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

        81.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new orthosis controlling ankle and knee joint motion during the gait cycle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newly designed orthosis on gait kinematics and tempospatial parameters, including coordination of the extremities in stroke patients. Fifteen individuals who had sustained a stroke, onset was 16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application of the measurement equipment the subjects were accustomed to walking on the ankle-foot orthosis (AFO) or stance control knee with knee flexion assisted-oil damper ankle-foot orthosis (SCKAFO) for 5 minutes. Fifteen patients were investigated for 45 days with a 3-day interval between sessions. Measurements were walking in fifteen stroke with hemiparesis on the 3D motion analysis system. Comparison of AFO and SCKAFO are gait patter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FO and SCKAFO conditions was significant in the gait velocity, step length of the right affected side, stance time of both legs, step-length asymmetry ratio, single-support-time asymmetry ratio, -thigh angle and -shank angle in the mid swing (p<.001). Using a SCKAFO in stroke patients has shown similar to normal walking speeds can be attained for walking efficiency and is therefore desirable. In this study, the support time of the affected leg with the SCKAFO was longer than with the AFO and the asymmetry ratio of single support time decreased by more than with the AFO. This indicates that the SCKAFO was effective for improving gait symmetry, single-support-time symmetry. This may be due to the decrease of gait asymmetry. Thus, the newly designed SCKAFO may be useful for promoting gait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coordination of the extremity and decreasing gait asymmet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4,000원
        8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ly, sky-bridge are often applied to high-rised adjacent buildings for pedestrian bridge. the seisnic response control of adjacent buildings have been studied and magneto-rheological(MR) fluid dampers have been applied to seismic response control. In this study, vibration control effect of the MR damper connected adjacent buildings has been investigated. Adjacent building structures with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were used as example structures. Two typed of control methods, displacement based or velocity based, are applied to determinate control force of MR damper. In this numerical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displacement-based control algorithm is more effective than velocity-based control algorithm for seismic response control of adjacent buildings. And, when displacement-based control method is applied to control of adjacent buildings, the control of building occurred large displacement is more efficient in reducing the seismic response.
        4,000원
        83.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a mass damper was proposed and the plan on its practical application for wind-induced vibration control of a super-tall building was introduced. The damper was developed to generate forces which were calculated by both linear and nonlinear control algorithms. A controller in which the control algorithms were embedded was developed and it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damper with the controller could show dynamic behavior as a designer had intended. A preliminary design of a super-tall building with the damper was conducted. As a nonlinear algorithm, decentralized control algorithm which only requires to measure damper-installed floor response in order to calculate the control force was proposed.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damper could provide better or at least equivalent control performance than the usual active/hybrid type damper controlled just by existing linear control algorithms.
        3,000원
        8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진은 최근 U자 형태인 액체댐퍼의 수직관을 다수의 셀(사각 기둥)로 나누어 셀 상부를 개폐함에 따라 다양한 고 유진동수를 쉽게 재현하는 새로운 멀티셀 액체댐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댐퍼를 1층 건물 모형에 설치하여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여 건물응답이 감소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64층의 풍응답인 가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댐퍼를 설계하기 위하여 건 물을 1자유도계로 축소하였다. 가속도 기반 상사비인 1/20를 적용하여 1층 건물 모형과 새로운 댐퍼를 제작하였다. 설계 진 동수인 0.65Hz가 구현되도록 모형건물의 질량과 강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식으로 제작하였다. 모형건물은 중량 을 부담하는 질량부와 하부에 스프링과 LM guide가 설치된 구동부로 나누어서 제작되었다. 18개의 셀을 가지는 액체댐퍼 를 제작하여 고유진동수 조절 범위가 0.65Hz~0.81Hz인 것을 파악하였다. 대형 진동대에 설치한 모형건물의 일방향 가진을 통하여 모형의 응답을 측정하고 모형상부에 멀티셀 액체댐퍼가 설치되었을 경우 모형의 응답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진동 대 가속도를 입력과 모형건물의 가속도를 출력으로 하는 전달함수를 통해 결과를 나타내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멀티셀 액 체댐퍼의 고유진동수를 건물의 진동수에 동조시켰을 경우 건물의 가속도 응답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5.
        2012.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new shape damper and suggestion for seismic silo structure, which contribute to increase significantly seismic performance and constructional efficiency. The suggested N.B.B.D system is more likely to adoptable because it remarkably contribute to save inter-story drift also to have many advantages compared with conventional X or K type braced frame.
