firmness of ginger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stored ginger for the longer period; however, the values were ranged from 1,200 to 1,400 g/, that is hard enough to show a marketable quality.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lapse of storage time.
        77.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의 적정 저장 온ㆍ습도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7, 12, 2의 온도와 75%, 85%, 95%의 상대습도에서 각각 저장하면서 생강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7와 2에서 습도조건별로 저장한 생강에서는 각각 저온장해 현상과 발아현상으로 인하여 품질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이들 온도구에서는 습도의 영향은 비교적 크지 않았다. 7에서는 저장 30일부터 곰팡이 발생, 위조현상 등 저온장해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90일경 상품성을 소실한 반면 2에서
        78.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ness of CA storage and adequate CO2 concentration, it was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ties of Singer during CA storage for 150 days at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ranging from 3% to 12% and 3% fixed oxygen concentration. Weight loss tend to decrease with increase of CO2 concentrations. Sprouting ratio and the loss of gingerol was shown to be less as CO2 concentration increase but to be more than control stored at 12, 95% RH within the concentration less than 6% CO2.
        80.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나무의 향기성분 조성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C상에서 생강나무는 꽃, 잎, 줄기 각각 60, 80, 83개의 peak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성분군은 생강나무의 경우는 꽃의 경우는 sabinene, eta -myrcene, 1-limonene, cir-3-hexanal, λ -terpinene,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1-borneol, δ -guaiene, ledene, δ -ca-dinene, elemol, 9-octadecanal, 1-(1,5diNe-4-hexenyl ) -4-mebenzene, α -chamigrene, λ -selinene, β-endesmol, 1-phellandrene, 3-Me-6-(1-Me, ethyl ) -2-cyclohexen-1-one, epiglobulol의 성분이, 잎의 경우는 phellandrene, α -terpinolene,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cis-3-hexanal, λ -terpinene,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1-borneol, δ -guaiene, ledene, δ -cadinene, olemol, 9-octadecanal, λ -selinene, o-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β-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α -terpinene, ledene, 1-borneol, λ -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λ -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δ -guaiene, δ -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β-endesmol, α -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β-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β-eudesmol, δ -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β-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