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84.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species of the genus Chlorophanus Sahlberg are recognized and one species is questionable species from Korea. Among them, Chlorophanus planus Cyllenhal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External and genital characteristics for the species is redescribed and illustrated. Key to the species are provided. Sexual dimorphic variation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4,200원
        85.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st Palaearctic genus Atrachea Warren, 1911 are revised. Two generic names Trichosternum Draudt, 1950, syn. n. and Zutragum Nye, 1975(replacement name for Trichosternum), syn. n. are synonymized with Atrachea. Three new combinations and new synonymies for two specific names are proposed: Atrachea prasinatra(Draudt, 1950), comb. n., Atrachea leucochlora(Boursin, 1970), comb. n., Atrachea munda(Leech, 1900) = Valeriodes muscosula Draudt, 1950, syn. n.; A. viridinigra(Hreblay et Ronkay, 1997), comb. n.; Atrachea ochrotica(Hampso, 1910) = Trichosternum likianga Draudt, 1950, syn. n. Two new species, A. draudti sp. n. and A. chlorofasciata sp. n. from China are described. A list of Palaearctic species of Atrachea is presented.
        5,200원
        8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유글레나조류의 분류 및 생태에 관한 선행된 연구결과들을 종합 정리하고, 이를 환경교육에 접목하기 위한 것이다. 유글레나조류는 편모가 1-4개이며 다양한 수계에서 플랑크톤으로 생활하는 단세포 미세조류로서, 우리나라 전역에서 채집 조사된 종류는 종 하위 분류군을 포함하여 3목 4과 9속 168 분류군으로 정리된다. Euglena속과 Strombomonas속은 유기물 오염이 심한 도시 하천과 연못 등에 번무하였으며, Trachelomonas, Ph
        4,000원
        87.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ecies of th Ennominae, Psilalcis keytiparki sp. n., distributed in Korea, the southern part of Russian Far East and in central China, is described; its systematic position is discussed.
        4,000원
        88.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Podabrus속은 Heyden(1887)이 P. heydeni Kiesenwetter를 처음으로 보고한 후, 현재까지 총 9종이 기록되었지만, 5종이 오동정으로 확인되었으며, 3신종, P. jirisanensis n. sp., P. fragiliformis n.sp., P. circumangulatus n. sp.을 발견, 기재하였다. 분포가 의심스러운 P. nigriventris Fischer는 본 논문에서 재확인하지 못하였다. 또한 Cantharinae아과에 속하는 속과 Podabrus속에 속하는 종에 대한 검색표와 채집지 및 해부현미경 사진을 수록하였다.
        4,800원
        89.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긴머리개미반날개속에 대한 문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긴머리개미반날개속은 미기록종인 Ochethphilum pectorale(Sharp)(홍딱지긴머리개미반날개)(신칭)를 포함하여 3종으로 정리하였다.
        4,000원
        90.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긴개미반날개아족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긴개미날개아족은 미기록종인 Domene crassicornis(Sharp)(검은왕개미반날개), Domene curtipennis Sharp(검붉은딱지왕개미반날개), Tetartopeus pallipes(Sharp)(황점무늬긴개미반날개) 및 Tetartopeus fragile(Sharp)(황띠무늬긴개미반날개)를 포함하여 3속 5종으로 밝혀졌다.
        4,000원
        91.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병대벌레과는 Cantharinae와 Chauliognathinae의 2아종만이 기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 Silinae아과에 속하는 Silis triimpressa Pic와 Malthininae 아과에 속하는 Malthinus quadratipennis, n. sp.와 Malthinellus bicolor Kiesenwetter가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또한, Chauliognathinae 아과는 Trypherus niponicus(Lewis)가 기록되어 있지만, 국내에는 기재문이 없기에 재기재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Cantharinae아과를 제외한 한국산 2아과, Silinae, Malthininae, Chauliognathinae를 재정리하였다.
        4,000원
        92.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liattha vialis species-group(Lepidoptera, Noctuidae, Acontiinae) is revised. Four species (Maliattha ninae sp. nov., M. dissimilis sp. nov., M. tapaishana sp. nov., M. ahni sp. nov.) from China are described as new to science. Three species of vialis group are distributed in Russian Far East and Japan, two of them are known from Korea, and eight species are known from China. The lectotype for M. bella staudinger, 1892 is designated.
