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7

        8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수풍뎅이와 흰점박이꽃무지는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부식성 곤충이다. 부식성 곤충을 사육할때 발생하는 응애류는 영양분이 많은 발효톱밥, 곤충의 먹이나 사체 등을 섭식하며 증식한다. 또한 곤충의 몸에부착하기 때문에 질병을 일으키는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 상품성을 하락시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부식성 곤충 사육 중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응애류 Sancassania sp.의 초기생활사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온도 25±1℃,상대습도 50±10%, 24시간 암조건 하에 인큐베이터에서 진행되었으며, 물한천배지(water agar, 2%)가 들어있는 36개의페트리디쉬(3.5cm)에 각 1개 씩 응애의 알을 넣고 3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였다. 먹이는 곤충전용젤리를 공급하였다.초기생활사는 알(egg), 유충(larvae), 제1약충(protonymph), 제3약충(tritonymph), 성충(adult) 단계가 확인되었으며, 기간은 알 2.2±0.3일, 유충 1.5±0.1일, 제1약충 0.9±0.1일, 제3약충 1.5±0.2일로 성충까지 약 6.2±0.4일이 소요되었다.
        8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반도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3,000여개 이상 많은 섬들을 가지고 있다. 섬생물지리학 이론에서는 생물종수가 본토와의 거리와 섬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고 예상한다. 이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크기가다른 6개의 섬에서 초식성 곤충 다양성과 면적, 본토와의 거리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을알아보기 위하여 낙엽활엽수인 4개의 수종(참나무, 벚나무, 예덕나무, 사방오리나무)을 선정하여 2017년 6월 잎의식흔을 잎손상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초식성 곤충 중 종 다양성이 풍부한 나방을 채집하여 식흔자료와나방 다양성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섬의 면적이 커질수록, 해안선의 길이가 길수록 잎 식흔 양이증가하였으며 나방 종수와 개체수도 많아졌다. 본토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곤충의 종수와 개체수, 잎의 식흔량은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섬에 서식하는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은 섬 면적, 해안선 길이,본토와의 거리와 밀접한 관련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꼬마굴나방과(Nepticulidae)는 꼬마굴나방상과(Nepticuloidae)에 속한 작은 분류군으로, 미소나방류 중 성충의 크기가 가장 작은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과에 속하는 종들은 유충 시기에 기주식물의 잎 또는 줄기에 굴을 파고조직 내부에서 서식하는 대표적인 잠엽성 곤충으로 대부분 종들이 단식성이며, 기주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지리학적분포는 전 대륙에 넓게 퍼져 있으나, 현재까지 유럽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어, 서 구북구 지역의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22속 88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한반도 주변 인접국가의보고된 종 수를 고려할 때, 국내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종이 분포 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류군이다.본 발표에서는, 국내·외 꼬마굴나방과 표본, 기주식물 정보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 계통분류학적 연구 계획을 고찰하고자 한다.
        8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질환은 가장 이환율이 높은 질병이며 미국의 통계 및 우리나라의 발생 추정치로 보아모든 감염질환 발생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사람의 호흡기 질환에는 많은 종류의 바이러스가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외에 흔히 감기(common cold)를일으키는 병원체인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PIV), RS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등이 대표적 병원체이다.또한 거미와 곤충, 벌레 등 척추가 없는 동물이 바이러스 산실이다. 곤충유래 무척추 동물들은 지카바이러스(zikavirus)나 뎅기바이러스(dengue virus) 등에 의한 감염질환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 및 곤충 바이러스들에대한 치료제들은 극히 일부 연구되어 상용화되고 있지만 내성 바이러스 출현으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시급하다.따라서 다양한 식물체들을 활용한 바이러스 치료제 등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8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만석골저수지 수계의 수서곤충의 군집과 그에 따른 수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7년 9월 9일~9월 17일 까지채집을 하였다. 채집은 그물망을 이용하였고 총 6개의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각 지점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7목18과 30종이었다. 노린재목이 31.8%, 잠자리목이 21.9%였다. 그 뒤로 날도래목 18.7%, 딱정벌레목 11.3%, 뱀잠자리목5.7%, 강도래목과 파리목은 5.3%였다. 우점도지수로 살펴본 결과 전체에서는 장구애비가 최고우점종이었고 물자라가2차 우점종이었으며 우점도지수는 7.4%였다. 조사지점별로는 조사지점 1~4까지의 최고우점종은 날도래류였으며그뒤는 강도래류, 뱀잠자리류, 잠자리류 등 다양했다. 5~6지점은 물자라, 줄동애등에가 각각 최고 우점종이었다.1~4까지의 지점의 최고우점종을 봤을때는 수질이 청정함을 알 수 있었고 5~6의 수질도 2~3급수 정도이나 줄동애등에의개채수로 봤을 때는 수질에 의심이 가나 수질조사와 충분한 개채수가 확보될 떄 판단이 가능하다.
