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9

        61.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ig strong and root in the disease, many high quality seed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selection by fostering, expanding the spread on a farm and Hongju subsistence production base and raw materials medicines of sources deployment for process is to contribute to increasing farm income. Methods and Results : Collected variety into the chemical mutation breeding method, Jecheon of Chungbuk, was conducted in 2001. In 2002 and 2003, two~ three individual selection in 2005 as it produces the 24 individual in 2004. From 2006 to 2010, pure line isolation as it cultivated and one foundation group. Promising in 2011, select one system. Replicated yield trial for two years beginning in 2012 a result of the stem length, providing high -quality “No. 1, Jeollanam-do” majority by assigning system name. Naju, Jangheung-gun, local excellence by implementing a local adaptability test recognized in two years. To breed a new variety named as a dwelling “ Daehong”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the review by fostering december 2014 to be registered. Conclusions : Leaf type is the broad lancet, flowering time is new variety six days than Jecheon native variety fasted. New variety of stem length and stem thickness are check variety (87cm, 8.25mm) of 9cm tall and 0.6mm thick. Seed yields has native variety as much as 81 % compared to the many into 45.6 kg/10a. The shikonin contents of roots was 1.3 times higher compared to check variety (447 ㎍ / g). The dried root yields of the new variety are 221kg/10a a many native variety than 50%.
        62.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Sinpalkwang’ (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Milyang 2012. This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line ‘HP299’, crossed high yielding variety ‘Palkwang’ and short stem cultivar ‘PI156649’, and ‘Palkwang’. ‘Sinpalkwang’ which is a Virginia plant type had 25 branches per plant and its length of main stem was 41 cm.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long ellipse-shaped large kernel. Its yield components showed 45 pods per plant, 92 g of 100-seed-weight and 79%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eed quality showed 45.4% of crude oil and 29.2% of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also showed more resistant to web blotch, compared with reference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3 years ‘Sinpalkwang’ was more productive than reference variety by 28% with 5.4 MT/ha for grain production.
        6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 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경 대립인 ‘Satonoka’와 소분지 내병 단경인 ‘밀양16호’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아미’의 주 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미’는 신풍 초형으로 개 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소분지성이다. ‘아미’ 는 ‘팔광’ 땅콩에 비해 주당협수, 성숙협비율, 협당립수 등이 높으며 100립중이 84 g인 대립품종이며, 도복은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그물무늬병, 흑반병은 비슷한 정도이다. ‘아 미’는 단백질이 26.2%, 기름함량이 50.5%이고 양질지방산중 올레산(60.5%)이 리놀산(23.6%) 보다 훨씬 더 높아 기름의 산화안정성이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아미’는 3년간 지역적 응시험 결과 풋땅콩 수량이 전국평균 10.10 ton/ha로서 ‘팔 광’ 땅콩에 비하여 9% 증수되었다. ‘아미’는 대립종이므로 적 기에 파종하고,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성숙기 병해 방제에 유 의해야 하며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품종등록 번호: 제5260호).
        6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 초다수성 품종으로 다수성에 관여하는 형질 특성 이 다른 드래찬과 보람찬을 이용하여 이삭과 수량 관련 형질 의 다양성이 증대된 약배양 유래 집단을 육성하고 다수성 계 통을 선발하였다. 163개로 구성된 약배양 유래 집단과 선발 된 다수성 13계통의 이삭 및 수량 관련 형질을 상관분석, 주 성분분석 및 경로계수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삭 관련 형 질 중 2차 지경 착생립수가 1차 지경 착생립수에 비해 수당립 수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당립수가 증가하는 쪽으로 기여도가 컸다. 형질들의 수량에 기여하는 정도를 보 면 집단에서는 수당립수가 선발 계통에서는 수수가 수량성 증진에 기여도가 가장 컸다. 수수는 집단과 선발 계통에서 모 두 등숙률과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선발 계통에서 수수 증가 에 의한 등숙률의 향상과 단위면적당 립수의 증가로 인한 수 량성 향상이 수당립수 증가에 의한 향상 효과보다 컸다. 13개 선발 계통 중 AC60, AC152, AC156, AC161 계통은 모부본 인 드래찬(481 kg/10a)과 보람찬(559 kg/10a) 보다 높은 수 량성을 나타냈다. 드래찬은 수수가 적고 수당립수가 많은 소 얼 수중형을 나타냈으며 보람찬은 수수가 많고 등숙률이 높 은 수수형에 가까웠다. 선발된 다수성 계통들은 모부본의 중 간 형태의 형질 특성을 나타내며 개선된 잠재 수량성을 가지 고 있다. 이들 우량 계통들은 자포니카 다수성 품종 개발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5.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als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to identify the genes controlling plant archite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oundation for molecular breeding and to develop new rice varieties with useful characters associated with high yield leading to its commercialization.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project are as follows: improvement of plant architecture including tiller angle and number associated to harvest-index, construction of genetic and QTL map related to plant architecture and isolation of target genes,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with high efficiency, and further study for the mechanisms of recombination event and reproductive barrier occurring from cross between subspecies, development of new elite rice varieties with high yield and its commercialization. The isolated genes and products of this research project will be patented and molecular markers for those genes will be applied to breeding procedure. The breeding materials produced as outcomes will be provided to other breeders for further breeding programs. The developed varieties will be patented and registered to the national list of varieties, and will be distributed to our agricultural industries for the increase of its competitiveness and farmer’s income. The patents for genes, molecular markers, and varieties will be licensed out to uphold the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dustries.
