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6

        6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공장에 있어서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최적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식물공장 시스템 하에서 광도와 배양액 농도가 잎상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광이 높아짐에 따라 증산량과 광합성량이 높았으며, 광도 200μmol m-2 s-1과 300μmol m-2 s-1 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물공장내 잎상추의 최적 광도는 200 μmol m-2 s-1 이상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환경요인들과의 지하부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광도와 배양액 농도간의 관계가 잎상추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저광도에서는 배양액농도가 높은 편인 2.4 mS cm-1에서 고광도에서는 1.8 mS cm-1 수준에서 생육량이 많게 나타났다.
        4,000원
        63.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치 Stphanolepis cirrhifer의 선시력을 구하기 위하여, 표적물거리 100cm, 광환경 5가지(400,20,3,1,lx)및 표적물의 굵기(8.0~0.2mm)12가지 조건하에서 행동학적 수법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쥐치의 학습교과는 실험회수가 210회이상에서 시인율이 80%이상이였고, 도달시간이 4~5초로 안정되었따. 2. 시인율은 표적물의 굵기가 굵고 겉보기 콘트라스트가 클 때 높았으나, 1lx이하에서는 대체로 낮았다. 3. 시인한계선의굴기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굵었는데, 400lx의 경우가 0.24m로 가장 가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30mm, 5lx인 경우 0.40mm, 3lxmm, 5lx인 경우가 2.87mm로 가장 굵었다. 4. 시인한계선의 굵기에 대한 겉보기 콘트라스트는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400lx와 20lx인 경우 0.01로 가장 작았으며, 5lx와 3lx인 경우는 각각 0.02와 0.03이였으며, 1lx의 경우가 0.09로 가장 컸다. 5. 쥐치의 선시력은 400lx의 경우가 1.21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20lx인 경우 0.97, 5lx인 경우 0.73, 3lx인 경우 0.63으로 밝기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1lx의 경우가 0.10로 현저距하게 감소하였다. 6. 표적물의 굵기 1mm와 6mm에 대한 시인거리는 밝기 400lx하에서 각각 약 4.2m와 25.0m였으나, 1lx인 경우는 400lx의 1/14과 1/12로 감소하였다.
        4,000원
        6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 시설내 온도 및 광도가 고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생장상내에서 인공적으로 온도 3수준(10, 20 및 30℃)과 광도 3수준(5, 15 및 25klux)을 7주간 조합 처리한 결과 나타난 생장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생장상내에서 고추 시묘의 초장, 엽면적 및 건물중의 생장은 30℃×25klux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했고, 각 온도에서도 광도의 증가에 따른 생장의 증가반응이 뚜렷하였다. 2. 처리후 7주째의 생장량을 multiple regression polynomial로 수식화한 결과 초장, 엽수, 엽면적, 경건물 및 지하부 건물중은 수식고정이 적합하였다. 3. 지상부 건물중에 대한 다중 회귀식을 광도와 온도로 편미분한 이론치를 이용하여 단위온도 증가에 대한 단위광도의 향상도와 단위광도 증가에 대한 단위온도 증가의 반응표면을 도식화한 결과 저온화에서의 광도증가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반응의 향상도를 크게 높였으나, 광도 10k1ux이하나 온도가 20℃이상에서는 온도의 역할이 더 크게 나타났다. 단위광도 증가에 대한 온도반응의 증가에서도 동일한 경향으로 나타나 온도와 광도의 강한 상보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65.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유묘의 생장, 광합성, 호흡 및 양수분흡수에 미치는 온도 및 주야변온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경조절이 가능한 생장상내에서 실험을 수행한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추육묘시 적온으로 생각되는 25℃에 비하여 온도가 12℃로 저하함에 따라 수분 및 N, P, K 양분흡수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5℃에는 양수분의 흡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엽의 광합성은 5℃에서 25℃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되다가 25℃에서 최대광합성을 보였으며, 엽과 근의 호흡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계속 증가하였다. 3. 지하부 건물중이 가장 높은 적정 주야온도조합은 주간 30℃와 야간 25℃로 나타났고, 주/야 온도 25/25℃, 30/15℃, 25/15℃, 15/25℃, 10/25℃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며, 야간온도 5℃에서는 주간온도에 관계없이 지상부 건물중 증가가 거의 없었다.
