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8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 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8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지역 원예작물 시설재배지에 발생하는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작물과 관계없이 acetamiprid (8%) SP, clothianidin (8%) SC, imidacloprid (10%) WP, thiacloprid (10%) WG와 같은 네오니코티노 인드계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과채류 재배지 채집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 acetamiprid + spinetoram (6+4%) SC와 clothianidin + spinetoram (6+4%) SC, methoxyfenozide + spinetram (6+4%) SC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실내에서 꽃노랑총 채벌레에 살충효과가 높았던 약제를 대상으로 채집지역과 대상작물을 동일하게 화성지역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포장검정을 수행한 결과 spinetoram (5%) WG의 경우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87.4, 88.0, 98.3%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imidacloprid (10%) WP는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1.7, 24.1, 43.6%로 나타나 실내검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원예작물 꽃노랑총채 벌레 방제를 위해서 살충제 선택의 폭이 좁은 가운데, 스피노신계와 피롤계의 약제들이 타 계통의 약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구 체적으로는 스피노신계의 spinetoram과 spinosad의 함량을 각각 4, 10% 이상 함유하거나 피롤계의 chlorfenapyr가 5% 이상 함유된 단제 또는 혼합제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83.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in extracts derived from 23 medicinal crops. Dried plant materials were extracted by 80% m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used to experiment. The level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much higher in Oenothera biennis, Houttuynia cordata, Cedrela sinensis, Rhus javanica, Artemisia annua, Reynoutria sachalinensis, and Dendropanax morbifera compared with other crops. On the other hand, the total phenolic compound levels in Carthamus tinctorius, Polygonum multiflorus, Ginko biloba, Solanum nigrum, and Saposhnikovia divaricata were relatively low.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H. cordata, followed by D. morbifera, A. annua, A. continentalis and O. biennis. DPPH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annua, R. javanica, C. sinensis, D. morbifera and O. biennis, and ABTS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 javanica, C. sinensis, O. biennis, R. sachalinensis, A. annua, and D. morbifera than other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 biennis, A. annua, R. javanica, D. morbifera, and R. sachalinensis can be utilized as food additives and natural antioxidants due to their strong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8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nalyzed the variation in occurrence time and intensity of attacks by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on several crops. We found similar occurrence patterns of C. suppressalis in different crops. Overwintering larvae showed no difference in pupal period and weight compared to the non-overwintering ones. However, the larval period was reduced to 19.1 days in Miscanthus field, in contrast to that in the paddy fields. Efficiency of the emergence trap was confirmed to be greater than that of the delta trap for capturing C. suppressalis adult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rol period because of the advancement in occurring time of C. suppressalis in recent years. The larvae of C. suppressalis experience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overwintering in Miscanthus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put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methods.
        8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icidal susceptibility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and greenhouse conditions using commercial insecticides at their recommended concentrations. Neonicotinoid insecticides, especially acetamiprid SP, clothianidin SC, imidacloprid WP and thiacloprid WG were not toxic to F. occidentalis collected from horticultural crops. Excepting the insecticide of spinosin or pyrrole class, there was a little class of insecticide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F. occidentalis in horticultural crop areas. Considering all the results in this study, spinosin insecticides including over 4 and 10% of spinetoram and spinosad, and pyrrole insecticide including over 5% of chlorfenapyr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F. occidentalis
        8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management of genetic resources on ICRISAT(International Crops Research Institute for the Semi-Arid Tropics) to promote exchange of germplasm and information. ICRISAT genebank at Patancheru, India has the responsibility to collect, conserve, characterize, document and distribute the genetic resources. Also, ICRISAT has performed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 tolerance, disease resistance, and functional compounds of genetic resources. ICRISAT has assembled more than 120,000 accessions of chickpea, groundnut, pigeonpea, pearl millet, sorghum, and six small millets. Since 1974 to 2008, ICRISAT provided 1,350,000 accessions with 144 countries to develop new cultivars. The provision pattern of genetic resources in ICRISAT showed that more than 80 % of each crop by the total holdings resources had been offered and that it is the direction of the ideal conserve and management of genetic resources. To evaluate their genetic resources (chickpea, groundnut, pigeonpea, pearl millet, sorghum, and six small millets), they made descritors for each crop and investigated their germplasms. This report would be meaningful to understand utilization and effect of the germplasms to be held at ICRISAT.