        66.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development new variety ‘Miho’ (Hordeum vulgare L.) is a favorite with livestock feed and develop varieties resistant to disease and lodging. ‘Miho’ was carrying the growth habit of group Ⅲ, green and mid-wide leaf. Awn that are related to preference of livestock is a semi-smooth awn. This cultivar had 96cm of culm length, 650 of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Miho’ is April 27, and maturing dates on May 30, which were later than cultivar ‘Youngyang’. It also showed strong winter hardiness, and similar resistance to shattering and BaYMV compared with those of check one. The best thing among the traits of one is a new good quality with the plant green at the latter growing period.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3.1, 12.1 MT per ha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9%, 2%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It’s also showed 6.8% crude protein, 27.1%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67.5%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whose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above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6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1) 양질 다수성 콩 기술 이전, 2) 양질 다수성 콩 품종 출원, 3) 고밀도 유전자지도 작성을 통한 다수성관련 QTL 동정 및 다수성 형질 연관 마커 개발, 4) 콩 품종 판별 마커 개발, 5) 기능성 콩 가공식품 개발이다. 이를 위해 당해연도는 양질 다수성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생산력 검정 및 지역적응성 검정을 실시하고 초다수성 우량 계통 육성을 위해 1단계 사업에서 선발된 우량 계통들을 지속적으로 세대진전하고자 한다. 특히 다수성관련 형질연관 QTL 동정을 위해 길육69 x SS0404-T5-76 RIL 집단(400계통)을 육성하였고 이 집단을 이용한 고밀도 유전자지도 작성하고자 한다. 먼저 모부본 염기서열 변이 탐색 및 RIL들의 다수성 형질 표현형을 조사할 것이다. 한편, 품종보호 및 종자순도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분자 마커 개발을 위해 주요품종들에 대한 SSR 마커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해연도에는 1단계 사업에서 개발된 ‘CJ행복한1호’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채종포를 제주도와 괴산 등지에 조성하며 두부 장류용 우량 계통 SS408-T5-99 에 대한 제품 생산 가능성 분석하고 장류발효과정 중 아이소플라본의 성분 변화를 분석할 것이다.
        68.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배종 ‘농협 애’ 호박은 F₁ 교배종으로 수량성이 뛰어나 고, 과형이 H형으로 외관상 모양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잎이 작고 절간이 짧아 저온기 터넬 억제재배에 알맞은 품종이다. 모계 SA11은 과형이 H형으로 다소 통통하고 짧으면서 절간 길이가 짧아 절성이 좋은 계통으로 육성하였고, 부계 SJ23은 과장이 다소 길면서 육질이 단단한 계통으로 선발 육성하였 다. 1996년도에 조합작성 교배하여, 1997년도에 조합선발시 험과 시교채종을 하였고, 1998~1999년도에 주요 재배단지에 서 농가 실증시험을 실시하여 우수한 평가결과를 얻어 1999 년에 품종등록한 후 농가에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농협 애’ 호박 품종의 특징은 기존의 애호박 품종보다 마디 절성이 높 고 수량이 많은 다수확 품종으로 잎이 작고 절간이 짧으며, 초세가 적당하여 밀식재배가 가능하다. 특히 절간이 짧고 절 성이 좋기 때문에 장기재배시 덩굴내림을 해 주어야하는 노 동력을 줄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형은 H자형으로 외관상 모양이 우수하고, 과피색은 연한 담녹색으로 상품성이 우수하다. 과육질은 단단한 편으로 수송성이 뛰어나고, 측지 발생이 잘 되므로 측지를 이용한 재배도 가능하다. 기존 품종 에 비해 수확량이 많은 다수확 품종으로 터넬 억제재배를 주 로 하는 전남, 경남, 충남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품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6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 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직립 대립 다수성인 '수원108호'과 조숙 단경인 '밀양4호'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보름1호’의 주 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름1호’는 신풍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소분지성이다. 보름 1호는 팔광땅콩에 비해 협당립수, 100립중 등이 높으며 100 립중이 105 g인 대립품종이며, 도복은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 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은 비슷한 정도이다. 보름1 호는 단백질이 29.8%, 기름함량이 49.9%이고 양질지방산중 올레산(54.5%)이 리놀산(28%) 보다 더 높아 산화안정성이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보름1호’는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풋땅콩 수량이 전국평균 10.16 ton/ha로서 ‘팔광’땅콩에 비하 여 8% 증수되었다. ‘보름1호’는 대립종이므로 적기에 파종하 고,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성숙기 병해 방제에 유의해야 하며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 종이다(등록번호: 제 4522호).
