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15

        8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갯까치수염은 다육성의 2년생 초본 자생식물로서,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지역에서 자라며 자생지의 환경에 맞게 내염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관상가치가 높다. 관련 문헌을 보면 발아조건과 개화조절에 대한 연구만 보고되었고 그 중간단계인 재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육묘법 개발의 일환으로 이 실 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플라스틱온실 내에서 발아시킨 1cm 전후의 묘를 50, 128, 200구 트레이에 이식하여 한국원시표 준액(N-P-K-Ca-Mg, 15-3-6-8-4)을 각각 권장 EC농도의 0, 0.5, 1, 2배 농도로 매일 5분간 순환식으로 저면 관수하여 6주간 재배 후 초장, 근장, 엽수, 뿌리수, SPAD, 생체중, 건물 중을 측정하였다. 갯까치수염 생육은 플러그 셀 크기 50셀에 서 생육이 가장 높았다. 양액농도에 따른 갯까치수염의 생육 은 0.5배액에서 초장과 근장의 수치가 가장 높았으며, 모든 생육지표가 양액 농도변화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 타났고 실질적인 총 생산량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 것으 로 미뤄 육묘단계에서 양액의 농도가 셀 크기보다 갯까수치염 의 묘 생육에 더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갯까치수염의 조직 충실도 면에서 0.5, 1, 2배액의 200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값 들이 나왔다. 결과적으로 기존 원시표준액에 비해 생장에 유 리한 결과를 보이며 비료도 절약할 수 있는 0.5배 양액처리조 건이 갯까치수염 육묘 재배에 더 효율적이였다.
        4,000원
        8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alpha (PDGFRα) is essential for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fetal Leydig cell differentiation. The PDGFRαEGFP mouse model, which expresses an eGFP fusion gene under the native Pdgfrα promoter, serves as a valuable resource for exploring PDGFRα’s expression and function in vivo. This study investigates PDGFRα expression in adult testicular cells using PDGFRαEGFP mouse model. Methods: Genotyping PCR and gel electrophoresis were used to confirm the zygosity of PDGFRαEGFP mice.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fluorescence imaging were used to identify PDGFRα expression within testicular tissue.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assessed the co-expression of PDGFRα with c-Kit, ANO-1, and TASK-1 in testicular cells. Results: Genotyping confirmed the heterozygous status of the mice, which is crucial for studies due to the embryonic lethal phenotype observed in homozygotes. Histological and fluorescence imaging revealed that PDGFRα+ cells were primarily located in the interstitial spaces of the testis, specifically within Leydig cells and peritubular myoid cells (PMCs). Immunohistochemical results showed PDGFRα co-localization with c-Kit and ANO-1 in Leydig cells and a complete co-localization with TASK-1 in both Leydig cells and PMCs. Conclusions: The findings demonstrate specific expression of PDGFRα in Leydig cells and PMCs in adult testicular tissue. The co-expression of PDGFRα with c-Kit, ANO-1, and TASK-1 suggests complex regulatory mechanisms, possibly influencing testicular function and broader physiological processes.
        4,000원
        8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nity stress is a major threat to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ffecting crop yield and 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alinity levels on photosynthetic responses and bulb growth of Lilium LA hybrid “‘Serrada’.” Plants were irrigated with 1 L of 0, 200, and 400 mM NaCl solutions every two weeks for 14 weeks in a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cultivation period, the substrate pH decreased,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inity. Regardless of salinity levels, the days to flowering and number of flowers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In contrast, the flower width,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and leaf area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hotosystem II (PSII) operating efficiency and maximum quantum yield of PSII, net CO2 assimilation rates (An) and stomatal conductance (g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200 and 400 mM NaCl solu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At 400 mM NaCl solution, bulb diameter and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lb growth inhibition could be attributed to limiting photosynthetic rate and stem growth. This finding suggests that salinity mitigation is necessary to maintain plant growth and photosynthetic capacity in lily cultivation on salt-affected soils.