        4,000원
        66.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계 무가온 3중 및 4중피복 plastic house내에서 고추를 육묘하여 이들 육묘환경조건에서의 고추유묘의 생장반응을 파악하고 육묘환경의 차이에 따른 묘의 소질과 정식이후의 생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엽수, 엽면적 및 각 기관별 건물중은 3중피복구가 4중피복구에 비하여 50%의 감소를 보였다. 가장 큰 차이는 엽면적으로 육묘기간중 3중에 비해 4중에서는 2-5배의 증가를 보여 육묘 환경의 차이가 고추유묘 생장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2. 3중피복구에서는 4중피복구에 비하여 생장초기부터 엽면적의 확보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고체생장율도 현저히 감소했다. 비엽면적(SLA)은 4중에서 3중에 비하여 엽의 두께가 얇았으며, 순동화율은 4중에서 생장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3중에서는 파종후 6주후에 급격히 증가했다. 3. 엽면적과 전체건물중, 엽건물중간에는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엽면적과 개체생장율간에는 4중에서만 인정되었으며, 엽면적과 순동화율간에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4. 파종후 6주째까지는 3중에서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았고, 줄기와 뿌리로의 분배는 적었으며, 4중에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5. 고추의 분지수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지수함수적 증가를 보였고, 주당 과중은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4중에서 육묘한 고추의 분지수는 3중에서 육묘한 고추보다 현저히 많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뚜렷한 경향이었다. 6. 고추유묘의 형질중 정식후 고추수량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서 고추육묘에 있어서 양묘의 기준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 결정되었으며, 또한 묘의 소질과 수량과의 관련성이 크게 인정되어 동계 시설재배시 고추의 다수를 위한 고추육묘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를 위한 환경관리의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4,000원
        67.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 고추육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광도 및 지온의 변화를 노지와 시설내 피복별로 조사 분석하여 고추의 적정 육묘생장 환경과 실제 무가온 다중피복 plastic house내의 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월 20일부터 2월 25일 까지 P. E.필름으로 4중피복된 턴널내에서도 최저온도는 대부분 5℃를 보여 고추의 냉해온도에 대한 노출을 피할 수 없었고 이 기간에 최고온도는 대부분 33℃를 보였으며 극값은 42℃를 보여 다소간 환기의 필요도 인정되었다. 2. 피복이 증가할수록 온도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 노지는 5-10℃를 보인 반면 피복내에는 16-38℃의 일교차를 보였다. 3. 저온기에 다중피복에 의한 보온효과는 뚜렷하였으나 4중피복하에서도 12℃이하의 온도출현이 많아서 고추 시설내 육묘시 냉해피해 가능성이 상존하며, 30℃이상의 고온출현회수도 200회 이상이었다. 4. 광도에 있어서도 피복이 증가할수록 광도는 감소하였고 온도증가는 크게 광의존성이었으며, 최저광도는 피복에 관계없이 고추의 광보상점 이하를 보여주었다. 5. 12월 20일부터 2월 중순까지 기온은 오전 10시 이후에야 고추의 생육한계온도인 10-12℃이상이 되었고, 오후 4시 이후에는 기온은 12℃이상이 되어도 광도가 급격히 낮아 고추유묘의 광합성 및 생장에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6. 시설내 최저지온은 동계 4중피복내에서도 10℃내외로서 고추생장에는 생리적 피해온도 범위에 속하였다. 7. 광주지방에 45년간 온도자료를 보면 노지 최저온도의 극값은 1월 5일에 -19.4℃를 기록하였으며 대부분 장기자료로부터 얻은 평균에서 ±5℃의 편차를 보였다.
