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2

        8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어휘영역 내용에 근거하여 개발된 성취기준 의 내용과 체계 그리고 이 성취기준에 의해 개발된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 용과 체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어휘 영역의 성취기준 개발은 일반적인 성 취기준의 개발 원리에 입각하여 학년군 간의 위계성, 연계성, 그리고 교육과정 내 용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분명한 진술 등을 지향하였다. 한문 지식의 특성을 고려 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활동 및 평가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육 과정을 재해석 내지 재구성하기도 하였으며 학교 현장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인식 하고 이를 반영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공유와 상호 전달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토대로 진행되는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활동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활용의 예를 제시하고 아울러 ‘상’‘중’‘하’ 각 수준에 도달하는 학생들의 지식, 수행 능력, 특성 등도 기술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이를 참고하여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에 대한 공유와 상호 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되어 어휘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 교과서에서의 성취기준 구현 ⇄ 학교 현장의 교수․학 습 활동 및 평가 활동’의 유기적인 관계 정립에 있어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6,700원
        84.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에서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 摸索과 實行 方案’을 주제로 개최된 학술대회를 계기로 수행되었다.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한자 어휘 교육의 실행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중‧고교 교과 용어와 연계하 여 한자 어휘를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우선 敎科 漢字 用語 에 대한 中․高校 學生들의 認識이 어떠한지 조사해 보고, 漢文科 敎育課程에서 한자 어휘, 특히 교과목 한자 어휘가 포함된 전문 용어를 어떻게 가르치도록 서술 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한문 과목과 한문 외 과목의 교과서에서 한자 용어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본 후, 中․高校 敎科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자 어휘 교육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각 교과에 나오는 개념어를 배울 때 漢字의 뜻을 좇아 풀이하는 방 식으로 배울 경우, 이해하기도 쉽고 기억에 오래 남는다는 사실을 학생들도 충분 히 알고 있었다. 또한, 교과 한자 용어를 강조해서 제시한 한문 교과서도 많지 않 을뿐더러, 타 과목 교과서에서 漢字를 노출시켜 교과 용어를 설명한 사례는 없음 을 알 수 있었다. 中․高校 敎科와 連繫한 漢字 語彙 敎育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의 교과서에서 한자 용어를 제시할 때 한문 축자 풀이 방식을 도입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 교사들에게 ‘교과 한자’와 같은 강의 개설 및 운영을 통해 각 교과별 주요 한자 용어를 축자 풀이 방식으로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8,400원
        8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한자어가 사용된 역사는 최소한 이천여년이 넘었다. 근대화를 기 점으로 한자와 한문교육이 보편 교양교육에서 특수한 일부 개별 교과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한글 전용 정책의 실시로 인해 한자와 한문교육이 축소되었으며, 시 대의 변화에 따라 한자 사용과 노출의 예는 극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오랜 세월 동안 구축된 한국어 어휘 체계 중에는 이미 70% 가까이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으 며, 실제 언어 생활에서도 한자어의 사용 빈도 또한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자와 한자계 어휘 교육이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지 않음으로써 한자 표 기 오류 현상은 끊임없이 출현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한자 표기 오류가 나타나는 근본적 이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 고, 원인에 따라 유형화하여 해결의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9,500원
        86.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易讀性’에 관한 여러 논의의 검토를 통해 한자 어휘 수준의 결정 요인 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휘는 단일 변인으로는 텍스트 수준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독성 공식 등 텍스트 수준 결정에 관한 초기의 논의에서는 편의상 어휘의 계량화 측면을 주로 이용했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면서 독자 요인과 함께 어휘의 질적인 측면을 주목하게 되었고, 그 활용에 대한 다양한 모색이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어휘 교육의 최종 목표가 문식성 발달에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서, 이상적인 이독성 공식이 포함하는 어휘의 질적, 양적 요인을 모두 아우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제시한 것이 頻度, 透明度, 입말화 한자어의 처리 문제, 사회 문화적 맥락의 고려이다. 이 이외에도 다른 요인의 고려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시대 변화에 따른 한자 어휘의 위상 변화를 인식하고, 우리 언어 환경 내에서 언어 수준의 질을 높이고 품격있는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사회적 의사판단과 표현에 기여하는 한자 어휘의 특성에 대한 이해 아래 어휘의 선정과 평 정, 교육의 우선 순위 배정 등의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계량 가능한 빈도 이외의 여러 질적 요인은 국문학, 국어학, 국어교육, 한문학, 한문교육 전공 자 등의 학제적인 연구를 통한 핵심 요소의 추출과 상세화 작업이 요구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언어문화 수준의 질적 제고와 관련된 부분이다.
        5,400원
        87.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 교육은 언어 교육의 하나이며, 언어 교육은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한자 교육을 한다고 할 때 소통의 매개체 는 최소한 어휘 수준의 단위이다. 그러므로 한자 교육은 소통의 도구이자 매개체 로서 어휘의 교육에 충실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의 어휘 교육은 각 교과 학습의 기초가 되는 교육이라 할 수 있으 며, 한자 어휘와 같이 주요 개념어 내지 사고 도구어로 사용되는 어휘 교육은 각 교과 교육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 교 교육용 한자 어휘의 선정 작업은 근본적으로 각 교과 학습에 기본이 되는 학습 용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필자는 ‘교과서 한자 표기’ 방안을 한자 어휘 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그 다음 대안으로는 ‘국어과 교육 내용 안에 포함하는 안’이며, 초등학교『한자』교과를 통 하여 지도하는 방법은 가장 나중의 안이다. 또한 이도저도 어려울 경우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 목록’을 선정하여 각 교과 교육과정의 별첨 자료로 보급하는 것 도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를 1,000어휘로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러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학습자들의 학습 부담을 고려할 때 1,000어휘 모두를 필수어로 정하여 익히기는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단계별 수준에 알맞게 ‘이해어휘’(읽기 수준의 한자 어휘)와 ‘표현어휘’(쓰기 수준의 한자 어휘)의 수를 달리해 정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를 선정하기 기준으로 빈도, 분포범위, 언어의 필요, 이용도 및 친숙도, 적용 범위, 규칙성, 학습 용이도 및 학습 부담 등을 들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고 그 예를 일부 제시하였 다. 이러한 논의를 계기로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에 대한 교육당국의 교육지 침이 마련되기를 촉구한다.