        4,000원
        8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analytical methods for ochratoxin A (OTA) and zearalenone (ZEA) in rice straw silage and winter forage crops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HPLC). Samples free of mycotoxins were spiked with 50 μg/kg, 250 μg/kg, or 500 μg/kg of OTA and 300 μg/kg, 1500 μg/kg, or 3000 μg/kg of ZEA. OTA and ZEA were extracted by acetonitrile and cleaned-up using an immunoaffinity column. They were then subjected to analysis with UHPLC equipped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alibration curves showed high linearity (R2 ≧ 0.9999 for OTA and R2≧0.9995 for ZEA). The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0.1 μg/kg and 0.3 μg/kg, respectively, for OTA and 5 μg/kg and 16.7 μg/kg, respectively, for ZEA. The recovery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of OTA were as follows: rice straw = 84.23~95.33%, 2.59~4.77%; Italian ryegrass = 79.02~95%, 0.86~5.83%; barley = 74.93~97%, 0.85~9.19%; rye = 77.99~ 96.67%, 0.33~6.26%. The recovery and RSD of ZEA were: rice straw = 109.6~114.22%, 0.67~7.15%; Italian ryegrass = 98.01~109.44%, 1.65~4.81%; barley = 98~113.53%, 0.25~5.85%; rye = 90.44~108.56%, 2.5~4.66%. They both satisfied the standards of European Commission criteria (EC 401-2006)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ized methods could be used for mycotoxin analysis of forages.
        4,000원
        9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increased the cultivating areas of several minor crops for medicine such as Glycyrrhiza uralensis, Astragalus membranaceus, Taraxacum platycarpum, Gynanchum wilfordii, and Purple granadilla, the occurrence of major pests and their damages were severed. Primarily occurred pests on five minor crops were observed small in size pests such as whiteflies, aphids and thrips, but the other pests are insignificantly infest. Whiteflies showed higher density in G. uralensis but its damage was insignificant level. Aphids were showed higher density at June in all minor crops and then sharply decreased the density with lower degree of damage. The high damage on initial growth stage will be judge to affect on the yield. Thrips on T. platycarpum showed higher density with 44.1%, compare to other crops, sharply increased the density in late-June and optimal peak in mid-July and decreased in late-Aug. Conclusively, major pests on crops, green peach aphid, mites species on A. membranaceus and G. uralensis, olender aphid, mites species and thrips on G. wilfordii were damaged. Detail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for economic value of the damaged pest for the continual production will be promoted and then followed the procedure the registration of agrochemicals.
        9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select resistant oil seed crops against two species of root-knot nematodes, M. incognita and M. arenaria, 10 cultivars of sesame (Sesamum indicum) and 10 cultivar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were screened in greenhouse pot test. All sesame cultivars tested were resistant to M. incognita but susceptible to M. arenaria. While, perilla was resistant to both Meloidogyne species. Therefore, perilla cultivars could be used as rotation crops in greenhouses infested with both M. incognita and M. arenaria. But, sesame cultivars only can be used as a rotation crops in greenhouses infested with M. incognita but not for M. arenaria.
