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0

        8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속면역금나노입자막대 (RIGS) 키트’라 명명된 RIGS 키트는 간단한 면역 흡착막대 방식으로 사용자가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토마토덤불위축바이러스 (TBSV)에 대한 현장진단을 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토끼의 TBSV 항 혈청에서 정제된 면역글로블린G (IgG)는 단백질A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되었으며 이후 금 나노입자와 결합하여 니트로셀룰로스막에서 진단 선을 표시하도록 고안되었다. TBSV 항체와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A를 같은 진단막대에서 대조선으로 이용되었다. RIGS-TBSV 키트를 이용한 진단은 의심 식물 시료를 완충액이 들어간 플라스틱 봉지에 넣고 착즙후 진단막대기를 넣으면 5-10분 후 결과를 알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TBSV가 감염된 토마토 즙액에 RIGS 막대기를 넣고 진단한 결과 TBSV 농도에 비례하여 진단 선이 형성됨이 관찰되었으며, 이들 키트들은 TBSV와 연관되지 않은 다른 고추 바이러스들에서는 비특이적 반응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들은 RIGS-TBSV 키트가 TBSV 진단에 다른 어려운 실험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쉽게 병원균을 진단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RIGS-44 TBSV 키트는 TBSV 감염이 의심되는 식물체들의 현장 진단 뿐만 아니라 실험실에서 의 TBSV 진단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4,000원
        8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carcinogene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OSCCs) are highly variable and result in different features of tumor progression, i.e., local tissue destruction and metastasis to regional lymph nodes. A case of OSCC arising from proliferative verrucous leukoplakia (PVL) was analyzed for its protein expression profile by immunoprecipitation (IP)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P-HPLC) by using 72 antisera and comparing results with those of KB cells. OSCC arising from PVL showed stronger expressions of proteins associated with cell proliferation (MPM2, PCNA, eiF5A, DHS, DOHH), cell survival (pAKT, MDM2, survivin), matrix proteolysis (elaffin), tumor suppression (p16, p21, PTCH1), the WNT/β-catenin pathway (SHH, WNT1, APC, β-catenin, snail), proinflammation (TNFα), angiogenesis (HIF, CMG2, vWF), and cellular protection (HSP-70, FAK, caveolin) and of oncoproteins (STAT3, 14-3-3, K-RAS, PUMA, PIM1) and growth factors (EGFR, bFGF) than KB cells. On the other hand, KB cells showed stronger expressions of proteins associated with apoptosis (caspase-3, caspase-8, caspase-9, PARP, FAS, FASL, TGase-1, BCL2, BAD, BID, BAK, FLIP), matrix proteolysis (MMP-2, MMP-9), transcription signaling (NFkB, p38, E2F-1, HO-1), and tumor suppression (p53, RB1, PTEN) and of oncoproteins (DMBT1, CEA) and growth factor (TGF-β1, c-erbB2, VEGF) than OSCC arising from PVL. These data indicate the cells of OSCC arising from PVL are more resistant and more robust than KB cells. Furthermore, they suggest the oncogenic signalings of OSCC arising from PVL play important roles in the aggressive growth and rapid tumor metastasis to regional lymph nodes
        4,000원
        8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의학해충 및 축산해충으로 일부 파리류는 친환경적으로 방제되어야 한다. 비티 농약은 살충 독소단백질을 생성하는 Bacillus thuringiensis (Bt)를 기반으로 제조된다. 본 연구는 Bt 균주 가운데 파리류에 대해 살충력이 높은 Bt israelensis (Bti)를 이용하여 새로운 비티플러스 농약을 개발하였다. 개발 원리는 Bti 균주에 대한 곤충의 면역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살충력을 높이는 전략을 세웠다. 모델 곤충으로서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를 이용하였다. 사과 껍질을 이용한 침지법으로 노랑초파리 유충의 약제 반응을 분석했다. 노랑초파리 유충은 세균 감염에 따라 세포성 면역 반응인 소낭형성을 보였다. 4 x 104 대장균 주입에 대해서 8 시간 후 최대 32개의 소낭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또 다른 곤충병원세균인 Photorhabdus temperata temperata (Ptt)의 배양액 추출물을 주입한 결과 소낭형성 능력이 현저히 감소했다. Bti와 Ptt 배양액 추출물을 혼합한 결과 Bti의 살충력을 뚜렷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파리 방제제로서 두 곤충병원세균을 조합하여 제조한 효과적 비티플러스를 개발하였다.
