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시대에 접어들어 어느 때보다 은퇴 이후의 삶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은퇴준비와 관련하여 연구되지 않았던 현 직장에서의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서 노후생활인식이 매개변수로 작용 하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적 연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공무원을 대상으로 은퇴준비의 하위변인인 재정·주거준비, 경제활동준비, 건강관리 등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노후생활인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독립변수를 은퇴준비, 종속변수를 직무만족도, 매개변수를 노후생활인식으로 각각 설정한 후, 그 하위변인을 구성하여 서로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준비, 노후생활인식, 직무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은퇴준비는 노후 생활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후생활인식은 은 퇴준비와 직무만족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려동물시장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관련 법이나 직업에 대한 인식의 수준은 열악하다. 우리나라에서 '동물간호복지사'는 특별한 자격 기준이나 교육과정 없이 취업이 가능 한 상태이며 직업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는 반면 그들에 대한 실태조사 등의 정보는 접하기 어렵다. 따라서 그들을 대상으로 근무시간과 업무, 만족도, 그에 따른 요인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SNS와 전화, 직접방문을 통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동물병원에 근무하는 동물간호복지사 1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결과, 급 여와 비교하여 과도한 업무량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직업만족도에는 ‘일에 대해 보람(80.5 %)’이, 불만족도에는 ‘급여’ 부분이 1위(82 %)를 차지하였다. 그들의 업무환경에 관심을 갖고 반려동물시장의 발달과 함께 직업의 전문성 향상과 그에 따른 대우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은 직무수행과 관련된 동기 및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가 지역사회 내의 전문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전문성과 직무성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이 직무만족과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요인을 찾아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을 높이고, 임파워먼트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SPSS Statistic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활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상호작용공정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requent accidents of workplace in Korea make workers consider their more than before.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 r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mediational model to drive proactive and complia nce safety behaviors. The conceptual model of safety behaviors focuses on company’s safety behaviors perceived by workers. The model explains how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ffect safety outcomes, compliance safety behaviors and proactive safety behaviors, through the mechanism of situational related factors and personal related factors.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safety knowledge of workers and communication styles moderate the effect of safety climate on compliance safety behaviors and proactive safety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Korean workers using survey and analyzed by AMOS 22.0.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calls for greater alignment of the public with the private sector practices,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investigating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incorporating also internal customer and internal supplier satisfaction. The study incorporates a detailed statistical analysis (Instrumental Variables approa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responses from 511 front-line employees in the public sector. Given the fact that Instrumental Variables approach controls for endogeneity, we can safely infer the existence of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s with any study, several limitations may apply, including other factors that could interven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SO and JS, greater sample size, and investigation among individuals of a single nation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to take initiatives towards enhancing public front-line employees‟ satisfaction as internal customers, and in turn their job satisfaction for improving delivery of services in public organizations. Our findings extend the line of research in service related theory within the public sector. Interestingly,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is also new to the private domain.
본 연구는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G시의 3개학과 간호보건계열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 동기에 따라 전공만족도(F=9.856, p<.001) 및 진로성숙도(F=6.005, p=.001)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점은 진로성숙도(F=2.755, p=.042) 및 취업스트레스(F=3.503, p=.016)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토익점수는 전공만족도(F=4.514, p=.004)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r=-.314, p<.001)와 진로성숙도(r=-.514,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125, p=.007), 진로성숙도(β=-.459, p<.001)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저학년 때부터 학과별 특성에 맞는 전공지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진로지도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교정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미국 연방교정국의 여성 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과 업무노력을 종속변수로, 내적동기, 참여, 발전지원, 조직공정성 등의 동기요인과 보수 만족, 성과주의, 업무량, 물리적 환경 등의 위생요인을 독립변수로, 응답자의 인구통계 학적 변수인 관리자, 소수인종, 학력, 근속년수 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동기가 직무만족과 업무노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 역시 직무만족 및 업무 노력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에 따라 승진 및 보수를 결정하는 성과주의 조직풍토는 직무만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업무노력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성과주의의 확립과 이로 인한 남성과의 공정한 경쟁이 보장된다는 사실에 만족감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가정 및 직장의 이중부담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에 더 취약한 여성의 경우 경쟁증가로 인하여 업무노력이 저해되는 부정적 효과가 남성에 비하여 더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결과가 참여적 관리의 효과에서도 관찰되었는데, 여성은 자신의 의견이 조직운영에 반영될 때 만족감이 상승하기는 하지만, 이 역시 자신의 업무부담의 증가를 의미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업무노력정도가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석은 업무량의 적절성이 직무만족 및 업무노력 모두에 성과주의 확립보다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도 그 정당성이 뒷받침된다.