        9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노지작물과 시설작물에 대하여 화산재 퇴적으로 인한 취약도를 개발하고, 화산재 확산 시나리오를 기초로 농작물의 생산량 손실을 평가하였다. 노지작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는 2006년 인도네시아 머라피(Merapi) 화산분화 시 관측된 농작물의 피해영향 자료에 기초하여 평가되었으며, 시설작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는 신뢰도 지수 기반의 FOSM(first-order second-moment) 기법을 이용하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공한 내재해형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평가되었다. 또한, 화산재 확산 및 퇴적두께를 예측할 수 있는 FALL3D 모델과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델을 연계하여 화산재 확산 시나리오를 모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화산재 취약도와 화산재 퇴적두께 모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충청남도 지역에서 재배되는 수박과 딸기에 대한 화산재 퇴적에 따른 생산량 손실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화산재 취약도 및 손실 평가 알고리즘은 추후 한반도 주변 화산분화 시 피해예측 및 경감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provide various beneficial influences on agricultural system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use of green manure crops on upland fiel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election of green manure crop species suitable for subsequent upland crops. For this study, two leguminous green manure crops and four graminaceous crops were used as following: (1)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2)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3) barley (Hordeum vulgare L.), (4) rye (Secale cereale L.), (5) triticale (Triticosecale wittmack), (6) wheat (Triticum aestivum L.). Plant-available nitrogen (PAN) release from each green manure crops was estimated using PAN prediction equation. Graminaceous green manure crops produced more biomass (dry plant matter) up to 1.5 times than leguminous crops. However, PAN % was much higher in leguminous crops due to their high nitrogen content (2.4 ~ 4.4%). In late may, hairy vetch was estimated to provide PAN as much as 11kg/10a which meet nitrogen need for nearly all (except waxy corn) upland crops used in this study. However, PAN from crimson clover and graminaceous green manure crops was much lower mainly due to low biomass production and low nitrogen content, respectively. Overall, hairy vetch could be most appropriate green manure crop for upland crop cultivation in Korea.
        4,000원
        9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정보화는 산업의 생산성 증대와 경쟁력강화와 생산 및 유통의 효율화, 자원관리의 고도화 등을 통해 농촌경제를 활 성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와 설문지에 의한 실 증조사 연구와 문헌연구 등을 수행하였으며, 안동시 특용작물 농가 140명의 유효설문지를 통계처리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고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농가의 컴퓨터 보유농가는 85.7%였으나 노년층인 60 세 이상의 경우 미보유농가가 19.0%로 나타났다. 2. 영농이나 농작물 판매 시 컴퓨터 사용 여부 응답 분포는 성별(χ2=4.667, p<.05), 연령 차이(χ2=10.576, p<.05)에 의해 컴퓨터 사용 여부가 차이가 있음이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3. 정보화를 한다면 최우선필요 분야는 판매분야가 74.3%로 나타났다. 특히 판매분야 중에서도 시스템구축 61.4%, 소비자 정보공유 18.6%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4. 교육시간은 4시간 이하(65.7%)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안동지방 특용작물 재배농가는 농촌정 보화 시스템 구축을 농산물 판매에 중점을 두고 간단하게 배 울 수 있는 시스템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컴퓨터보유여부와 관 계없이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판매시스템 이 이러한 농민들의 요구를 만족하는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95.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명공학 관련 회사들이 유전자 변형 품종을 적극적으로 개발함으로서 생명공학 관련 시장규모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GM 작물의 재배면적도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1996년 GM 작물이 처음 재배된 이후 2014년 현재 28개국에서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하고 있으며, 재배면적도 1996년170만 헥타르에서 100배 이상 증가하여 1억 8,150만 헥타르에재배되고 있어, GM 작물은 근래에 가장 빨리 채택된 육종기술로 인정 받고 있다. 전 세계 GM 작물 재배품종 중 가장많이 재배되고 있는 형질은 제초제 내성이 도입된 품종으로 1억 260만 헥타르에 이르며 전체의 57%에 해당하고, 다음이제초제 내성과 해충 저항성이 함께 형질전환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농민이 GM 작물을 재배함으로서 수확량 증가, 농약사용 감소, 농가 수익 증가 등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매년GM 작물을 재배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GM 작물의 채택률이 선진국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콩, 옥수수, 면화 등 GM 작물의 급속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작물의 재배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의 영향, 작물의 잡초화, 신종 병해충의 출현 가능성으로 인한 위해성 논란 등 생명공학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끊임 없이 제기되고 있어 GM 작물에 대한 위해성 검증과 안전성에 대한 적극적인연구와 홍보가 요구된다.
        4,000원
        9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y 2015 to explor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Italian ryegrass, Rye and whole crop barley as winter forage crop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experimental location was over 10 points for each species and each sampling point area was 1 m² (Width: 1 m × Length: 1 m). Air mean temperature and rainfall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6.95 ± 5.75℃ and 70.45 ± 54.68 mm, respectively. Fresh forage yield of Italian ryegrass, the most cultivated forage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was 44.4 ± 7.0 ton/ha. The percentage of dry matter for whole crop barley was 28.9 ± 7.0%. Crude protein (CP) was higher in Italian ryegrass (10.7 ± 5.3%) whil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had the highest value in whole crop barley. Crude prote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location. However,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value of forage from Jeonbuk province were higher than in forage from Gyeongnam province.