        7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단경 대립 다수 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대립 고품질인 ‘팔광’과 단경 소분 지 자원인 ‘중국수집종-1’을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상안’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안’은 신풍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단경 소분지성이다. ‘상 안’은 주당 성숙협수는 40개이며 ‘대광’ 땅콩에 비해 협실비 율, 성숙립중비율, 100립중등 양호한 성숙특성을 보이며 100 립중이 96 g인 대립품종이고, 갈반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 고 그물무늬병과 흰비단병은 다소 발병이 되고 있으며 도복 도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타낸다. ‘상안’은 단백질이 29.1%, 기름함량이 48.5%이고 지방산은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안’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평균 4.87 ton로서 대광땅콩에 비하여 15% 증수되었다. ‘상안’은 경장이 짧고 신풍형으로 병해에도 비교적 강한 편이 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경기북부와 강원도, 산간 고냉지를 제 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등록번호 제 4717호).
        7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양’은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가능한 조숙 양질 다수성 쌀귀리 품종을 육성하고자 1996년에 조숙성인 ‘식용귀리’를 모본으로, 조숙 대립 겉귀리 계통인 ‘귀리23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하여 계통 및 집단육종법에 의해 선발된 ‘SO96025-B-303-44-2-4’ 계통이다. 이 계통은 2003년부터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계통명이 ‘귀리56호’로 명명되었고, 2005년부터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0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수양’의 잎은 담녹색이고 폭과 길이는 좁고 짧으며, 종실은 길고 황갈색이다. ‘수양’의 출수기는 재배지 평균 4월 28일로서, 기존에 육성된 ‘선양’에 비해 11일 빨랐으며, 성숙기 또한 6월 7일로서 ‘선양’에 비해 6일 빨랐다. ‘수양’의 내한성은 표준품종인 ‘선양’ 보다 강하였고, 도복도 ‘선양’과 같은 수준이었다. ‘수양’은 m2당수수가 568개로 51개 적었으나, 1수립수는 73개로서 7개 많았고, ℓ중은 646 g으로서 596 g인 ‘선양’에 비해 50 g, 천립중은 29.2 g으로 4.2 g 무거운 편이었다. 지역적응시험에서 ‘수양’의 평균 종실 수량은 4.35 톤/ha으로 표준품종인 ‘선양’보다 29% 많았다. ‘수양’은 ‘선양’에 비해 탈부율이 100%로 높고, 조단백질 함량이 11.3%, 베타글루칸 함량이 4.7%로 표준품종인 ‘선양’과 비슷하였다.