본 연구는 영상제작 인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문영역 및 다양한 직급의 영상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만족도와 관련요인들의 직간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밝힌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이들의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의사소통 능력이나 대인갈등 요소에 의하여 증가 혹은 감소되는 지에 대한 이중매개효과를 입증하고, 셋째, 최근 영상제작분야에서의 성차별 문제에 대한 증대된 관심과 함께, 전술한 영상제작 인력의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뿐 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의 이중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규명해 볼 수 있도록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업무자율성을 많이 가질수록 직업만족도도 높다는 사실이 밝혀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업무자율성이 매우 중요한 선행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긍정적 직접효과는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두배 이상 월등히 강하게 나타난 점이 주목된다. 셋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남성의 경우 의사소통능력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여성의 경우에서만 대인갈등을 매개로 약화되었는데, 이러한 대인갈등의 부분매개효과는 여성에게서만 발견되었다.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 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영상제작 인력의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중집단 즉 남교사와 여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만족도의 차이가 교육행정과 교육심리 영역 중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학교의 조직 문화와 조직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사의 전문성 개발, 교사-학생간의 관계와 교직만족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에 따른 차이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의 경우 남교사의 평균이 여교사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교사-학생관계의 경우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사의 전문성 개발, 그리고 교사-학생관계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사효능감의 경우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 교직만족도에 미미하지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달리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교사-학생관계의 경우 남교사의 표준화계수가 여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의 변수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볼 때 다중집단에 따른 교사효능감이 교직만족도, 교사의 전문성개발, 교사-학생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유의미성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간접적으로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토대로, 정부나 일선학교현장에서 교사효능감과 관련한 바람직한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조직에서 구성원의 도전적 목표달성을 위한 자발적 노력이 중요해지면서 높은 수준의 성취가 요구되 는 상황에서 개인이 어떠한 목표를 선호하는가를 의미하는 목표지향성의 개념은 많은 학문적 관심을 받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목표지향성 중에서 학습을 통한 업무 능력의 향상 및 성장 관련 목표를 추구하고 자 하는 욕구를 의미하는 학습목표지향성과 탁월한 업적을 창출하거나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타인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자 하는 목표를 추구하는 욕구를 의미하는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은 직무에 대한 태도 및 성과와 관련 있는 목표지향성의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두 유형은 도전적 상황을 해석하고 대응 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직무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와 상이한 관계성을 맺을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조직구성원이 보유하는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경력 성공으로써 구성원의 경력에 대한 몰입 수준에 따라서 두 유형의 목표지향성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을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증명목표지향성으로 구분 하고, 이 두 유형의 목표지향성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진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차별 적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국내 직장인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습목표지향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적 고갈에 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예상과는 달리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이 높을 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졌으며, 정서적 고갈에는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몰입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는 경력몰입이 낮을수록 학습목표지향성과 직무만족간의 정(+)의 관계 는 강해지는 반면, 학습목표지향성과 정서적 고갈의 부(-)의 관계는 경력몰입이 높을수록 강해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을 보유한 구성원의 경우, 경력몰입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은 증가하는 반면, 경력몰입이 낮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이 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경력몰입이 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목표지향성과 직무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보면, 본 연구는 학습목표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에게 학습을 동반 한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업무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을 보유한 구성원의 경우에 는 승진 등 경력목표를 과도하게 추구함으로써 정서적 고갈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논문의 말미에 제시하였다.