        4,000원
        9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호밀(곡우), 귀리(삼한), 3품종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코그린, 코스피드, 코위너리) 및 2품종의 청보리(영양, 유연)에 대하여 생산성 시험을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곡우가 가장 높았고 삼한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단백질(CP) 함량은 귀리(삼한)외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품종들에서 높았다.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귀리(삼한) 사일리지의 pH는 비교된 사료작물중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코그린과 삼한 품종에서 젖산균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Flieg 점수에 따른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모두 1등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내에서 육성된 사료작물 품종은 생산성과 품질면에서 높은 능력을 보여 한국에서의 조사료 생산에 적극 권장된다고 하겠다.
        4,000원
        9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amages of medicinal crops by thrips and identification of thrips species were investigated on major medicinal crops, Platycodon grandiflorum, Schizandra chinensis, Codonopsis lanceolata, Lycium chinense, Bupleurum falcatum, Ledebouriella seseloides, Angelica gigas, Glycyrrhiza uralensis, Liriope platyphylla, Atractyloides sp., in Suwon, Eumseong, Jecheon, Pyeongchang, Chyungyang 2012. Thrips and their damages were found at all of the medicinal crops investigated, mostly occurring at early growing stages of each medicinal crop and causing apical meristem region withered, thereby inhibiting the growth of plants. As a result, Frankliniella intonsa, Thrips tabaci, and Megalurothrips distalis have been identified as dominant species on medicinal crops in open field, whereas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restricted to Lycium chinense in which protected cultivation. Occurrence of thrips species on medicinal crops seems to be affected by host specific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ultivation types.
        9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육성 화훼류의 향기 패턴을 비교하고 육종과정의 선발단계에서 향기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구 분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향기를 보유한 대 표적인 화훼작물인 장미, 나리, 프리지아, 카네이션, 난의 화기조직으로부터 향기를 포집하였다. 전자코 시스템의 소 프트웨어에서 향기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 (Principle Component Analysis)과 판별분석(Discriminant Factori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 결과 나리는 1사분면, 프리지아는 2사분면, 카네이션과 장미는 3사분 면, 난은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이것은 센서 감응도에 따 라 다른 그룹을 형성하고 있어 화훼류 향기 패턴의 구 분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같은 화훼류 품목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강한 향기를 가지는 품종은 control에서 멀고, 향기가 없거나 약한 품종은 control가까이 군집을 형성하 여 향기의 강약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자료 제시가 가능 하였다. 나리와 난의 센서 반응곡선을 레이더 형식으로 나타내 보았을 때 향기의 강약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 었다. 이로써 전자코를 이용한 화훼류 향기 분석 시스템 은 향후 주요 화훼류의 방향성 육종을 위한 선발단계에 객관적인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0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남부지역 논에서 동계 사료맥류, 하계 조생종 벼, 추계 하파귀리 등 삼모작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실시하였다. 월동 사료작물을 조생종 벼인 조평벼의 이앙시기에 맞춰 4월 30일 1차 수확한 처리구와 사료맥류의 수확기인 5월 30일에 수확한 처리구 모두 곡우호밀이 각각 생초수량 32.0톤/ha과 42.3톤/ha, 건물수량이 5.8톤/ha과 16.5톤/ha로 다른 작물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 하계 조평벼는 5월 6일에 1차 이앙한 처리구보다 6월 4일에 2차 이앙한 처리구에서 등숙비율이 떨어지고 수량도 약 22% 감소하여 조기 이앙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틈새작물로 재배한 하이스피드 귀리는 8월 28일에 1차 파종한 귀리는 10월 10일에 출수하였지만 9월 2일에 입모중으로 2차 파종한 귀리는 출수도 하지 못하였으며 1차 파종에 비해 건물수량과 TDN 수량 모두 50%를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어 파종이 빠를수록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남부지역에서 삼모작을 하기 위해서는 호밀을 재배하여 4월 30일 전에 수확한 후 조평벼의 조기 이앙과 하이스피드 귀리의 적기 파종이 쌀 수량과 조사료 수량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