        84.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immune pancreatiti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pancreatobiliary cancers because they often have similar clinical features and images. Accurate and practical diagnostic algorithm for AIP is important to avoid unnecessary surgery and delayed treatment. International Consensus Diagnostic Criteria for AIP suggested that diagnostic algorithms and the practical patterns considerably vary worldwide.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AIP can be categorized into patients with typical features of AIP and patients with indeterminate features based on CT findings. Serology and other organ involvement can be used as collateral evidence of AIP. If a patient presents with diffuse pancreatic enlargement but is lack of collateral evidence, pancreatogram could be useful. If a patient has obstructive jaundice, biliary drainage and endobiliary biopsy are recommended. Duodenal papillary biopsy for IgG4 immunostain can be used during ERCP. In case of atypical imaging findings, EUS-guided FNA/biopsy is recommended to exclude pancreatic cancer and to obtain the suggestive findings of AIP. If type 2 is clinically suspected, EUS-guided core biopsy is required for the definite diagnosis. Short-term steroid trial can be performed to confirm the diagnosis of AIP when pancreatobiliary cancer workup shows negative results. However, clinical practice in diagnosing AIP varies depending on the local expertise, facilities, cost, prevalence of AIP and its subtypes.
        4,000원
        85.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agnosis of autoimmune pancreatitis (AIP) is clinically challenging because it is a rare disease, which closely mimics more common pancreaticobiliary malignancies in its presentation such as obstructive jaundice and pancreatic mass. The price of misdiagnosis is high because AIP diagnosed as pancreatic cancer can lead to unnecessary surgery for the benign disease, and cancer diagnosed as AIP can delay potentially curative surgery. There is no single ideal diagnostic test for AIP; hence one has to use a set of diagnostic criteria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diseases. International consensus diagnostic criteria (ICDC) and algorithm for AIP have been proposed by a consensus of expert opinion in 2011. The concept of the Japan pancreas society (JPS) 2011 criteria took basic concepts of both the Japanese previous criteria and type 1 in the ICDC as much as possible. However, the ICDC are very complex to remember and definition of level 1 and 2 are not evidence based in some criteria. The revised JPS criteria are simpler than ICDC but further evaluation is necessary in other than Japan. So,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stablish easy, ideal and practical diagnostic criteria.
        4,000원
        8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속면역금나노입자막대 (RIGS) 키트’라 명명된 빠르며 사용자 편의 및 간단한 면역흡착막대 방식의 키트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CMV)의 현장진단을 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토끼의 CMV항혈청에서 정제된 면역글로블린G (IgG)는 단백질A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되었으며 이후 금나노입자와 결합하여 니트로셀룰로스막에서 진단선 표시하도록 고안되었다.CMV항체와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A를 같은 진단막대에서 대조선으로 이용되었다. RIGS-CMV 키트를 이용한 진단은 의심 식물 시료를 완충액이 들어간 플라스틱 봉지에 넣은 후 착즙 후 진단막대기를 넣으면 된다. 결과는 5-10분 후알 수 있다. CMV가 감염된 고추, 오이 및 멜론의 즙액에RIGS 막대기를 넣고 진단한 결과 CMV 농도에 비례하여 진단선이 형성됨이 관찰되었으며, 이들 키트들은 CMV와 연관되지 않은 다른 고추바이러스들에서 비특이적 반응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들은 RIGS-CMV 키트가 매우 민감하며,진단에 별 다른 실험실 기술이나 경험이 필요하지 않는 다는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RIGS-CMV 키트는 CMV 감염이의심되는 식물체들의 현장 진단 뿐만 아니라 실험실에서의CMV 진단에 효과적이다.
        4,000원
        8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tycodon grandiflorum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and food sour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 mouse, using ex vivo experiments. Six to seven-week old mice were fed ad libitum on a chow diet, and water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was orally administrated at two different concentractions (50 and 500 ㎎/㎏ B.W./day) every other day for four weeks. In ex vivo experiments, the highest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levels of cytokine (IL-1β, IL-6, TNF-α) production were observed in 500 ㎎/㎏ BW/day supplementation group for all three cytokines stimulated by LP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may enhance th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capacity by activating macrophages in mice.
        4,000원
        88.