        4,000원
        84.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상담자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과 그릿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토대로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그릿의 부분매개 모형 과 마음챙김과 그릿의 완전매개 모형을 비교하였다. 국내 상담자 308명 을 대상으로 대리외상경험 질문지, 대리외상 척도, 마음챙김 척도, 그릿 척도,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 Stastics 25.0을 이용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 식으로 마음챙김과 그릿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완전매 개 모형이 최종 모형으로 선정되어 마음챙김과 그릿의 간접효과가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β= -.26, p <.001). 이는 상담자가 대리외상을 경험했 을 때,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그릿을 향상시킨다면 외상 후 성장에 이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6,900원
        8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quantify changes in forest cover and carbon storage of Korean Peninsular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y integrating field measurement,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modeling approaches. Our analysis based on 30-m Landsat data revealed that the forested area in Korean Peninsular had diminished significantly by 478,334 ha during the period of 2000-2019, wi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ontributing 51.3% (245,725 ha) and 48.6% (232,610 ha) of the total change, respectively. This comparable pattern of forest loss in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as likely due to reduced forest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in North Korea and active forest management activity in South Korea. Time series of above ground biomass (AGB) in the Korean Peninsula showed that South and North Korean forests increased their total AGB by 146.4 Tg C (AGB at 2020=357.9 Tg C) and 140.3 Tg C (AGB at 2020=417.4 Tg C),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is could be translated into net AGB increases in South and North Korean forests from 34.8 and 29.4 Mg C ha-1 C to 58.9(+24.1) and 44.2(+14.8) Mg C ha-1,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South Korean forests are more productive during the study period. Thus, they have sequestered more carbon. Our approaches and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quantifying national scale forest cover and carbon dynamics. Our results can be utilized for supporting forest restoration planning in North Korea.
        4,600원
        86.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과 같은 밭작물은 주로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으며 토양 수분 조건에 따라 생육 반응이 민감하게 반응한다. 작물의 생육과 재배 지역의 토양 조건, 기상 등에 따라 적정 토양 수분을 유지하는 것은 작물 생산량의 증가를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 수분 함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깊이에 따른 토양 수분과 외기, 강수량 등 기상 변수와의 상관 관계를 구명하고, 깊이별 토양 수분예측을 위한 부분최소제곱회귀(PLSR) 모델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콩 재배포장의 10cm, 20cm, 30cm 깊이의 토양수분은 FDR 방식의 센서로 측정하였 고, 콩 작물 주변 환경인자(재배환경의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 일조시간)는 주변의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깊이별 미래의 토양수분함량 예측 모델을 개발한 결과, 10cm와 20cm깊이에서 주요 인자는 현재 토양수분함량과 기온이었으며, 30cm 깊이에서의 주요 인자는 현재 토양수분함량과 기온, 풍속으로 나타났다. 토양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토양수분함량 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이는 표면에 가까울수록 토양수분함량이 변화가 크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래의 토양 수분함량예측시 1시간 후 예측 정확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때의 Rv 2와 RMSEV가 10cm 깊이에서 0.993와 1.069%, 20cm 깊이에서 0.994와 0.821% 였으며, 30cm 깊이에서 0.999와 0.149% 였다. 본 연구 결과는 콩 생육환경 진단을 위해 재배 포장의 토양수분함량을 토양층별로 미래의 토양수분함량도 예측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4,000원
        87.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윤리위원회 심의(2024.08.09) 결과 표절이 확인되어 게재가 철회된 논문임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연구 대 상은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하는 드림온아트센터의 발달장애 자 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유의 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2023년 12월 4일~12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Windows 용 SPSS 25.0, PROCESS macro 4.1의 통계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자아 탄력성이 높은 부모는 발달장 애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양육 부담, 부정 적 정서에 적극 대처하여 성장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해 지방 자치단체 및 발달장애 관련기관에서는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자존감 향상과 성취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 해야 하고, 자조집단을 조직하여 공감하고, 지지받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환경적, 경제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6,000원
        88.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breed a very early-maturing varie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at the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Korea, from 2022 to 2023. The new variety, named “Earlybird,” is a diploid variety characterized by green leaf color, a semi-erect growth habit in late autumn/fall, and an erect growth habit in early spring. With a heading date of April 30, Earlybird is categorized as a very early-maturing variety. Compared to the “Kowinearly” control variety, Earlybird’s flag-leaf width is wider by 0.2 mm, its flag-leaf length is longer by 1.4 cm, and its plant height is greater by 10.5 cm. Additionally, Earlybird’s ear length is 1.4 cm longer than Kowinearly's, and it exhibits lodging resistance. Although the dry matter yield of Earlybird (7,469 kg/ha) is smaller than that of Kowinearly,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Earlybird are 63.5% and 8.6%, respectively, which are higher than those of Kowinearly by 1.8% and 0.3%, respectively. The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of Earlybird are 56.9% and 32.0%, respectively, which are lower than those of Kowinearly by 2.2% and 2.3%, respectively.
