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9

        8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6년도 고품질 쌀로 선정된 고품벼, 운광벼, 삼광벼를 기존의 일품벼와 대비하여 의성과 경주의 탑라이스 재배지역에서 2년간 적응시험을 하여 각 품종들의 품질과 미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a당 수량은 의성, 경주 모두 일품벼가 586 kg, 560 kg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였으나, 완전미 수량은 삼광벼가 의성과 경주에서 각각 519 kg, 495 kg으로 일품벼보다 더 높은 수량을 보였다. 2. 쌀의 외형상 품위에서 완전립 비율은 삼광벼, 고품벼가 90.7%, 82.5%로 일품벼의 77.5%보다 높았다. 3. 단백질 함량은 삼광벼가 6.2%로 가장 낮았으며, 식미치에서는 삼광벼가 85.9%로 가장 높았다. 4. 쌀가루의 점도 특성에서 최고 점도는 의성의 운광벼가 3180으로 가장 높았으며, 경주의 일품벼가 2255로 가장 낮았다. 5. 밥의 물리적 특성에서 경도는 삼광벼가 평균 3174로 가장 낮았으나, 부착성이 -132로 높게 나왔다.
        8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last resistance of one hundred and thirty-one rice cultivars bred in Korea was tested with thirty Korean isolates and twenty-two Philippines isolates using three screening methods. In the blast nursery conducted in Korea and in the Philippines, average disease index of rice cultivars were 4.6 and 2.2, respectively. Seventy-nine cultivars showed different resistance reaction in Korea and in the Philippines, and 19 cultivars showed the same resistant reaction in two locations. In the seedling test, Korean blast isolates displayed different levels of virulence. 93-093, a Korean isolate, was compatible with 90 cultivars whereas 97-057 showed a compatible reaction with 13 cultivars. Twenty-three cultivars showed high level of resistance against Korean and Philippines isolates but Chucheongbyeo, Heugnambyeo, and Manmibyeo showed susceptible reaction to all blast isolates. Through the sequential planting test in Korea and in the Philippines, Palgongbyeo and Seomjinbyeo displayed durable resistance, and Nagdongbyeo and Gihobyeo showed high level of disease infection over the planting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last isolates collected in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genetic background and number of compatible isolates should be considered in definition the durability of rice cultivar to rice blast.
        8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fty-two Korean japonica rice cultivars were analyzed for leaf blast resistance and genotyped with 4 STS and 26 SSR markers flanking the specific chromosome sites linked with blast resistance genes. In our analysis of resistance genes in 52 japonica cultivars using STS markers tightly linked to Pib, Pita, Pi5(t) and Pi9(t), the blast nursery reaction of the cultivars possessing the each four major genes were not identical to that of the differential lines. Eight of the 26 SSR markers were associated with resistant phenotypes against the isolates of blast nursery as well as the specific Korean blast isolates, 90-008 (KI-1113), 03-177 (KJ-105). These markers were linked to Pit, Pish, Pib, Pi5(t), Piz, Pia, Pik, Pi18, Pita and Pi25(t) resistance gene loci. Three of the eight SSR markers, MRG5836, RM224 and RM7102 only showe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henotypes of blast nursery test for two consecutive years. These three SSR markers also could distinguish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japonica cultivar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genotypic monitoring for blast resistance of rice in blast breeding programs.
        8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남평야지 조기재배시 국내 육성된 고품질 조생종 품종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품종들의 평균 출수기는 7월 22일로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사이에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공시품종들의 평균 수당립수, 등숙율 및 수량에서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운광벼가 수량이 529 kg/10a로 가장 많았다. 2. 수확시기별 현미 품위를 조사한 결과 동할미 발생을 줄이고 현미 정립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출수 후 40일경에 수확하는 것이 정립은 8월25일~ 9월1일 사이 수확하는 것이 가장 높았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미숙립의 발생은 감소하고 동할립의 발생은 증가하였다. 백미 완전미는 중화벼와 고운벼가 72.2%와 71.0%로 높았으나 싸라기 발생이 높았으며, 운광벼와 오대벼는 분상질의 발생이 많았다. 3. 운광벼와 오대벼는 백미 단백질 함량은 6.4%로 낮았으며, 식미관능검정의 총평이 각0.6 및 0.5로 밥맛이 양호하였다.