        2014.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치에서 Weissella속, Leuconostoc속, Lactobacillus속 등의 154주의 젖산균을 분리할 수 있었다. 분리한 24주의 젖산균을 시료화하여 RAW264.7 cell의 세포 생존률을 기준으로 선별된 24주의 젖산균의 면역활성능을 확인한 결과IL-1α는 FBT215주가 676.9±22.2pg/mL로, TNF-α는 FBT202주가 1105.3±30.5pg/mL로 가장 많이 분비량이 높았다.종합적으로 확인하였을 때 FBT215가 cytokine 분비를 촉진하였다. 또, 내산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공 위액에서 배양한결과 대체적으로 산성에 잘 견디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내담즙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oxgall을 첨가한 배지에 FBT215주를 접종한 후 3시간까지는 증식을 하였으나, 그 뒤는 담즙으로 인하여 생균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BSH 활성을 통해 FBT215주는 BSH 활성이 양성으로 나타났으므로 담즙 분해 효소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I 50CH kit와 16S rRNA sequencing을 통하여 FBT215를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8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onobacter muytjensii는 유아용 조제분유(IFP)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중요한 식품 기인성 병원균이다. 이 연구에 서는 C. muytjensii 검지를 위한 특이적 면역글로불린 G(IgG)를 개발하고, 이 anti-C. muytjensii IgG를 이용하여 간접 비경쟁 효소면역측정법(INC-ELISA)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개발한 INC-ELISA 방법은 C. muytjensii에 매우 민감하고, 순수배양 시 6.5×103 CFU/㎖의 검출한계와 유아용 조제분유에서 1 cell/25 g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INC-ELISA 방법은 또한 C. muytjensii에 탁월한 특이성을 보이고, Cronobacter 속 외 11종의 다른 식품 기인성 병원균 계통과의 교차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개발된 INC-ELISA 방법이 C. muytjensii에 매우 민감하고 효율적 이며, 신속하고 용이한 검출을 위한 진단 키트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9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a non-specific immune response and mortality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ollowing a bacterial infection. Seventy five tilapia acclimated to 25℃ were then transferred at 16 and 36℃, and examined for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ver 12-96 h. Respiratory burst activity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cultured at 16 and 36℃ over 24-96 h, whereas phagocytic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reared at a low temperature (16℃) over 12 and 24 h and high temperatures (36℃) over 12-96 h. Lysozyme activity diminish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transferred to 16℃ over 12-48 h,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ish at 36℃ over 48 and 96 h.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ACH50)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nsferred to 16℃ after 12 h, but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ransferred to 36℃ after 24 h. In a challenging test, 30 tilapia reared at 25℃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Streptococcus iniae at a dose of 2x107 cfu/fish, and then reared onward at water temperatures of 15, 25 (control), and 36℃. Over 12-96 h, the cumulative mortality of S. iniae-injected fish held in 16 and 3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jected-fish held in 25℃ In conclusion, transfer of tilapia from 25℃ to low temperature (16℃) after 12 h, and transfer of fish from 25℃ to high temperature (35℃) reduced their immune capability. Furthermore, tilapia under temperature stress at 16 and 36℃ from 25℃ decreased its resistance against S. iniae
        4,000원
        9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멍게껍질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소 및 열수로 추출하여 면역활성 및 항암 효과를 평가하였다. 세포독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주에 추출물을 10∼200 ㎍/㎖ 농도로 처리한 결과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다양한 농도에서 효소 및 열수 추출물의 생리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NO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과 효소 추출물은 높은 NO 생성량을 보였다(123.0~161.7%). 위암 및 대장암 억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에서 평가하였지만 최대 200 ㎍/㎖ 농도에서도 위암세포 AGS와 대장암세포 HT-29의 세포생장 억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000원
        9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an anti-tumor activity on crude extracts of Oplopanax elatus. Water extractions of Oplopanax elatus were performed at 100℃(OeE-100). OeE-100 doses up to 62.5 ㎍/㎖ had no cytotoxicity on the tumor cell lines in vitro. In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of colon26-M3.1 carcinoma or B16-BL6 melanoma, the prophylactic intravenous (4~100 ㎍/mouse) or oral (2 ㎎/mouse) administration of OeE-100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as compared with tumor controls.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OeE-100 produced various cytokines such as TNF-α, IL-6 and IL-12. In an analysis of NK-cell activities, i.v. administration of OeE-100 (10~100 ㎍/mouse) significantly augmented the cytotoxicity to YAC-1 tumor cells. Vaccination of mice with boiling-treated tumor cells (BT-vaccine) in combination with OeE-100 (100 ㎍/mouse) showed higher inhibitions in tumor metastasis when compared with the mice of BT-vaccine treatment. In addition, the splenocytes from OeE-100 admixed BT-vaccine immunized mice secreted a higher concentration of Th1 type cytokine such as IFN-γ.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eE-100 stimulated immune system and was a good candidate adjuvant of anti-tumor immune responses.