        4,300원
        93.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과학기술원, 국립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성신여자대학교 생물학과, 국립강원대학교 곤충분석류연구회, 시립인천대학교 생물학과의 각 표본실에 소장되어있는 사마귀목 표본들을 조사한 결과 Statilia nemoralis(Saussure)를 한반도에서 처음 기록하고, Acromantis Japonica Westwood와 Hierodula patellifera(Serville)는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하며, 성충과 각 부위의 표징을 도해하였다.
        4,000원
        94.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수중다리잎벌과의 연구는 국내외 소장표본과 1997년 3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남한 전역에서 채집한 표본 등 500여 개체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수중다리잎벌과는 Zaraea aurata Takeuchi(꼬마금빛수중다리잎벌), Zaraea fasciata Linnaeus(삼각금빛수중다리잎벌), Agnocimbex eoa Semenov-Tian-Shanskij(흑무늬수중다리잎벌)의 3미기록종을 포함하여 2아과 10속 22종으로 밝혀졌다.
        6,600원
        95.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바구미과의 좁쌀바구미아과에 속하는 Coeliodina아족, Ceutorhynchina아족, Hypurina아족, Mecysmoderina아족 및 Orobitini족을 정리한 결과 20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세모발좁쌀바구미(신칭), Cyphosenus moholeei sp. novo와 뾰족가슴좁쌀바구미 (신칭), Mecysmoderes nigrinus sp. novo 2종을 신종으로, 갈색좁쌀바구미 (신칭), Coeliodes brunneus Hustache; 띠갈색좁쌀바구미 (신칭), Coeliodes nakanoensis H Hustache; 혹좁쌀바구미 (신칭), Phytobiomorphus bifasciatus Voss; 가슴골좁쌀바구미 (신칭), Cardipennis s sulcithorax Hustache; 초록좁쌀바구미 (신칭), Ceutorhynchus diffusus (Hustache); 콘초록좁쌀바구미 (신칭), C Ceutorhynchus sulcicollis (Paykull), 쇠비름좁쌀바구미 (신칭), Hypurus bertrandi (Perris); 알좁쌀바구미 (신칭), O Orobitis apicalis Kono 8種을 韓國未記錄種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을 제공하였다.
        8,000원
        96.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비날도래과의 7종을 다음과 같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Mystacide azurea(Linnaeus)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고, Ceraclea armata Kumanski, C. lobulata (Martynov), C. morsei Kumanski, C. sibirica(Ulmer), Mystacides dentata Martynov 및 Triaenodes unanimis McLachlan을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각종의 성충에 대한 진단문을 검색형질의 삽화와 함께 수록하였다. 또한 분류학적 소견, 이명 및 국명을 제시하였다.
        4,000원
        97.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명나방족의 Salebria vinacea(Inoue) (콘알락명나방), Apomye1ois fasciatella Inoue(붉은맥알락명나방), Oligochroa bitinctella (Wileman) (작은네점알락명나방), O. bilineatella (Inoue) (검은쌍줄알락명나방), Metriostola betulae(Goeze) (회미무늬알락명나방), Psorosa decolorella Yamanaka(반검은알락영나방) 6종을 한국산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또한 4종, S. vinacea(Inoue), A. fasciatella Inoue, O. bitinctella(Wileman) 그리고 O. bilineatella (Inoue)의 암컷을 최초로 기재하였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기주식물의 기록을 정리하였다
        4,300원
        98.
        199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빗살방아벌레아과(Melanotinae)의 표본을 동정하고 기록 문헌을 정리한 결과 총 18종이 확인되었다. 그 중 Melanotus속으로는 M.chejuensis sp. nov.와 M. coreanus sp. nov.을 포함하여 11종이 확인되었다. 신종에 대하여 기재하고 각 종들의 성충 및 수컷생식기 사진과 함께 각 속, 종들에 대한 검안표를 작성하여 보고한다.
        5,400원
        100.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알모양우단풍뎅이속(검정풍뎅이과, 우단풍뎅이아과)에 대하여 분류학적인 검토를 실시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으로 보고된 23종 중 8종은 오동정에 의하여 기록된 것으로서 실제적인 한국산은 15종뿐이나 이중에서도 2종은 한국분포가 의심된다. 확정된 한국산중 다음과 같은 9종은 3개의 complex로 간주한다. M. holosericaea complex : M. holosericea, M. Schoenfeldti, M. renardi M. orientalis complex : M. cariniceps, M. orientalis, M. fusania M. verticalis complex : M. castanea, M. verticalis, M. ovatula
        5,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