        8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 수입 개방과 소비량이 감소되고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 되면서 소비자는 고품질의 농산물을 추구하게 되었고, 밥맛이 좋은 품종 및 재배방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의 결과 일품벼를 육성하여 농업인에게 보급하였고 밥맛이 좋으면서 단위면적당 쌀수량이 많아서 농업인이 선호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품벼에 대한 선호도가 향상되는 단계에서 농협 및 지자체에서 쌀을 브랜드화 하면서 대형 미곡종합처리장이 설립되고 시설이 좋아지면서 벼를 산물로 수매하게 되고, 도정률에 의한 차등수매 체제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변화는 도정률이 낮은 품종을 미곡종합처리장 에서 수매를 기피하게 (RPC) 되고 이는 농업인이 외면하는 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도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일품벼의 도정률을 향상시키고,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이삭당 영화수는 일품벼가 105개, 추청벼가 70개로 일품벼가 35개 많았으며, 지경별로 보면 1차지경의 벼알수 비율은 일품벼 56.2%, 추청벼 61.4%로 추청벼가 많고, 2차지경의 벼알수 비율은 일품벼가 43.3%, 추청벼가 37.9%이었다. 2. 등숙정도를 정조의 비중선에 의하여 분류하면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충실도가 낮았는데, 일품벼와 추청벼의 차이는 정선 후에 0.47%, 비중 1.00에서 1.28%, 비중 1.10에서 6.27%, 비중 1.20에서 31.67% 낮았다. 3. 왕겨 1개의 무게는 일품벼 4.16 mg, 추청벼 3.92 mg이었으며, 정조 1 kg의 왕겨 무게는 일품벼 157.36 g, 추청벼 151.31 g으로 왕겨비율은 일품벼는 15.74%, 추청벼는 15.13%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0.61% 높았다. 4. 도정률은 콤바인 수확 산물벼의 정현비율은 일품벼가 81.22%, 추청벼가 82.52%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1.30% 낮았고, 현백비율은 일품벼가 92.14%, 추청벼가 92.51%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0.37% 낮았다. 5.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도정률이 1.67% 낮은데 요인별로 분석 하면 왕겨의 무게 0.61%, 현백비율 0.37% 및 등숙정도 0.69%이다. 이는 왕겨무게와 현백비율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극복하기 어렵지만 등숙정도에 영향하는 0.69%는 재배 및 수확 후 관리를 철저히 할 경우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88.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품종 갈색미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갈색미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4가지 쌀 품종(백색미, 갈색메벼, 갈색찰벼 및 흑미)의 화학적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로 육종된 갈색메벼 및 갈색찰벼의 일반성분은 대체적으로 백색미와 흑미의 중간 함량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지방산 중 palmitic, oleic 및 linoleic acids 함량이 거의 96% 이상 차지하고
        92.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last resistance of 18 rice cultivars which recommended as a high quality rice cultivars evaluated by blast nursery test, seedling test, and field screening and sequential planting methods. Sangmibyeo, Hwayeongbyeo, and Dongjin 1 were showed high resistance reaction to leaf blast at the blast nursery continuously, while Chucheongbyeo showed highest disease severity. All of the early maturing cultivars, Odaebyeo, Junghwabyeo, and Sangmibyeo, showed the lowest compatibility against 25 blast isolates. Saechucheongbyeo, a multiline variety of Chucheongbyeo genetic background showed 45.8%, half compatibility of 82.6% in Chucheongbyeo against 25 isolates screened. Diseased leaf areas (DLA, %) of cultivars were very low level at all test sites in the field test. Three cultivars, Sangmibyeo, Ilmibyeo, and Junghwabyeo didn’t show any leaf blast lesions across the test sites. The most variable incidences of panicle blast were observed on Odaebyeo which was 42.4%, 0.4%. and 0.0% at Jaecheon, Naju, and Chuncheon, respectively. In the sequential planting method, four rice cultivars, Nampyeongbyeo, Sindongjinbyeo, Hwayeongbyeo, and Junambyeo showed less than 40% disease leaf area (DLA) from 1st planting to 7th planting, so those cultivars were considered as a durable resistant rice cultivar against rice blast diseases.
        9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ee rice cultivars of Goami2 (G2), Ilpumbyeo (IP), and Baegjinju (BJJ) of which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ere blended by a simplex-lattice mixture design. The effect of blending those rice cultivars on pasting and texture properties were observed. Rapid Visco Analysis (RVA) indicated that the onset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pure blend of G2 rice (83.80~pm0.07~circC) was higher than that of IP (68.08~pm0.01~circC) and BJJ (68.08~pm0.04~circC) . Increasing G2 rice resulted in lower peak and breakdown viscosity, and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whereas higher setback viscosity and hardness. Pasting and texture properties of IP and BJJ indicated that G2 rice has quite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IP and BJJ. Thus, it is expected that blending those three rice cultivars can be used to formulate a desirable rice blend on purpose, furthermore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G2 rice, which has higher indigestible carbohydrate contents.