        7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직립 대립인 ‘YG60’과 조숙 단경인 ‘YG55’를 인공교배하여 ‘Jaseon’육성하였다. ‘자선’은 신풍초형으로 초기 개화가 많고 잎이 농녹색이며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소분지성이다. 주당 협수는 35개로서 팔광땅콩에 비해 2개 적으나 풋협중이 무겁고, 상품협비율(93%)이 높고, 100립중이 98 g인 대립품종이다. 생육후기까지 도복에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흑반병, 그물무늬병, 흰비단병에 비교적 강하다. ‘자선’의 조단백 함량이 26.3%, 조지방 함량이 43.2%이고 양질지방산인 올레산과 리놀산을 78.6% 함유하고 있다. ‘자선’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평균 풋땅콩수량이 10.21 ton/ha로서 팔광땅콩에 비하여 15% 증수하였고 건조 종실중은 4.37 ton/ha로서 11% 증수하였다. ‘자선’은 대립종이므로 적기에 파종하고,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성숙기병해 방제에 유의해야 하며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73.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임’ 은 잎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1994년에 잎들깨 1호와 차조기 유전자원 YCPL173을 인공교배하여 F₁, F₂ 세대를 양성하고, F₃부터 계통 전개하여 선발한 YPL19-2B-7-3-3-1 계통이다. 주요특성은 잎모양은 둥근 심장형이며 잎색은 뒷면 자주색 발현이 양호하다. 경색은 녹색, 화색은 흰색이고 종자는 암갈색의 구형이다. 채엽재배시 일반특성은 잎들깨 1호와 비교하여 최대엽장은 16.9 cm로 비교적 작은 편이며 상품잎당 속잎비율이 높아 동계 수확작업이 용이하다. 소임은 ’02~’03년 2년간 동계시설하우스 재배에서 상품잎수가 7,172 kg/10a로 잎들깨 1호에 비해 8% 증수하였다. ’04~’05년 2년간 하계에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상품잎무게는 5,410 kg/10a로 표준품종에 비해 1% 증수하였고 상품잎수도 10a당 3,417천매로 잎들깨 1호보다 13% 증수하였다.
        7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숙 내병 고품질 찰벼를 육성할 목적으로 2000년 하계에 조숙 내도열병 내도복성인 SR20261-5-4-10 계통을 모본으로 조생찰벼인 진부찰을 인공교배하여 SR26688-1-2-2 계통을 선발하여 철원7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08~2010년 3 개년 간 지역적응시험 실시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0 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 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청백찰’로 명명되었다. ‘청백찰’의 출 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27일로 ‘오대’보 다 4일 빠른 극조생종이다. 벼키는 68 cm로 ‘오대’의 69 cm 와 비슷하며, 이삭길이와 주당 이삭수도 19 cm와 14개로 ‘오 대’와 비슷하나 이삭당 입수는 80개로 ‘오대’보다 많으며, 등 숙율은 78.5%로 ‘오대’보다 약간 낮고, 현미 천립중이 22.3 g으로 중립종이다. ‘청백찰’은 도열병저항성은 ‘오대’보다 강 하나,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벼멸구에 대한 저항성 이 없다. ‘청백찰’은 불시출수 현상은 ‘오대’와 비슷하였고 위 조현상은 없고, 내랭성검정 결과 내랭성이 ‘오대’와 비슷한 정도를 보였으며, 도복에 강한 편이다. ‘청백찰’의 제현율은 80.8%로 ‘오대’(82.5%) 보다 약간 낮고, 현미 장폭비가 1.86 으로 중단원립이다. 백미외관은 찹쌀이므로 뽀얗게 보이고, 알칼리 붕괴도는 ‘오대’의 6.7에 비해 5.5로 낮으며 단백질함 량은 7.1%로 ‘오대’의 6.7보다 약간 높다. 북부평야, 중산간 지 및 남부 고랭지 5개소, 동북부 해안 1개소, 중북부 고랭지 1개소에서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쌀수량은 5.35 MT/ha로 대 비품종 ‘오대’의 5.39 MT/ha과 비슷한 수량성을 보였다. ‘청 백찰’의 재배적지는 북부평야, 중산간지, 남부 및 중북부 고랭 지 및 동북부 해안지이다.
