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신장애 진단 분류지침서(DSM-III)가 1980년에 소개된 이래, 반응성 애착장애(RAD)는 오로지 유아들을 진단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병인이 제시 되어야 한다는 두 가지 이유로 딴 진단들로 부터 구분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저자는 다음의 연구질문을 가지고 반응성 애착장애에 관해서 폭넓게 문헌조사를 하였다. 첫째, RAD의 정의는 한 가지 장애로 명시하기에 구체적이고 적절한가? 둘째, RAD는 과연 애착장애 인가? 셋째, 병원성 케어가 RAD를 유발하는 유일한 선행 조건인가?; 넷째, RAD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단일 사정도구만으로도 가능한가? 다섯째, RAD를 가지고 있는 어린이들을 위한 가장 성공적인 치료법은 무엇인가? 이상의 질문에 관한 해답을 찾기 위해 1998년 이후에 발간된 책들과 전문지(애착장애 이론을 소개한 초기 논문들은 예외)를 Google Scholar, Psychological Abstracts, Social Work Abstracts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통해서 추출한 자료들을 문헌조사 범위로 삼았다. 반응성 애착장애는 인간애착에 관한 연구와, 병적 케어로 인해 발생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애착장애에 관한 연구에서 파생 되었는데, 이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은 반응성 애착장애는 애착장애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반응성 애착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애착의 질을 개선할 필요가 없으며, 반면에 애착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미 손상을 입은 그들의 애착 능력을 교정 해 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반응성 애착장애는 애착장애로 분류되어 있지만, 애착보다는 부적응 사회행동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그 분류 기준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비난과, 몇 연구들에서 병적 케어가 반응성 애착장애의 원인이라는 증거를 찾지 못했으며, 반응성 애착장애를 애착장애의 하나로 보는 진단 타당성에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nematicides on endospore attachment characteristics of 2 Korean isolates of nematodeparasitic bacteria, Pasteuria penetrans. P. penetrans CJ-1 and 98-35 isolates and 3 species of root-knot nematodes in U. of Florida were used ; Meloidogyne incognita (MI), M. arenaria (MA), and M. javanica (MJ). Three nematicide levels of 2, 4, and 6 ppm were compared by treating Vydate and Nemacur in the endospore containing soils. The endospores were attached to the root-knot nematode juveniles by centrifugal method. Reproduction of the isolates was checked by observing root-knot nematode females harvested from inoculated tomato roots.
1. Among the two Korean isolates, 98-35 showed attachments to MI, MA, and MJ juveniles, but it could not reproduce in any species. CJ-1 reproduced on all the 3 tested root-knot nematode species.
2. Endospores pretreated in -14°C showed higher attachment rate than those pretreated in 4, 24, and 40℃.
3. Nemacur treatment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attachment of the endospores to the juveniles, while Vydate treatment effects were negligible.
The attachment and adhesion of RAW 264.7 and MC3T3-E1 cells to titanium (Ti) discs with various degrees of roughness was investigated. The attachment, adhesion, and proliferation of these cells were evaluated after 4 hr, 24 hr and 7 day incubations. Both RAW 264.7 and MC3T3-E1 cells showed a time-depend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adhesion on the surface of the titanium discs. Both types of cells tended to have higher survival rate on these discs as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The percentage of adherent inflammatory RAW 264.7 cells was greater than MC3T3-E1 cells at 24 hr, but this was reversed at 7 days in culture. The morphology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at 24 hr, determined using a surface emission microscope (SEM), appeared flattened and spread out while inflammatory RAW 264.7 cells were predominantly spherical in shape. The adhesion of both cell types on the titanium discs was dependant on the levels of fibronectin adsorbed on the disc surface, indicating that serum constituents modulate the efficient adhesion of these cells. Our data indicate that the cellular response to the titanium surface is dependent on the types of cells, surface roughness and serum constituents.