        86.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내력벽 시스템에 대하여 연결보의 단부에 적용이 가능한 박판형 금속감쇠기의 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박판형 금속감쇠기의 박판 두께와 길이를 변수로 하여 5개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층간변위비 5%까지 반복하여 횡력을가력하였다. 실험결과, 금속 박판에 좌굴발생 후 소성변형이 발생하면서 에너지 발산이 이루어졌으며, 기존의 일반 콘크리트 시험체보다에너지 발산량이 크게 나타났다. 박판의 길이가 짧을수록 전단내력의 값은 증가하였으나 발산에너지의 양의 증가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내력을 탄성좌굴해석과 비교한 결과, 해석에 의한 내력은 내력곡선 선형영역의 최대값을 적절히 예측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풍진동 제어 기술의 하나로 현재 대부분의 초고층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는 아웃리거 시스템에 댐퍼를 설치한 아웃리거 댐퍼 시스템에 대하여 수치해석모델과 상용 구조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한 모델을 사용하여 최적설계 및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아웃리거 댐퍼의 거동 특성을 반영하도록 상태방정식을 사용한 단자유도 수치 모델을 설계하였고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최적설계를 위한 다자유도모델을 설계하였다. 강성이 고려되지 않고 오직 댐퍼의 감쇠에 의한 최적 위치는 최상층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간 이상의 층에서는 댐퍼의 높이에 따른 성능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강성과 감쇠가 복합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실제 구조물의 경우 최적의 위치가 최상층이 아닌 다른 층에 존재한다. 아웃리거 댐퍼시스템은 기존 일반적인 아웃리거 시스템과 비교할 때 가속도 응답을 줄이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8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고유진동수 조절이 가능한 멀티셀 액체댐퍼를 개발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댐퍼의 기본적인 형태는 기존의 Liquid Column Vibration Absorber(LCVA)와 같다. 그러나 이번에 제안한 액체댐퍼는 기존 LCVA의 수직관을 일정한 면적의 독립된 셀로 나누었으며 이 셀을 각각 밀폐시킬 수 있게 하여 수직관의 면적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댐퍼의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액체댐퍼는 밀폐된 셀 개수를 조절하여 진동대 실험을 통해 댐퍼의 고유진동수 특성을 파악하였다. 진동대 실험에서 나온 고유진동수와 이론적으로 산정한 고유진동수를 비교하여 댐퍼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액체 댐퍼의 수직관의 면적 조절을 통해 고유 진동수 조절이 용이하여 실제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9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마찰 감쇠기를 사용한 기존 구조물의 제진보강 설계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보강된 구조물의 목표 지붕층 변위는 기존 구조물이 급격한 강도의 저감없이 보유내력을 발휘할 수 있는 최대변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결정하였다. 보강 구조물의 변위는 비탄성 변위비 제안식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80개의 지반운동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제안된 방법은 보강 구조물의 지붕층 변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 흡수형 강재 댐퍼를 이용하여 손상순서를 제어함으로써 주구조체를 재사용 할 수 있는 철골조시스템을 개발하고, 지진응답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강재 댐퍼의 형상을 제안하고, 제안된 강재 댐퍼의 변형 형상과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ver.10.0)을 이용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진응답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대형 사이즈 5.4m×2.4m의 1층 철골조 실험체 4개를 설계 및 제작하여 유사동적 지진응답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강재 댐퍼를 제진요소로 사용하는 경우, 주구조체에 비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 댐퍼가 소폭의 변위에 먼저 소성화함으로써 이력에 의한 지진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지진응답에서 유리한 것이 판명되었다.
        4,000원
        9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진동제어에 있어서 준능동제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며 준능동제어 시스템은 수동제어와 능동제어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적은 전기 에너지로 제어가 가능한 MR 감쇠기가 개발되어 준능동제어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MR 감쇠기를 스마트 감쇠기라 불리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제어가 가능한 MR 감쇠기를 인접한 두 건축물 사이에 설치하여 제어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groundhook과 skyhook 제어 알고리즘을 결합한 복합제어 모델을 인접한 건축물의 진동제어에 적용하여 복합제어 모델의 제어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복합제어 모델을 적용하여 인접한 두 건축물의 진동제어 성능을 분석한 결과, 복합제어 모델이 인접한 두 건축물의 진동제어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9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하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저감함으로써 구조물의 내풍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동조질량감쇠기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초고층 초장대 구조물과 같이 매우 큰 주기를 가지는 구조물에도 그 적용방안이 확대되고 있다. 구조물이 가지는 초장주기 특성에 의해 TMD의 거동 또한 초장주기 특성을 보유하게 되고 구조물 진동변위의 수 배에 이르는 질량 이송거리가 요구된다. TMD의 이송거리가 매우 커짐에 따라 TMD 설치공간을 초과할 뿐만 아니라 TMD를 구성하는 스프링, 가이드 레일과 같은 부품의 제조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제어성능을 유지하면서 이송거리(stroke)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TMD를 제안하고 이들이 구조물의 진동제어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제안하는 TMD는 이송거리에 따라 마찰력이 조정되는 장치로써 이송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최대 이송거리를 줄이는 시스템으로 이러한 변동마찰에 따른 구조물의 제어성능, 이송거리 저감을 초장주기 독립주탑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엿다. 해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동마찰형 TMD는 기존의 선형 TMD에 비해 이송거리를 크게 줄이면서 진동저감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4.