        7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량’은 생리장해 저항성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1999년도 경기도 여주 농가 포장에서 수집해 2002년에 개체를 선발하 였고, 2003년부터 2006년까지 특성검정과 2007년도부터 2009년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음성1호’의 계 통명을 부여한 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수성이면서 염류저항성이 강한 품종으로 인정 되었고, 2011년에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규 등 재 품종으로 선정되어 ‘천량’으로 명명하였다. ‘천량’의 잎색 은 녹색이며, 소엽 가로 자른면의 모양이 볼록형으로 대조품 종인 ‘천풍’의 오목형과 비교된다. 줄기의 색깔은 전체가 연 두색이나 엽병 주위와 기부에 연한 자색을 나타낸다. ‘천량’ 의 열매색과 잎노화색은 적색을 나타내나 대조품종에서 등황 색, 황색을 나타내어 확연히 구분이 되었다. ‘천량’은 ‘천풍’ 보다 출아기는 2일, 개화기는 3일 그리고 과육성숙기는 5일 빨랐다. 4년생에서 ‘천량’의 경장은 41.3 cm로 ‘천풍’에 비해 짧았으며, 경직경은 6.4 cm로 ‘천풍’에 비해 더 굵었고, 엽장, 엽폭, 엽병장도 ‘천풍’보다 더 길었다. ‘천량’의 근장과 동체 장은 대조품종과 비슷하며, 동직경은 대조품종보다 5.3 mm 굵었고, 주당 생근중은 57.0 g으로 ‘천풍’보다 더 무거웠다. ‘천량’의 주당 열매수는 ‘천풍’보다 더 적게 맺혔으나 천립중 은 53.1 g으로 ‘천풍’보다 무거웠고 개갑률은 ‘천풍’보다 5.4% 높게 나타나 우량 묘삼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 다. ‘천량’의 수량은 생산력검정을 한 결과 평균 수량이 536 kg/10 a로 ‘천풍’보다 12% 증수되었다. ‘천량’은 모잘록병과 탄저병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점무늬병에서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역병과 뿌리썩음병은 거의 발생되 지 않았고 가루깍지벌레와 선충 등 충해에 대해서는 저항성 을 나타내었다. ‘천량’은 염류 과다로 발생되는 지상부의 황 증 현상과 지하부 적변삼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 온에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어 천풍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인삼의 주요 성분인 ginsenoside 함량 중 total 함량은 22.18 mg/g으로 ‘천풍’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조사한 ginsenoside 8종류 중 Rb1과 Rf를 제외한 6종류의 함량은 ‘천량’이 높게 나타났다.
        7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단경 대립 다수 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대립 다수성인 ‘남광’과 ‘U2-12-6’ 의 교잡계통과 단경 품종인 ‘사도노카’를 인공교배하여 육성 한 ‘연풍’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풍’은 버 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단경다분지성이다. ‘연풍’은 ‘대광’에 비해 성숙협수, 협실비율, 100협립수, 100립중등 양호한 수량구성요소를 보이며 100립 중이 88 g인 대립품종이고, 도복은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 며 흑반병, 그물무늬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 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연풍’은 단백질이 31.9%, 기름함량이 49.8%이고 지방산은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연풍’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에 비하여 전국 평균 4.81 ton로서 15% 증수되었다. ‘연풍’은 경장이 짧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경기북부와 강원도,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78.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eismic performance of weak-axis steel moment connections was investigated through cyclic testing of two full-scale specimens by reducing flange plate thickness. As a result, two specimens were showed that enough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ductility.
        7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nitrogen use efficiency of high yielding Japonica rice varieties under three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90, 150 and 210 kg N ha -1 ) in Iksan, Korea. Two high yielding rice varieties, Boramchan and Deuraechan, and an control variety, Dongjin2, were grown in fine silty paddy. Nitrogen use efficiencies (NUE) were 83.3, 56.3, and 41.2 in 90, 150, and 210 kg N ha -1 fertilizer level, respectively. Total nitrogen uptake varied significantly among nitrogen levels and varieties. Variety Dongjin2 showed the highest nitrogen uptake efficiency (NUpE), while Boramchan and Deuraechan showed higher nitrogen utilization efficiency (NUtE). However, Nitrogen harvest index (NHI) was higher in Boramchan (0.58) than Deuraechan (0.57) and Dongjin2 (0.53). Rough rice yield showed linear relationship with total nitrogen uptake (R 2 =0.72) within the range of nitrogen treatments. Boramcha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rough rice yield (8546 kg ha -1 ) which mainly due to higher number of panicles per m 2 compared to Deuraechan (7714 kg ha -1 ). Deuraechan showed higher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but showed lower yield due to lower number of panicle per m 2 . Rice varieties showed different nitrogen uptake ability and NUE at different nitrogen level. Plant breeders and agronomist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significant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among grain yield, NUpE, and NUE.
        80.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설레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2011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고식미 도정특성 우수 품종이다. ‘설레미’는 남부중산간지,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및 동북부해안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일로‘오대벼’보다 3일 늦은 조생종이다. 간장은 73 cm로 오대벼보다 작으며,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이 높은 중립종에 속한다.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안되는 내수발아성이다. 내냉성은 보통이다. ‘설레미’는 도열병에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입형은현미장폭비가 1.90으로 단원형이며 심복백이 없고 맑고 투명하다. ‘오대벼’에 비해 아밀로스함량은 낮고 단백질함량은 약간 높으며 밥맛은 매우 양호하다. 도정율, 백미완전미율이 각가 77.5%, 97.7%로 ‘오대벼’에 비해 높다. 쌀수량은 보통기표준재배에서 5.60 MT/ha로 ‘오대벼’보다 7% 많은 편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