        8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Orthoptrea: Acridiade)는 전 세계적으로 작물 생산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돌발 해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의 경우 풀무치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풀무치에 병원성을 갖는 풀무치병원성 진균 라이브러 리를 구축하였으며, 풀무치 방제에 이용 가능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먼저 갈색거저리 유충-bai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 한 지역에서 채집된 토양에서 곤충병원성 진균을 발굴 하였다. 풀무치 병원성 검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국립 농업 과학원에서 풀무치를 분양 받았으며, 고체 배양된 곤충병원성 진균을 곤충 사육 상자에 처리하여 (2 g/ box), 풀무치 약충 (3-4령충)에 대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병원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곤충병원성 진균 처리 3-7일차에 풀무치의 머리, 복부, 다리 표면에서 진균이 증식하는 mycosis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Metarhizium anisopliae, M. lepidiotae, Clonostachys rogersoniana에서 높은 병원성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다. 확보된 34개의 풀무치병원성균주의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하여 열안정성 및 포자생산성을 확인 한 결과, Paecilomyces, Purpureocillium 균주가 다른 균주에 비해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안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대부분의 균주에서 1 × 108 conidia/gram 이상의 포자수를 생산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온실 조건에서 비교적 병원성이 높았던 M. anisopliae 고체 배양된 균주를 토양에 처리하여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85.7%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풀무치가 이동하면서 토양에 정착된 곤충병원성 진균에 접촉되어 치사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효과적인 풀무치 방제가 가능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87.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남도 김해시의 화포천습지 생태공원에서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씩 4가지의 방법을 이 용하여 육상 곤충상을 조사한 결과 총 11목 98과 281종 4,163개체가 채집․조사 되었다. 이 중 우점종은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 (노린재목), 아우점종은 맵시잎벌레(Chaetocnema concinna) (딱정벌레목), 그 다음으로 알락귀뚜라미(Loxoblemmus arietulus) (메뚜기목), 그물등개미(Pristomyrmex pungens) (벌목) 순으로 조사되었다. 목별 종 수는 노린재목이 72종(25.5%)으로 가장 우점하였고, 딱정벌레목이 69종(24.6%), 파리목이 31종(13.1%)으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목별 개체수 또한 노린재목이 1,265개 체(30.3%)로 가장 많았고, 딱정벌레목이 911개체(21.8%), 메뚜기목이 848개체(30.4%)로 그 다음이었다. 군집 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DI)는 0.15, 다양도 지수(H')는 4.48, 풍부도 지수(RI)는 33.60, 균등도 지수(EI)는 0.80으로 조사되었으며, 한반도 고유종 2종, 국외반출 승인 대상종 18종, 기후변화 생물지 표종 3종, 생태계 교란종 1종이 채집되었다.