        4,500원
        69.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요(主要)잔디의 plug로 잔디포(圃) 조성시(造成時) 조도(照度)가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hewings fescue와 zoysia-82는 조도(照度) 감소(減少)에 따라 초장(草長)과 엽장(葉長)은 길었고 엽폭(葉幅)은 감소(減少)하였으나, red fescue는 이식(移植) 90일(日), 120일(日) 후(後) 조사시(調査時) 9%의 조도(照度)에서의 초장(草長)과 엽장(葉長)이 30%의 조도(照度)에서 보다 더 짧았다. 세 종(種) 모두 조도(照度)가 감소(減少)함에 따라 지표면(地表面) 피복율(被覆率)이 감소(減少)하였으며 각(各) 부위별(部位別) 건물중(乾物重)도 조도(照度)의 감소(減少)에 따라 가벼워졌다. Zoysia-82는 조도(照度)의 감소(減少)에 따라 엽록소(葉綠素) a, b, 및 총(總)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이 증가(增加)하였으나, red fescue와 chewings fescue는 30%의 조도(照度)에서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이 가장 많은 편이었고, 엽록소(葉綠素) a/b는 chewings fescue와 red fescue는 자연광(自然光)에서 낮았으나 zoysia-82는 30%의 조도(照度)에서 가장 낮았다. Chewings fescue와 red fescue의 분얼수는 조도(照度)가 감소(減少)할수록 감소(減少)하였다. zoysia-82의 절간장(節間長)은 30%, 자연광(自然光), 9% 조도(照度) 순(順)으로 길었고, 절간직경(節間直莖)은 조도(照度)의 감소(減少)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4,000원
        70.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ing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strawberries. Photosynthesis was normally achieved under natural light without shading treatment, and vegetative growth of under- and aboveground part of strawberry plants were excellent. Strawberry fruit productivity and quality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hading conditions. In natural light, they were improved possibly by balanced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However, under light-shading conditions with insufficient sunshine, photosynthetic activity deteriorated and carbohydrate production was therfore inadequate; this adversely affected plant height and quality. The negativ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at 50% shading condition. Shading treatments resulting in insufficient sunshine had a detrimental impact on plant productivity and growth; this implies that proper shading conditions could heip improve yield and fruit quality.
        71.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ght is very important for plant growth and a major limiting factor in indoor plant cultivation, such as in balco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ight intensity and lettuce (Latuca sativa L.) growth in an apartment balcony affected by the direction of balcony.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east-, south-, or west-facing balcony were measured for a year. The lettuce was grown in the east-, south-, or west-facing balcony. The time and amount of light entering into the balcony diffe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alcony window. Whereas light entered into the east-facing balcony from sunrise to noon, it entered into the west-facing balcony afternoon before sunse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lcony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alcony window. Daily Light Integral (DLI) in the south-facing balcony was 20~50% of outdoor and DLI in east- or west-facing balconies was 10~20%. Als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alconies were affected seasonally. In the spring (from March to May), the DLI was around 10 mol・m-2・day-1 and the average temperature was around 25°C. But the DLI was below 10 mol・m-2・day-1 and the averag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around 30°C and over 60%, respectively, in the summer (from June to August). In the balcony, the averag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round 10°C even in winter, which is a condition of freezing outdoor. Growth of the lettuce in the south-facing balcon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other directions. This is attributed to bette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outh-facing balcony. Therefore,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alcony, selection and management of crops with relatively low light demand like leafy vegetables are required. It is also recommended to cultivate crops from autumn to spring.
        73.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하폐수 고도처리 공법 중, A2O 계열이 가장 많은 양의 하폐수를 고도처리하고 있으나, A2O 계열의 공법은 강화된 방류수 수질기준에 비하면 여전히 인 제거효율이 낮다고 할 수 있다. 강화된 수질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응집처리와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실정이며, 그 중에서도 인 제거를 위해 주입되는 응집제는 전체 약품 사용량의 35.8%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간 약 180억원이 사용되고 있어(환경부, 2015), 경제적이고 높은 인 제거효율을 갖는 새로운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미세조류는 하천이나 해수에서 부유하며 성장하는 미생물의 일종이며,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의 역할을 한다. 미세조류는 물속의 질소와 인을 섭취하면서 성장하기 때문에 녹조나 적조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하폐수 고도처리에 미세조류를 적용할 경우 높은 효율로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고, 광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로 인하여 기존 하폐수 고도처리 공정에서의 폭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도처리 후 잉여 미세조류를 수확하여 바이오 에너지로의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미세조류의 성장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는 반세기가 넘도록 연구되어 왔다(Woertz et al., 2009). 그러나 자연계에서 인이 부영양화에 제한인자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세조류를 적용한 수처리 연구는 대부분 질소제거에만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의 존재 하에 mixotrophic 대사가 가능한 미세조류 Chlorella vulgaris를 이용하여, 인에 대한 제거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미세조류의 배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광도에 따른 미세조류의 인 제거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autotrophic 조건에서는 광 저해점 이하의 광도 범위에서, 광도가 증가할수록 단위 MLSS 당 인 제거속도는 증가하였으나, 유기물을 주입해 준 mixotrophic 조건에서는 광도가 증가하여도 단위 MLSS 당 인 제거속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4.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ssessing green plant biomass through remote sensing on global scale since the early 1970s. The concept of NDVI is based on the fact that green plants show higher reflection in near-infrared region than in visible region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the relocation of chloroplasts in plant leaf cells may dramatically change the optical properties of plant leaves. In this study I traced the changes in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properties of Tobacco leaves at the wavelengths of 660 and 800 nm after a sudden increase in light intensity. The results showed that NDVI of leaves gradually decreased from 72.7% to 69.9% when exposed to a sudden increase in light intensity from 30 to 1,200 μmol/m2 · s. This means that the error resulting from the physiological status of the plant should be accounted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ground truth corresponding to the data from the remotely acquired images.