        4,000원
        9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용버섯, 특히 능이버섯이 면역조절기능제로서의 가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능이버섯 및 잎새버섯, 표고버섯이 사용되었다. 버섯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의 혈장내 IgG1 및 IgG2a 수준을 측정하였고, 비장 단일 세포군을 이용하여 T 림프구 및 B 림프구의 in vitro활성화 결과 생성된 IFN와 IL-4 수준을 각각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능이버섯 추출물 500mg/kg BW투여군과 잎새버섯 추출물 500mg/kg BW을 투여한군에서 각각 IFN/IL-4의 비가 다른 군에 비해 높은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장 내 IgG2a/IgG1의 비가 능이버섯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에 다른 군보다 높았다.이는 능이버섯이 항암작용 및 항바이러스 작용과 같은 type-1 반응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 효과가이미 입증된 표고버섯이나 잎새버섯과 비교하여 식용버섯으로써 면역조절 기능 강화 측면에서 우수한버섯이라 사료된다.
        4,000원
        9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urotized melanocytic nevus (NMN) is categorized into intradermal/intramucosal type of acquired melanocytic nevus. In contrast to typical intramucosal nevus which has relatively distinct histological features, the diagnosis of NMN requires more attention due to its mimicry of benign neural tumors such as neurofibroma. The majority of lesional cells, NMN cells, showed a spindle cell morphology and abundant, eosinophilic cytoplasm which were positive for S-100, vimentin, and collagen type IV. Positive reaction for MART-1 was detected in the NMN cells as well as in the epithelioid nevus cells beneath the epithelium. Neurofibroma exhibited diffuse positivity for S-100, vimentin, CD34 and collagen type IV, but never expressed MART-1. Toluidine blue stained the numerous mast cells scattered in the lesion of neurofibroma, compared to the relatively minor detection of mast cells in NMN. Therefore, MART-1 is a useful marker in differentiating NMN from neurofibroma.
        4,000원
        96.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mphigus is an autoimmune blistering disease characterized by autoantibodies against epidermal adhesion molecules, desmogleins. Pemphigus vulgaris is most common and shows intraepidermal vesicles caused by the breaking apart of epidermal cells, acantholysis. A 65 years old male patient complained of severe mucosa ulceration on his right mandibular retromolar pad area where traumatic injuries occurred during mastication. He also had multifocal round skin ulcerations, less than 7~8mm in diameter and showed habitual onset and disappeared soon. At this time he was anxious about his oral ulceration with a cancer phobia, thereby a biopsy was made to rule out any malignancy in the ulceration. The histology examination showed multifocal suprabasal splits forming vesicles and erosion. The suprabasal splits were linear and parallel to the basal cell layer. The immunostain of IgK was strongly positive in the vesicular fluid as well as the cell membranes of dissociating keratinocytes, and also positive in many plasma cells infiltrated into the subepithelial zone. TNFα, IL‐1, ‐8, ‐28 for the pro‐inflammatory reaction were weakly expressed, while IL‐6 was strongly positive in the acantholytic keratinocytes of vesicle forming area. β‐defensin‐1, ‐2, ‐3 for the innate immunity were diffusely positive in the involved epithelium. The cell survival proteins, pAKT and HSP‐70 were diffusely positive in the epithelium, while the apoptosis protein, PARP was consistently positive in some acantholytic keratinocyte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vesicle formation occurred by autoantibody reaction without the activation of pro‐inflammatory and cell‐mediated immune reactions. The lesion was diagnosed pemphigus vulgaris with abrupt onset of epithelial vesicles at the predisposing areas of traumatic injuries by type II hypersenstitive immune reaction.
        4,000원
        97.
        2013.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치발효에는 여러 종류의 유산균이 관여하고 있고 이들은 면역조절기능 등 다양한 probiotics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기존 연구가 주로 배추김치에 국한되어 있어 보다 다양한 종류의 김치에 대한 미생물학적 분석이 요구된다. 그리고 김치발효의 메커니즘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bacteriophage와 김치유산균과의 관계가 구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김치유산균의 특성 및 이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의 기능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해서 김치 종주국으로서 우위를 유지하고, 학술적인 유산균 연구분야에 있어서도 국제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4,000원
        98.