        5,800원
        8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가 혹명나방,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과 진딧물 인 미분류 1종을 감염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전라북도 진안, 김제, 익산에서 수집되었고, 6월과 9월에 관찰이 가능하였다. 이 균에 감염 된 혹명나방은 진안에서 수집되었고, 감염율이 46%에 달하였다. 감염된 곤충 충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SDAY)를 이용하여 인공배양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28°C가 인공배양을 위한 최적온도로 판단되며, SDAY보다 SDAY supplemented with egg yolk and milk (SDAY-EM)에서 발육이 보다 양호하였다. 이 곰팡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함을 포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8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남 습지대(6.02 km 2 ) 곤충상의 다양도, 우점도, 풍부도 등을 습지대 내 3곳의 습지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육안조사와 쓸어잡기 는 2010년, 말레이즈 트랩 조사는 2011년, 유아등 조사와 함정트랩 조사는 2012년에 실시하였다. 총 14目 141科 574種의 9,269 개체 (딱정벌레목 36.3%, 나비목 21.3%, 잠자리목 13.9%)가 조사되었다. 種數로 비교해 보면, 나비목이 31.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딱정벌레목(28.0%) 노린 재목(12.9%) 순이었다. 우점종(총 조사개체에 대한 각 종의 개체수 비율)은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7.9%), 꼬마줄물방개(Hydaticus grammicus, 4.3%), 일본잎벌레(Galerucella nipponensis, 4.1%), 연물명나방(Elophila interruptalis, 3.1%), 양봉꿀벌(Apis mellifera, 2.2%) 순이었 다. 세 곳의 습지에서 조사된 딱정벌레목, 나비목, 잠자리목 곤충의 수는 매우 많았지만 세 습지 간에 차이는 없었다. 주남 습지대의 곤충다양도(H’), 풍부도(RI)는 각각 5.04, 59.10이었다.
        4,200원
        90.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량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요즘 하나의 해결 방안으로 곤충 사업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곤충이 미래 식량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짧은 시간 안에 대량사육이 가능 하며, 인수공통전염병이 없으므로, 질병, 전염병 우려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사육으로 인한 환경 파괴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식용곤충을 사육하는 농가는 8백 곳으로, 1년 만에 5배 넘게 늘었으며 농촌진흥청은 곤충산업 규모가 2020년 2조~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렇게 커져가는 식용 곤충 산업에 대해 사람들의 곤충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10대부터 40대 이상의 연령층을 조사하여 다양한 연령의 선호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유년기 시절 지역을 조사하여 지역에 따른 곤충의 선호도 정도를 조사하였다. 온라인 400명 오프라인 400명으로 표본 집단의 크기를 충분히 하였다. 해당 설문 조사에서는 유년기 지역보다는 성별로 식용 곤충 섭취 경험이 나뉘어 졌다. 향후 식용 곤충 섭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지만 가공된 식품으로 대중화 한다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판단한다.
        4,000원
        91.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이러한 다양한 청소년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올바른 사회성 함양과 관계 형성을 위한 체험프로그램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데, 특히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중 곤충이 많아지고 있으며, 최근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선호도와 효과성 연구가 진행 되었다. 그 결과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 며, 초등학생들에게 스트레스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 정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곤충에 색을 활용한 컬러테라피에 대한 연구과 다양한 대상으로 한 연구 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곤충을 활용한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9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용곤충의 영양학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사육농가가 급격히 증가에 따라 보관 유통에 따른 효율적인 전처리 방법을 비교하고자 양주시 관내 농가가 사육하고 있는 식용곤충 2종(갈색거저리, 쌍별귀뚜라미)에 대해 형태별 영양분석, 중금속, 이물질 등을 분석하였다. 갈색거거저리, 쌍별귀뚜라미 형태에 따른 항목별 시험검사 결과는 마이크로 웨이브, 열풍건조기 방식에 따른 건조 갈색거저리․ 건조 쌍별귀뚜라미, 갈색거저 리․ 쌍별귀뚜라미 파우더에 영양분석, 중금속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물질은 식품기준에 적합하였 다. 식용곤충 대상별 건조된 수분함량은 3.58~4.58%이었으며 갈색거저리 건조, 파우더에서 카드뮴은 각각 0.04mg/kg, 0.03mg/kg 검출되었으며, 쌍별귀뚜라미는 파우더에서 납 0.04mg/kg, 카드뮴 0.02mg/kg 검출되었으나 중금속 기준 이하로 조사되었다.