        4,000원
        89.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의 식생복원을 위해 조림된 편백을 대상으로 토양개량제의 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2007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에 모두베기 후 조림된 8년생 편백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동안 목탄과 톱밥을 두 수준의 복합비료 (N6:P4:K1, N3:P4:K1)에 혼합 처리한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무시비구(대조구)를 대상으로 임목 생장, 토양 및 잎 양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흉고직경 또는 수고 생장량과 측정시기에 대한 선형회귀식의 회귀계수(slope)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Biomass 증가량은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의 회귀계수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복합비료의 시비 수준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EC를 제외한 토양 호흡, 토양온도, 토양수분 함량, 토양 pH는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및 시비 수준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 중 유기탄소와 전질소 농도는 토양개량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나, 유효 인, 교환성 칼슘 및 마그네슘은 토양개량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잎의 질소 및 인 농도는 토양개량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칼륨과 마그네슘 농도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식생복원을 위한 편백 조림지에 토양개량제 처리는 양분 유효도의 향상 및 조림목의 바이오매스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0.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sources in substrate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as well as the subsequent changes in flavor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T2, composed of poplar sawdust, beet pulp, cotton seed dregs, and cotton seed coat in a ratio of 40:20:20:20, exhibited the highest yield at 156.6 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8.25 mg GAE/g, 70%, and 49%, respectively, showing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1. Additionally, varying nitrogen content resulted in distinct aroma patterns and is presumed to influence taste profiles such as sourness, umami, and saltiness.
        4,000원
        9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온난화로 인한 물 부족에 대응하고, 작물 생산의 극대화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지중점적 관비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식량작물에 적용된 지중점적 관비 효과에 대한 이해 및 이와 관련 시스템 개발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중점적 시스템을 이용한 관수 및 관비처리(SF)가 감자(Solanum tuberosum L.)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중점적 처리를 위해, 경상국립대학교 시험포장(600 m2)에서 점적관(Ø 14.1 ㎜, 1.6 L h-1)을 80 ㎝ 간격으로 40 ㎝ 깊이에 매설하였다. 감자의 표준시비량(N-P-K: 100-88-130 ㎏ ha-1) 중의 일정량을 기비로 시용한 후, 잔여 시비량인 N-P-K: 50-40-40 kg ha-1을 절반씩 괴경형성기(4월 29일)와 괴경비대기(5월 17일)에 각각 나누어 관비하였다. 대조구(CF)는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지중점적 관비 처리시 토양 20㎝ 깊이의 수분함량은 대조구 9.6%, 지중점적 처리구 55.1%로 지중점적처리구의 수분함량이 45.5% 더 높았기 때문에, 관비처리가 잘 수행되었다고 판단되었다. 관비 후 생육특성 조사에서 지중점적처리구와 대조구 간 차이가 없었지만, 수량특성 조사에서는 지중점적처리구가 괴경 직경이 56.0 ㎜로 가장 굵었고, 괴경수 또한 11.6개로 가장 많게 나타나 대조구와 약 12~18%의 차이를 보였다. 상서용 수량 또한, 지중점적처리구가 3,402 kg 10a-1로 대조구 대비 약 10% 더 많았다. 따라서, 봄 감자 재배시 지중점적시스템을 이용한 관비처리가 수량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나, 토성에 따른 투수성 등의 차이로 인한 여러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어, 국내의 노지재배 작물에 지중점적시스템을 적용하여 다양한 토성에서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9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sustainable livestock industry, black soldier fly as eco-friendly animal protein source is spotlighted for swine and poultry. However, most of black soldier fly is reared in dirty condition like food wast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iber leve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composition of black soldier fly reared in specific substrate. Treatments were divided in two as Low (fiber level: 7.1%), and High (fiber level: 14.2%) with a total of 50,000 eggs each. The rearing box had a dimension with 1064 × 507 × 320 cm (length × width × height). Black soldier fly survival rate (72.24 vs. 76.48) and substrate consumption (77.43 vs. 80.37) were greater in High than Low. However, bioconversion (10.59 vs. 9.80) and protein conversion (8.97 vs. 8.00) were increased in Low than High. Gross energy was higher in High compared with Low (4,133 vs. 4,208). Some of essential amino acid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hreonine, tryptopha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compared with Low, and non-essential amino acid (alanine, aspartate, glycine, proline, serine, tyrosine) were higher in High compared with Low. Acids such as C12:0, C14:0, C15:0, and C20:1 were higher in High compared with Low, while C18:4 was higher in Low compared with High. As a result, black soldier fly reared in high fiber substrate might be a preferred option for rearing and producing a reliable animal protein source for monogastric animal.
        4,000원
        94.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체류 시 인권유린과 함께 성적 학대를 경험한 북한이 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여성의 중국에서의 학대 경험과 한국에서의 회복 경험을 분석하 고자 했다. 연구에는 9명의 북한이탈여성이 참여했다. 연구방법은 현상학 적 연구로 접근했다. 자료 분석 결과 10개의 구성소요가 도출되었다. 이 는 잔인한 땅에서의 성노예, 인신매매의 공모 네트워크, 삶의 감옥에 갇 힌 수인, 자기의 파괴, 몫 없는 존재, 탈출 생명력, 손상된 정체성의 치 유, 사상의 해독에서 벗어나기, 주체적 자기 복권, 상처 입은 치유자로 제시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 한 회복을 지지할 수 있는 논의를 구체적으로 제언했다.