        97.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硏究)는 '70년대(年代) 이후 육성(育成)된 우리나라 자포니카 메벼 품종(品種)들의 식미(食味)와 관련(關聯)된 여러 가지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검토함으로써 양질미(良質未) 육종(育種)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1. 89개 벼 품종(品種)의 식미관련(食味關聯) 주요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중심으로 군집분석(群集分析)을 실시한 결과 크게 동진벼군과 일품벼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일품벼군을 다시 일품벼아군과 추청벼아군으로 세분(細分)해 볼 수 있었다. 이 두 품종군간(品種群間)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나타낸 것은 주로 비스코그램특성으로 일품벼군이 동진벼군에 비해 평균적(平均的)으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2. 열기군별(熟期群別)로 식미관련(食味關聯) 미질특성(米質特性)을 비교(比較)해 보면 조생군이 중생군이나 중만생군에 비해 약간 식미치(食味値)가 떨어지면서 단백질함량이 높은 경향이었고, 조(早) 중생군(中生群)이 중만생군(中晩生群)에 비해 최고(最高) 및 최저점도(最低粘度)와 강하점도(降下粘度)가 높은 반면 응집(凝集) 및 치반점도(置返粘度)는 약간 낮은 경향이었다. 3. 육성(育成) 년대별(年代別)로 보면 년대(年代) 품종(品種)에 비해 2000년대(年代)에 육성(育成)된 품종(品種)들이 최고(最高) 최저(最低) 최저점도(最低粘度) 및 응집점도(凝集粘度)가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4. 토요식미치와 밀접한 상관(相關)을 보인 미질특성(米質特性)은 단백질 및 아밀로스함량과 최저점도(最低粘度) 등으로 단백질함량 및 최저점도(最低粘度)가 낮을수록 아밀로스함량이 높을수록 토요식미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단백질함량과 아밀로스함량간에는 부(負)의 상관성(相關性)을 나타내었다. 5. 식미관련(食味關聯) 미질특성(米質特性)을 이용한 토요식미치 추정(推定) 중회귀식(重回歸式)에 채택(採擇)된 주요 특성은 단백질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최저점도(最低粘度)였으며 결정계수(決定係數)로 보아 약 49%의 적중율(的中率)을 나타내었다.
        9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답에서 벼의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여 벼-자운영 작부체계에 적합한 품종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영남농업연구소 답작 포장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재배답은 무재배답에 비해 이앙 후 환원장애에 의한 초기 활착이 떨어졌으나, 풍미벼, 소비벼, 화영벼가 초장 및 개체군생장률 감소가 적은 편이었다. 2. 부위별 질소함량은 자운영 재배답이 무재배답에 비해 높았고, 반대로 질소흡수량은 단위면적당 건물중이 높았던 자운영 무재배답에서 높았다. 3. 자운영 재배답이 무재배답에 비해 수량이 낮았던 원인은 단위면적당 수수가 적었기 때문이다. 4. 수량에 영향을 미친 수량구성요소로써 자운영 재배답에서는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자운영 무재배답에서는 등숙율이 크게 작용하였다. 5. 쌀의 완전미율과 단백질 함량은 자운영 재배답이 자운영 무재배답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식미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99.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pedigree of rice cultivars commonly used for breeding. In this paper, pedigree tables for tracking the pedigree of 17 representative rice cultivars recommended by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RDA) were completed and analyzed using two kinds of web database system; 'IRIS' and 'RRDB'. Seven cultivars, namely, 'Sangmibyeo', 'Ilpumbyeo', 'Saegewhabyeo', 'Surabyeo', 'Shindongjinbyeo', 'Ilmibyeo' and 'Jungwhabyeo' had 'Koshihikari' on the pedigree of their ancestor. Besides 'Koshihikari', the most feguently used ancestral germplasms among the high quality rice cultivars were 'Fujisaka 5', 'Kameno o' and 'Asahi', 'Fujisaka 5' was used as ancestral parent in 12 out of 17 cultivars. Interestingly, 'Kameno o' was used in pedigree of 16 out of 17 high quality varieties and 'Asahi' was used in the ancestral pedigree of all 17 varieties. 'Hwayeongbyeo' was used as one of parent in the breeding of 'Dongjin 1', 'Hwabongbyeo', 'Saegewhabyeo' and 'Junambyeo'. 'Ilpumbyeo' was used in the breeding pathway of 'Junambyeo' and 'Saegewhabyeo', 'Mangeumbyeo' itself was not enlisted as one of high quality rice cultivars, but was used as a breeding parent of three high quality varieties, namely, 'Saegewhabyeo', 'Hwabongbyeo' and 'Nampyeongbyeo'. Incorporated with evaluation data, pedigree will provide a valuable chance to genealogical tracking of agronomic traits such as disease resistance, grain quality and etc.
        100.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nsure the durability of resistance to blast disease in high-quality japonica rice a long-term rice breeding project to develop a few blast-resistant multiline cultivars was carried out from 1987 to 1999. Seven resistance donors were selected based 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