        9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곤충산업 육성법이 제정 되면서, 곤충산업에 대한 관심은 물론, 곤충생산농가도 2010년 265호에서 2015년 12월 기준 724호로 급증하였으며, 시장규모도 2011년 기준 1,680억원에서 2015년 기준 3,039억원으로 짧은 기간에 2배의 시장 확대를 가져왔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 할 만 한 사항은 전체 곤충산업에서 식용,사료,의약용의 시장이 2015년도 기준 4.6%로 식용곤충사육 농가의 소득 보전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식용곤충 사육농가의 급증에 따른 과다경쟁에 따른 다수의 사육 중단 농가 발생이 예상되며, 사육 곤충의 일부는 꽃무지에서처럼 사과 등에 해를 가하는 해충으로 작용하여 다른 작목의 농가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개연성이 충분히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상하여 곤충 사육 중단에 다른 폐업 기준 및 요령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생태계교란 사전예방과 농가의 혼선과 정부정책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9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6년 7월29일부터 8월15일까지 예천군에서 개최한 제3회 예천세계곤충엑스포 행사에서 나비, 메뚜기 등 국내 곤충과 외국곤충을 이용하여 파브르 정원을 조성하여 많은 호평을 받았다. 파브르 정원은 2,000㎡의 실내테니스장을 이용하여 반디불이 터널, 벼메뚜기 체험장, 나비유충 체험장, 수서곤충 체험장. 딱정벌레 체험장. 외국곤충 전시장, 시골들판, 탄생의 광장. 실내정원 체험장을 마련하여 곤충을 가까이에서 관람하고 만지고, 채집하며 관찰하는 공간으 로 구성하였다. 실내테니스장의 딱딱한 벽면은 광요구량이 적은 덩굴성식물을 입식하여 철골조의 딱딱한 이미지를 개선하였다. 각각의 체험장에는 본군에서 직접 사육한 벼메뚜기 10,000마리, 나비8종 10,000마리를 자체 증식하여 활용하였으며 꽃과 작물 50여종의 25,000주를 육묘하여 활용하였으며 관내에서 사육한 메뚜기를 채집할 수 있고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를 직접 만질 수 있는 놀이 공원화 하여 성공적인 행사가 되었다.
        9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창군농업기술센터 복분자시험장 비닐하우스 및 노지 시험포장에서 2009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복분자가 꽃피 는 시기인 5월 초순부터 5월 말까지 1~3일/1주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사이에 복분자 꽃에 모이는 곤충류를 화분매개곤 충으로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채집된 곤충의 종류는 주로 파리류와 벌류가 조사되었다. 파리목 중에서는 꽃등에과의 개체수가 많았으며 벌목 중에서는 꿀벌의 개체수가 많았다. 화분매개를 하는 곤충의 종류와 개체수는 노지 시험포장에 서보다 비닐하우스내에서 더 많이 조사되었다. 복분자 꽃이 많이 피는 시기인 5월 중순에는 화분매개곤충의 개체수가 많았으나 상대적으로 복분자 꽃이 적은 시기인 5월 초순과 말경에는 화분매개곤충의 개체수가 적었다. 비가 많이 내린 날에 화분매개곤충은 노지포장에서 조사되지 않았고 비닐하우스내에서는 조사되었으나 개체수가 적게 조사되 었으며 움직임 또한 적었다. 이러한 해의 복분자 수정율은 낮았다. 이때 비닐하우스내에 꿀벌 1통/495㎡을 방사할 경우 방사하지 않은 비닐하우스내에서보다 복분자 수정율이 높았다.