        75.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need to look into optimal light intensit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order to ornamental value of plants growing indoors because different kinds of them have a difference of light inten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hade tolerance with shading treatment by analyzing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and Ardisia crenata Sims,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potentials to grow as indoor-cultivated ornamental trees. The shading treatments were regulated with shading rations of full sunlight, and 35%, 50%, 95% of full sunlight. As a result of surveying growth under different shading rations, H/D ratio and T/R ratio of S. glabrai and A. crenata under shading treatment were higher than full sunlight. The total leaf area (cm 2 ) of S. glabra was observed to increasing by 50% shading. A. crenata showed the highest at 95% shading. S. glabrai and A. crenata under 95% shading would lower the L*a*b value and turn a leaf color into dark green, and the chlorophyll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af color of both of these trees were determined to have a sensitive reaction to light intensity. The photosynthetic capacity of S. glabra and A. crenata were respectively the greatest at 50% shading or 95% shading, and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of both of these trees was the lowest at 50% and 95% shading. Although it was indicated that 50% shading is suitable for S. glabrai and A. crenata to grow healthy, they actively responded to low light intensity of 95% shading as well, confirming that they have shade toleran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 glabrai and A. crenataare appropriate as indoor ornamental tree.
        7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intensity change of a crack and concrete surface as light condition was estimated by using a reflection model. The result shaw that the concrete surface intensity was proportional to the light incident degree and the crack intensity was affected by the geometry of the crack.
        78.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특한 잎의 형태, 색상과 질감은 높은 관상가치를 나타내는 특 징들이다. 일반적인 녹색 관엽식물에 비해 잎에 두 가지 이상의 색 이 혼입된 무늬 관엽식물은 원예적으로 관상가치가 높다. 관엽 베 고니아인 B. rex ‘Harmony’s Red Robin’은 긴 엽병과 반짝이는 적색 무늬, 그리고 거친 질감의 잎을 가진 동인도 원산의 근경성 품 종이다. 그러나 자연채광이 불량한 실내에서는 낮은 광도로 인해 무늬 식물 고유의 색상이 퇴색되는 경향이 있어 관상가치가 감소된 다. 식물은 적정 광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따라서 관상가치를 유지 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한 실내 광조건이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에서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의 생 육 적정 광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광원은 보편적 실내 광 원인 형광등(fluorescent lamp)을 이용하였고, 광도에 따른 생육 특성과 무늬발현특성, 색소함량을 처리 전 초기값을 기준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늬 베고니아 ‘Harmony’s Red Robin’은 60μ mol·m-2·s-1 광도에서 가장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적색발현을 나타 내는 적색도와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초기값보다 감소 했다. 결론적으로, B. rex ‘Harmony’s Red Robin’의 실내에서 적 정광도는 60μmol·m-2·s-1이었다. 그러나, B. rex ‘Harmony’s Red Robin’의 잎 무늬에 있어서 적색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80.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more Parasenecio firmus in forest farming. In order to achieve thispurpose, it was surveyed the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 firmus. Relatively light intensity was controlledby 100%, 60%, 30% and 5% of full sunlight. Height was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Shoot diameter was the high-est in full sunlight. Fresh weight (leaf, stem, root and total) and dry weight (leaf, root and total) were the highest under 30%of full sunlight. S (leaf+stem)/R (root) ratio was the lowest under 30% of full sunlight and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In leaf characteristics, leaf area, SLA and LAR were getting higher in the lower light level and the highest under 5% offull sunlight (176.1㎠, 420.5㎠•g−1 and 123.5㎠•g−1). Especially, leaf area was surveyed higher under 30% of full sunlightin the next. Leaf thickness was getting lower in the lower light level and the lowest under 5% of full sunlight (overall0.14~0.24㎜).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P. firmus grows well under 30% and 5% of full sunlight inforest farming.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