전통적인 가정에서는 자녀양육을 대부분 가정에서 부모들이 하였으나,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맞벌이 부 부들의 증가로 가정에서 유아들을 양육할 양육자가 없어지게 되므로 유아들을 대신 보육할 어린이집을 필 요로 하게 되고, 보육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보육정책에 있어서도 저출산 과 고령사회 진출로 인하여 영유아의 양육과 교육, 복지서비스 등이 국가의 책무영역으로 강화되고 있다. 과거의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 변화하면서 보육의 질과 서비스에 관해서도 차별화를 요구하며 맞 춤서비스로 전환되어 가기도 한다. 영유아들이 많은 시간을 부모와 떨어져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다보니 보 육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보육교사의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셀프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중요시되며,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는 조 직몰입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로,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셀프리더십을 높일수 있는 정책적 대안과 프로그램 개발과 근무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비서직 여성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와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일-가정 갈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요구와 결과변인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에 대한 조절효과를 종합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현직 비서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비서직 여성노동자 13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여성노동자가 지각하는 높은 직무요구는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보였고,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은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생활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부정적 효과는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 crucial factor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at it affects their dedication and participation. Whil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has been sparsely explored. Thus, this study investiaged both general an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and compared them. A total of 117 secondary English teachers in Seoul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measures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seven factors: relationship with people, job duties, work environment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nsations, administration systems, and recognitions. Overall, the participants showed a modest level of satisfaction in both general and subjet-related jobs. Yet,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general job satisfaction. They were particularly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teachers. They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they receive as a teacher as well as an English teacher. In contras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compensations and workloads in general,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teaching English. Finally, their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gender, school type, position, and marriag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to enhance secondary English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salespeople's self-determination, shared valu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a fashion compan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75 salespeople who worked in fashion shop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vi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determination was extracted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Only the relatednes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addition, recognizing hared val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hereas, the practice of shared val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rmal, but not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versely,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but was not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Moreo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within fashion companies are discussed in the concluding section of this paper.
목 적: 안경과 콘택트렌즈 구매장소에 따라 안경사의 직무신뢰도 및 안경과 콘택트렌즈 가격의 만족도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5년 5월에서 6월 두 달 동안 대구·경북, 부산·경남지역의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고객을 대상 으로 안경과 콘택트렌즈 구매 장소, 안경사의 판매 및 검안에 대한 신뢰도 및 안경과 콘택트렌즈 구매가격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직무신뢰도에서 검안은 남자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3.89±0.88), 가격만족도에서는 모두 여자 의 평균값이 높았다(3.18±0.72). 구매장소에 따른 상관관계에서는 비 프랜차이즈의 검안신뢰도가 가장 높 았다(3.99±0.91). 결 론: 구매장소에 따른 직무신뢰도와 가격만족도에 대하여 일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신뢰도와 가격만족도를 높이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본 집약적 환경에서 지식 집약적 환경으로 전환하면서 많은 기업들은 무형의 자본에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인간관계 중심의 경제 네트워크인 사회적 자본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조직의 무형 자본이 진정으로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는 자원이라면 조직 내의 사회적 자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밝힐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 대부분이 조직의 보유자원이 성과에 영향을 준다 는 것에 관해서는 공통된 의견을 나타내고 있지만, 사회적 자본이 어떻게 성과로 연계되는지에 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이 성과로 연결되는 경로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 이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관한 운영 프로세스가 분명하게 밝혀져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차원들인 구조적 차원(예; 유대강도), 인지적 차원(예; 공유된 가치 및 규범), 관계적 차원(예; 구성원들 간의 신뢰) 간의 인과적 관계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과 직무만족, 협력행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중소 제조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고 공변량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차원이 관계적 차원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 중 인지적 차원 역시 관계적 차원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차원, 인지적 차원, 관계적 차원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직무만족은 협력 행동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자본 3가지 차원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직 내 구성원들의 긍정적 인 행동인 협력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s perceived by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data concerning efficient job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s, to determine effects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on job satisfaction in nutrition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improve school meals. Major supporters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were chief administrators (55.3%), principals (27.2%), assistant principals (15.0%), and managers in charge (2.4%).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cored 3.38 for perception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3.66 for emotional support, 3.27 for informational support, 3.22 for instrumental support, and 3.11 for evaluation support. Support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by school managers included emotional support (3.66)>informational support (3.27)>instrumental support (3.22)>evaluative support (3.11).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cored 3.37 for job satisfaction, as follows: work performance (4.19)>interpersonal relationships (3.39)>job satisfaction in general (3.37)>job itself (3.29)>job environment (3.07)>performance rating and benefits system (2.70).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erception of school administrator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r= .771, p< .01). Therefore, school administrators are necessary to provide evaluative supports to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performance assessment, employee benefit packages, and improvement of school meal plans and quality.
The organization which is does sale activity in 21c, face a radical environment changes and high competition. To overcome from these situation, employee who is does sale in field are important to set sustainablity to the organization. A sales person is one of member in organizations, so they have a relation with other employee in process of job. To increase ther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LMX is focused by many researchers. LMX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which can increase job performance thought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of employee can has moderate effect between LMX and organizational justice. To figure out casu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researcher conduct a empirical analysis use 210 samples from SME saleman. Result of empirical study show us every hypothesis which researcher set up has supported. Based on this result, reseacher provide manageric implications and conclu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