        9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bout 80% Of animal species represents insect species, which recently became important biological model animals due to the development of genetic modification technology, where genetically modified insects are used for basic to applied research such as agriculture and biomedical purpose. Therefore, confinement of biosafety level and guideline are recommended and required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for well-maintained and world-standard research environment using these LMO insect model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focuses on setting up the biosafety practice and policy for insect research facilities and their guideline for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9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몇 십년간 많은 국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일련의 기후변화 현상과 국제적인 움직임과 함께 교토의정서 등에서는 국제규범을 제정하고 국가별 의무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립수목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기후변화 취약 산림곤충 종 조사 및 정보 구축」 Study on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s on climate-sensitive insects in forests를 진행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곤충 채집정보를 이용한 기후변화 취약 곤충 종 선발, 고산지역 내 고도별 곤충 종 조사, 전국 화분매개곤충 조사, 희귀특산식물의 화분매개곤충 조사, 기후변화 취약 곤충(애호랑나비) 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들을 통해 잠정적인 기후변화 민감 곤충종의 후보를 선발하고 향후 중점모니터링이 이루어 져야 하는 중요성을 확인하였지만, 연구과제의 단절로 인해 연속적인 연구가 멈추어진 상태다. 기후변화는 장기적인 시점에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하며 단기적인 효과는 극히 미비 하므로 향후 곤충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연구 방향과 장기 모니터링의 효과를 위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9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충북지역 곤충사육 및 희망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업 사육농가 12, 부업농가 26농가, 곤충사육 희망 29농가 등 67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곤충사육 희망농가의 가장 큰 관심 항목은 곤충사육(86%)으로 가장 높았다. 곤충사육 희망농가의 사업시작 계획은 향후 1년 이내 54%, 2~3년 이내 28%, 당장 시작하거나 6개월 이내는 18%로 나타났다. 곤충 사육농가의 사육시설 초기 투자비용은 81%가 500만원 이하의 영세 농가였다. 사육시설은 73%가 야외 사육이었고, 그 다음은 판넬 조립이였다. 충북의 곤충사육 총 면적은 30,400㎡로 영동 16,004㎡로 53%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청주 3,915㎡(13%), 충주 3,593㎡(12%), 옥천 2,543㎡(8%), 기타 4,345㎡(14%) 순으로 나타났다. 사육농가의 추가 사육 희망 종으로는 왕사슴벌레와 갈색거저리가 가장 높았으며, 쌍별귀뚜라미, 거미, 장수풍뎅이 순으로 나타났다. 곤충사육 농가의 연간 매출액은 500~1,000만원 (47%)에 가장 많이 분포했으며, 다음으로 100~500만원(34%), 1,000만원 이상(19%) 순으로 조사되었다.
        9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 제조업체의 해충 저감화를 위한 방안으로 과자류와 캔디류에서의 곤충관련 이물 클레임 발생 상황을 주요 식품 제조업체를 선정, 2010년부터 2016년 까지 약 7년간 1234건의 곤충관련 이물 클레임을 현물, 사진자료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비스켓과 스넥 등의 과자류 370건에서는 딱정벌레목의 비율이 25%로 가장 높았으며, 화랑곡나방 을 포함하는 저장해충이 30%를 차지하였고, 곤충이물 발생유형은 치사성충이 49%를 차지하였다. 클레임 발생원인은 유통, 소비자 단계에서 5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캔디, 쵸코릿, 캐러멜 등을 포함하는 캔디류 72건에서는 나비목이 46%로 가장 높았으며, 화랑곡나방과 어리쌀바구미 등의 저장해충이 56%, 곤충이물 발생유형은 치사성충이 31%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클레임 발생원인은 유통, 소비자 단계에서 79%로 해충 오염 발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0.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겨울철 녹비 처리별 논 월동 곤충상을 조사하기 위해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2년간 조사하였다. 볏짚 피복, 호밀, 헤어리베치, 무피복의 4처리 3반복으로, 반복 당 2개의 트랩을 설치하였다. 녹비종자는 15년 10월 17일과 16년 10월 13일에 파종하였고, 100m2 의 크기로 조성하였다. 트랩은 에틸렌글리콜과 에탄올을 1:1로 섞어 200ml를 붓고 접시로 덮어주었다. 1년차에는 매달 1회 2주간 트랩 설치 후 조사하였으며, 2년차에는 12월 말부터 3월 말까지 2주 간격으로 트랩을 교체하였다. 톡토기목, 거미목, 파리목,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잠자리목, 벌목, 메뚜기목이 채집되었다. 1년차는 헤어리베치 처리구에서 거미와 톡토기류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호밀과 무처리순으로 나타났 다. 3월 말까지 경향이 지속되었다. 2년차는 녹비 처리구 톡토기류 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거미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녹비식물이 겨울철 습해로 인해 생육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