        201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s a part of the seismic retrofitting for school buildings, proposed of a new type of rotary friction damper, reviewed the performance and developed a experiment formula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The rotary friction damper was composed of 4 shear plane using 2 friction pad. Considering a variety of yield moment, it was designed that clamping forces can be applied. The number of bolts were 9, 13 and thε clamping forces were 8 levels that the maximum load is the standard clamping forces. ±20mm displacement of the cyclic loading test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records of friction damper were stable. But sliding was ensured if the stress is 10-15% of the relation formula of sliding load in KBC 2009 by the bolts joining. However, when it is designed of that were inserted additional members for implementation of friction, the design of the level of 10% of the formula in KBC 2009 will be possible. And the design equation that is converted into the moment-rotation is proposed for the detailed design.
        4,000원
        9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풍하중을 받는 고층 구조물의 진동저감을 위하여 사용되어온 전단형 점탄성 감쇠기의 2D, 3D FEM 모델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해석하여 점탄성재료와 이들을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재료의 특성이 에너지 소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특히 점탄성재료와 강재의 접합방식 및 크기, 형상등이 에너지 소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정밀해석과정을 통하여 점탄성 감쇠기의 이력거동을 고찰 분석하고 이를 댐퍼설계에 활용하기위한 설계식을 제안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4,000원
        96.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als with the design of a bi-directional liquid damper for a SDOF structure. Two dampers are usually needed to reduce wind-induced responses of tall structures since they are along and across wind ones. The proposed damper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both responses with a single damper. The damper shows dynamic behavior of both tuned liquid column damper (TLCD) and tuned sloshing damper (TSD) in the direction of two axes perpendicular with each other.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verification to confirm its control performance. First, shaking table test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ducing responses of a SDOF structure by the damper. Control performance of the damper is expressed by the transfer function from shaking table accelerations to SDOF structure ones. Testing results show that the damper reduced bi-directional responses of a SDOF structure. Also, it reduced torsion responses. It was confirmed from system identification results that damping ratio of a SDOF structure increased by the bi-directional liquid damper.
        4,000원
        97.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vertical extension type TMD(VE-TMD) whose vertically extended stories behave like a tuned mass damper, with Lead-Rubber Bearing(LRB) between the top of existing structures and the bottom of the extended stories was proposed. A shaking table tests for a 5-story reinforced concrete model, which is of 2.2 Hz natural frequency. A vertical extended model consisted of a steel frame, with two base isolators between the top of the RC model and the bottom of the extended stories. Those base isolators' lateral stiffness was equal to 31.392 kN/m which was calculated with the fundamental period plus 0.2 tonf, weight of a single story of the model. The test for the specimen was shaking table test excited by a harmonic loads for the fundamental period of the structure.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VE-TMD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by 40 % in displacement responses for all of frequency-domain.
        4,000원
        99.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nonlinear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tuned liquid column damper (TLCD) varying with the amplitude of excitation input are evaluated through shaking table tests and numerical model of a TLCD. The tuned mass damper (TMD) analogy of a TLCD is used to simplify the formulation, in which involves equivalent viscous damping of the inherent nonlinear damping term of a TLCD. The equivalent TMD model of a TLCD shows that the dynamic behavior of a TLCD is affected by the natural frequency, the damping ratio and the ratio of total liquid mass to the mass in horizontal column of a TLCD. Shaking table test is performed to obtain experimental transfer functions that describe the dynamic behavior of a TLCD specimen subjected to a harmonic loading with various excitation amplitudes. Transfer functions for various excitation amplitudes are measured from shaking table acceleration to both the liquid displacement within a TLCD container and the control force produced by a TLCD specimen. Also, the dissipation energy due to the inherent damping of a TLCD is measured from the shaking table test varying with excitation amplitude. The variation of design parameters of a TLCD according to the excitation amplitude i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transfer functions obtained from the shaking table test to those derived from the TMD analogy of a TLCD. Thes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natural frequency and the mass ratio of a TLCD are independent on the variation of excitation amplitude, while the damping ratio of a TLCD increases with larger excitation amplitude.
        4,000원
        100.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rise apartments of shear wall system are governed by flexural behavior like a cantilever beam. Installation of the damper-brace system in a structure governed by flexural behavior is not suitable. Because of relatively high lateral stiffness of the shear wall, a load is not concentrate on the brace and the brace cannot perform a role as a damping device. In this paper, a friction damper applying flexibility of shear wall is proposed in order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a structure.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riction damper,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is executed by SeismoStruct analysis program and MVLEM(Multi Vertical Linear Element Model) be used for simulating flexural behavior of the shear wall. It is found that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riction damper is superior to one of a coupled wall with rigid beam.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optimal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riction damper is equal to 45% of the maximum shear force inducing in middle-floor beam with rigid beam.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