기술의 발전, 거대자본, 소비자의 요구수준 증가로 게임은 이제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모습을 많이 닮아가고 있다. 우수한 콘텐츠를 여러 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오늘날의 OSMU방식은 게임과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서로 자유롭게 넘나들게 하였다. 그러나 게임과 영화는 오래전부터 상호간에 영향력을 끼쳐왔으며 단지 오늘날에 와서 대규모의 모습을 갖게 된 것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게임화나 게임의 영화화는 영화의 ‘스토리적 내러티브’와 게임의 예측 불가능한 ‘가능성적 내러티브’라는 상이한 특성으로 매체 이동 후의 컨텐츠 완성도가 그리 높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기 게임에서 영화화되어 비교적 좋은 성적을 거둔 ‘툼레이더’의 ‘라라 크로포드’ 캐릭터를 심리학의 애착(Attachment) 이론과 자기 애성(Narcissism)이론을 바탕으로 어떻게 성격을 부여했는지를 알아보았고, 반대 경우인 영화에서 게임으로 제작된 것에서는 차용(借用)형, 재현(再現)형, 부연(敷衍)형, 연결(連結)형 4가지 분류로 나누어 살펴봄으로 그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게임 산업을 이끌고 있는 온라인게임은 스토리의 끝이없는 열린 구조로서 영화로 만들기에는 어려움이 많지만 온라인 게임의 넓은 세계관과 다양한 설정은 충분히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스토리 개발과 정교한 기획, 심도 깊은 캐릭터성을 부여한다면 영화제작을 통해 양쪽 모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우수한 영화나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동기에 있어서 사교성과 공격성이 그들의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인터넷게임 동기(사교성, 공격성)에 따라 가상적 대인관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인터넷게임 동기는 그들의 가상적 대인관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공격성보다는 사교성의 동기로 인터넷게임을 하도록 장려하고, 올바른 가상적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eriodontal disease to self-reported history of stroke in the elderly(60 years of age and older) with a special emphasis on elderly women.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HANES III), a large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of the United State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Since we have 1,563 edentulous subjects from a total of 5,123 subjects and periodontal disease is a major cause of tooth loss, it was necessary to account for this in our statistical analysis. Hence, we developed a new index called the Periodontal Health Status(PHS) index.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stratification by gender, mal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PHS) and stroke history. In contrast, females showed some marginal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PHS) and stroke history. Further longitudinal intervention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trok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relative clauses (RC) by English speakers of L2 Korea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if these learners employ the same parsing strategy as native Korean speakers in the processing of a complex NP followed by a RC. Processing strategies were investigated with two different conditions, which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animacy presence in the second NP of a complex NP (e.g., chayk-ul ilk-nun apeci-uy atul ‘the son of the father who is reading a book’: [+ani, +ani] condition vs. kyosil-ey iss-nun haksayng-uy chayk ‘the book of the student who is in the classroom’: [+ani, -ani] condition). Korean speakers showed equal preference in the [+ani, +ani] condition, while they showed low attachment (LA) preference in the [+ani, -ani] condition. On the other hand, English speakers showed LA preference in both conditions. We assume that this LA preference by the English speakers might have been due to either the universal processing principle (recency) or influence from their L1, both of which make the same attachment site. The source of the Korean speakers diverging behavior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difference in verb meaning used in each conditi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wo language groups leads us to propose that English speakers do not rely on the same processing strategies as Korean speakers.
최근에 수행된 보 플랜지 절취형 (Reduced Beam Section, RBS) 내진 철골모멘트접합부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보 웨브를 볼트 접합한 시험체는 보 웨브를 용접 접합한 시험체에 비해서 조기에 스캘럽을 가로지르는 취성파단이 발생하는 열등한 내진성능을 보였다. 실험결과에 의할 때, 이러한 접합부 취성파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웨브 볼트의 슬립과 고전 휨이론에 의한 예측과는 전혀 다른 응력 전달메카니즘에 의한 스캘럽 부근의 응력집중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는 고전 휨이론에 기초한 전통적 보 웨브 볼트접합부의 설계법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전 휨이론에 기초한 현행의 보 웨브 설계법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실험 및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RBS 접합부의 실제 응력전달경로에 부합되는 새로운 보 웨브 볼트접합 설계법을 제안하였다.
갈파래의 포자가 부착한 Agar와 Agarose코팅필름은 agar, agarose 또는 메탄놀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표면의 성질을 나타냈다. Sigma agarose 코팅필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포자 부착이 일어났다. Bacto agar과 그외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에 부착한 포자는 Sigma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보다 12∼36배나 적었다. 2.5%와 5% 의 SeaKem agarose와 Bacto agar 코팅필름의 비교에서 두 개의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mulus cell attachment and various factors on in vitro maturation of pig foflicular oocytes. Oocytes with various configuration of cumulus cell mass were collected ftom ovaries of mature gilts by asperating with syringe equipped with needles of different gauges, follicle size and with or without cumulus cells. They were cultured in TCM-199 mediun containing FGS(fetal calf serum) for 30~48 hours in incubator with air containing 5% at 38.5. Mter orcein staining at in vitro maturation condition, GV, GVBD, anaphase, telophase and M II were observed. Results are surumarized as follows: 1. Recovery rates were 55.8, 55.5 and 34.4% when the cumulus-compacted oocytes were collected with 18, 21, 26 gauge needles of syringes, respectively. 2. 79% of oocytes with compacted cumulus cells were at GV stage and most of the oocytes with partially denuded and denuded cumulus cells were from GVBD to M- II stages. 3. Percentage of mature oocytes among those which are follicular diameter of 1~2, 3~6 and over 6 mm was 42.6, 53.2 and 60.8%, respectively. 4. Percentage of mature oocytes among those which are compacted, partially denuded and denuded was 60.5, 46.2 and 35.4% respectively. 5. Percentage of mature oocytes in co-cultured with monolayers of cumulus cells was higher (57.1%) than that found with oocytes cultured alone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