        6,400원
        95.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we have designed a novel gas inlet structure for efficient usage of growth and doping precursors. Our previous gas injection configuration is that the gas is mixed to one pipe first, then divided into two pipes, and finally entered the chamber symmetrically above the substrate without a jet nozzle. The distance between gas inlet and substrate is about 14.75 cm. Our new design is to add a new tube in the center of the suscept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ew tube and substrate is about 0.5 cm. In this new design, different gas injection configurations have been planned such that the gas flow in the reactor aids the transport of reaction species toward the sample surface, expect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precursors being improved in this method. Experiments have shown that a high doping efficiency and fast growth could be achieved concurrently in diamond growth when methane and diborane come from this new inlet, demonstrating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design to a diamond microwave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 Compared to our previous gas injection configuration, the growth rate increases by 15-fold and the boron concentration increases by ~ 10 times. COMSOL simulation has shown that surface reaction and precursor supply both have a change in determining the growth rate and doping concentration. The current results could be further applied to other dopants for solving the low doping efficiency problems in ultra-wide-band-gap semiconductor materials.
        4,600원
        98.
        2024.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undertook detailed experiments to increase hydrogen production efficiency by optimizing the thickness of titanium dioxide (TiO2) thin films. TiO2 films were deposited on p-type silicon (Si) wafers using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echnology. The main goal was to identify the optimal thickness of TiO2 film that would maximize hydrogen production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stable operating conditions. The photoelectrochemical (PEC) properties of the TiO2 films of different thicknesses were evaluated using open circuit potential (OCP) and linear sweep voltammetry (LSV) analysis. These techniques play a pivotal role in evaluating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photoactivity of semiconductor materials in PEC systems. Our results showed photovoltage tended to improve with increasing thickness of TiO2 deposition. However, this improvement was observed to plateau and eventually decline when the thickness exceeded 1.5 nm,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charge transfer efficiency and tunneling. On the other hand, LSV analysis showed bare Si had the greatest efficiency, and that the deposition of TiO2 caused a positive change in the formation of photovoltage, but was not optimal. We show that oxide tunneling-capable TiO2 film thicknesses of 1~2 nm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EC hydrogen production systems. This study not only reveal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film thickness and PEC performance, but also enabled greater efficiency and set a benchmark for future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sustainable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ies.
        4,000원
        99.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탄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세균의 유기물 분해능, 항균 활성 및 식물생육촉진능을 확인하고 다 기능성 유용 미생물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리된 48 균주를 대상으로 β-glucosidase, cellulase, amylase, protease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SH-23, SH-26, SH-29 그리고 SH-33 균주가 우수 균주로 선발되었다. 선발된 유기물 분해 우수 세균 4 균주는 식물병원성곰팡이(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하고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SH-26 균주를 최종 우수균주로 선발 하였다. 선발된 SH-26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을 결정한 결과, Pseudomonas knackmussii HG322950 B13T, Pseudomonas citronellolis BCZY01000096 NBRC 103043T, 그리고 Pseudomonas delhiensis jgi.1118306 RLD-1T 와 100%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Pseudomonas sp. SH-26 균주는 siderophore 생성능, 질소고 정능과 Indole-3-acetic acid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00.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사리(Odontobutis platycephala)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202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자호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 하상구조는 작은돌(cobble)과 조약돌(pebble)이 풍부하였다. 수심은 평균 64(22~153)㎝로 깊었으며, 유속이 0.89(0.42~1.46)m/sec로 빨랐다. 암수 성비는 1 : 1.02 이었고, 채집된 개체의 전장 범위는 38㎜에서 156㎜ 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에 따른 연령은 5월 기준 전장이 38~69㎜는 만 1년생, 70~99㎜는 만 2년생, 100~139㎜는 만 3년생, 140~156㎜는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2차성징으로 생식적 유두(genital papilla)는 암컷의 경우 원통형 모양이며 수컷은 끝이 뾰족하여 원뿔 모양이었다. 암컷의 경우 60~69㎜에서 일부 개체만 성적성숙을 하였고 70㎜ 이상이면 모두 성적성숙을 하였다. 수컷은 70~79㎜에 해당하는 개체 중 일부만 성적성 숙을 하였고 80㎜ 이상에서 모두 성적성숙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는 5월부터 시작되어 7월에 끝났으며(수온 17~28℃) 산란 성기는 6월로 추정되었다(수온 24℃). 포란수는 평균 988(284~2,722)개 이었고 성숙란은 짙은 노란색 구형으로 직경이 1.46(1.19~1.71)mm 이었다. 전장-체중과의 상관관계식은 BW=0.00000006TL3.12로 상수 a는 0.00000006를, 매개변수 b는 3.12 이었다. 비만도 지수는 평균 K=1.44(0.96~2.26) 이었고 기울기(Slope)는 -0.0007로 음의 값을 나타 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