        2013.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산균은 생화학적으로는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의 총칭으로, Gram 양성, 낮은 [G+C]%, 산에 대한 내성을 가진 비아포성 간균 또는 구균이다. 유산균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는 생리적 특징과 일치하지 않으며, 지난 10년 동안 Lactobacillus 속 171개 균종 중 83개가 새로 발견된 것일 정도로 계통분류학적으로 애매하다. 오랫동안 발효식품의 스타터로 주목되었던 종래의 연구의 방향이 1980년대 초기부터 유전학 쪽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네덜란드 Venema 교수와 Veldkamp 교수는 유산균 연구에 분자생물학적 지식을 본 격적으로 도입한 학자들이다. 미국의 Mckay 박사는 유산균 plasmid 기능, 제한 및 수식체계(restriction/modification system), 파지(bacteriophage), 접합(conjugation), 유당대사 유전학(genetics of lactose metabolism) 등과 관련된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일명 활생균)란 장내 균형을 증진시켜 숙주 동물에게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 첨가제로 정의된다. 오늘날 장내 균총 연구에서 제기되는 주요한 주제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다양성과 그 역할을 파악하는 일이다. 지금까지 연구결과 새로운 종과 새로운 유전자들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각 개인은 독특한 장내 균총을 가지며 식이, 나이, 생활습관 등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이상적인 자격은 안전하게 먹을 수 있어야 하고 인간에게 투여하였을 경우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유산균은 숙주의 장내에서 공생하면서 계속적으로 선천적 면역반응과 후천적 면역반응을 조절하며, 이러한 면역조절은 장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생체 전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유산균은 Th1형 면역반응을 유도시켜 Th2형 면역반응을 제어함으로써 알러지 반응을 억제할 뿐 만 아니라 자연살해세포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독성면역 역시 활성화시킨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장내에 정착하면서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유해 미생물에 의하여 나타나는 염증반응을 제어하여 숙주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 유산균에 의한 다양한 면역반응은 종 특이적 반응이 아니라 균주 특이적 반응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같은 종의 유산균이라도 각기 상이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선발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선발 조건(산도내성, 담즙내성, 장상피세포 부착성 등) 외에도 면역반 응성에 대한 기초 결과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근래 들어 장상피세포의 EGFR 수용체와 직접 작용하는 유산균 유래 수용성 인자가 발견됨에 따라 유산균과 숙주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세포 내 작용기전의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수용성 인자는 위장관 질환 및 알러지 반응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 또는 발효식품으로의 응 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숙주의 면역을 조절하는 새로운 생리활성인자를 탐색하고 이들의 유익한 효과를 학술적으로 밝히는 것은 발효 식품이 다양한 우리나라에서 추진해야 할 미래의 주요 연구주제라고 생각된다.
        4,200원
        9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coidan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on induction of apoptosis in AGS cell. To measure the activity of macrophages, NO and TNF-α assays were performed in Raw 264.7 cell. Treatment with fucoidan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NO and TNF-α, indicating activation of macrophages. The result of MTT assay shows that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Fucoidan increased to enhance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ty, as well as the cytochrome c release from the mitochondria. Fucoidan decreased Bcl-2 and XIAP expression, whereas the expression of Bax was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In addition, the active forms of caspase-9 were increased, and the inactivation of Akt was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Caspase inhibitor, z-VADFMK, canceled the apoptosis of fucoidan, expression of Bax and caspase-9 were decre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coidan induces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apoptosis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 on AGS cell.
        4,000원
        10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new physiologically active polysaccharides from persimmon leaves, two different crude polysaccharides were prepared using hot water (PLW-0) and pectinase digestion (PLE-0) and their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were estimated. PLW-0 and PLE-0 showed similar sugar compositions with 15 different sugars, including rarely observed sugars in general polysaccharides such as 2-O-methyl-fucose, 2-O-methyl-xylose, apiose, aceric acid, 3 deoxy-D-manno-2-octulosonic acid, and 3-deoxy-D-lyxo-2-heptulosaric acid, but the uronic acid content of PLE-0 was lower than that of PLW-0 caused by pectinase treatment. Both PLW-0 and PLE-0 showed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ich was similar to a known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PSK, from Coriolus versicolor. The activity of PLE-0 at a low concentration (100 ㎍/㎖) was higher than that of PLW-0. In an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PLW-0 and PLE-0 (up to 1, 000 ㎍/㎖)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peritoneal macrophages and Colon 26-M3.1 carcinoma cells. In contrast, they enhanced lymphocyte proliferation activity.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PLW-0 and PLE-0 produced various cytokines, such as IL-6 and IL-12. However, PLE-0 was more effective on the cytokine produc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PLW-0 and PLE-0 significantly augmented natural killer (NK) cell cytotoxicity against Yac-1 tumor cells 3 days after the treatment of polysaccharide fractions. But NK cells obtained from the PLE-treated group showed higher tumoricidal activity even at a low dose of 40 ㎍/mouse. In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of Colon 26-M3.1 carcinoma cells, prophylactic administration of PLW-0 and PLE-0 significantly inhibited lung metasta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PLE-0 was more effective on the inhibition of cancer metasasis. The results lead us to conclude that the pectinase treated process is indispensable to preparing polysaccharides with higher immune-stimulating activity from persimmon leave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