        14,900원
        91.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래동화는 전통사회의 질서와 종교적 세계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통사상과 문화가 언어를 매개로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승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전래동화는 학령기전에 성인과 아동이 음성이나 몸짓, 표정 등을 통해 즐거움을 함께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숨겨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계기가 된다. 또한, 아동의 언어교육을 위해 전래동화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동기는 언어발달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기로서 개인차가 크므로 언어발달에 적합한 교재의 선택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전래동화를 0-3세아, 4세-8세아 등으로 폭넓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 시기의 언어발달은 양과 질에 있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 어휘력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연령별 단계가 세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어휘발달에 기초하여 전래동화의 어휘 구성이 아동의 연령 발달 변화에 적합한가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어휘력 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6,300원
        95.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Dong-geun. 2012. Word formation of [X-남], [X-녀] in the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and its analysis of social valu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pp. 27-56 . From around 2005 till toda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among people in the internet space. Indications of such a phenomenon is the trend of using [X-남], [X-녀] type words. These words newly categorizes and gives value to people and shows close relation with social phenomenon. In regard to word formation, [X-남] and [X-녀] have high productivity. First of all, [X-남], [X-녀] can easily be made into words that correspond to gender. Also quite many are made through inference. [X-남], [X-녀] type words sometimes form a paradigmatic relation in a semantic way. [X-남], [X-녀] type words can be classified as ‘ability’, ‘appearance’, ‘behavior’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again as positive and negative social value. The number of [X-녀] is greater compared to that of [X-남], and cases of [X-녀] particularly show strong characteristics of female discrimination. The trend of [X-남] and [X-녀] are largely influenced by on-line media seeking to stimulate the reader‘s curiosity. It is also used as means for viral marketing by people with industrial motives. But above all, the usage of [X-남], [X-녀] type words have a strong nature of exposing social value.
        7,000원
        9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aning of Sociolinguistics about the Composition's Order Rules of Complex Word-Focus on the Textbooks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9(2).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hange of word order in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in Korean language. The composition's order was dominated by several elements, for example preception and recognition. Chang (2008) concluded the word placement of coordinate word order is determined by the elements of lexical hierarchy, basic vocabulary, word frequency and sociocultural meaning. These elements are the fundamental factors. But, the word order is changed by the language family and sociolinguistic environment. The word order has rapidly chang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I divided the change into two types: lexicalization and sociocultural change. The former means the increase in quantity of lexical items through the competition of two types: in the right order and reverse order. The latter means the social concerns have changed. But the results of change are not uniform. Some reverse words gain special meaning or nuance. The Korean word 'SEONGJANG(成長)' means 'growth' or 'development', but 'JANGSEONG(長成)' means 'come of age' or 'grown up' for example.
        5,500원
        99.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개정 교육과정 語彙領域의 학습목표에 따른 문항 개발 방향에 목적이 있다. 개정 교육과정 語彙領域評價의 양상을 보면 내용 체제면에서 漢字語는 대영 역이었고, 語彙는 중영역으로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그 범위가 축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에 따른 漢文科의 위상 과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것으로 기존 漢字語領域의 내용 요소를 한문지식의 어휘로 일부 흡수, 통합한 것이다. 내용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漢字語를 통 한 言語生活의 실용성을 강조하였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 보다 문법적인 측 면을 더 강조하였다. 전국단위 評價問項을 보면 語彙領域의 평가 비중이 약 30%정도 차지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학교 현장의 評價에서도 ‘단어의 짜임’, ‘허사의 쓰임’, ‘성어의 의미’와 관련한 평가 문항은 출제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개정되었 다고 해서 語彙領域의 평가 비중이 줄어 들 것이라고 보이지 않는다. 국가수준의 시험에서도 그러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대영역인 漢字語領域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영역의 語彙領域으로 바뀌어 1:1의 관계로 볼 수는 없지만 상당한 부분에서 공통 요소 를 가지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漢字語가 가지는 위상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는 문법 중심으로 일부 축소, 심화된 부분이 없지 않지만 여전히 漢文敎育에 있어 語彙領域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유효하다. 語彙領域의 평가는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그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여 야 한다. 語彙領域이 한문과의 다른 평가요소 보다는 문법적인 기능에 대한 평가 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단편적, 일회적 지식이나 기초적 문법기능 측정에 편 중되는 것을 지양하도록 주의해야 하며 학습자의 고등 정신 능력을 평가할 수 있 도록 ‘한문’ 영역과 ‘한문지식’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문법적인 측면의 문항 몇 개를 예시로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향후 語彙領域의 문항이 전반적으로 그러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대신 ‘漢字語彙의 유형‘ 이나 ’成語의 의미‘를 묻 는 문항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