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8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9년 2월부터 11월까지 강진만의 16개 조사정점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격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9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량은 2,028indiv. m-3이었다. 월별 출현량은 2월에 최대 5,496 indiv. m-3에서 11월에 최소 78 indiv. m-3 사이에서 변동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는 총 19종이 동정되었는데 월평균 출현량은 42-4,159 in
        4,000원
        82.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류는 동물플랑크톤 분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황해처럼 조류가 빠른 곳에서 동물플랑크톤 분포를 조사하는 경우에도 조류의 영향을 무시하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황해에서 조류의 영향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변화 자료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시간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가운데 우점하는 Acartia, Calanopia, Calanus, Centropages, Corycaeus, Lab
        4,000원
        8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양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적 천이는 1996년 에 Asterionella → Peridinium → Anabaena의 순서이었고 1997년과 1998년에는 Asterionella → Cryptomonas → Anabaena로 천이양상이 바뀌었다. 면적당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규조류의 spring bloom시에 가 장 많았으며 늦여름에는 Anabaena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96년에서 1998년으로 해가 지날수록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감소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의 Eodiaptomus, Cyclops, Diacyclops, 지각류의 Bosmina, Daphnia, 윤충류의 Polyarthra, Keratella 속의 종들이 계절에 따라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요각류의 현존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봄에 규조류의 생체량이 높은 시기보다 2~3개월 후인 6월말부터 7월에 걸쳐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았고 이때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를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월 전후에도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아졌는데 이 때는 남조류의 우점 시기와 거의 일치한 것으로 보아 남조류는 동물플랑크톤에 의해 효율적으로 포식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봄의 규조류 증식 초기에는 bottom-up 효과가 우세하였고 이후에는 동물플랑크톤이 증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억제하는 top-down 효과가 우세하였으며, 남조류 번성기에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의 먹이 연쇄의 기능적 연결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는 미생물먹이망의 기능이 중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84.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6월부터 1996년 6월까지 한강 하류 7개 정점에서 6회에 걸친 현장조사를 통하여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70분류군 (taxa)으로 원생동물 3종, 윤충류 25종, 지각류 18종, 요각류 13종, 다모류 1종 등 60종이 종준위까지 동정되었다. 계절별로는 1995년 6월에 전정점에서 10~27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다양한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 발생 직후인 1995년 7월에 가장 빈약하게 출현하였다. 정점별로는 상류에서 하류보다 많은 종류가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최대출현량은 입방미터당 44,317 개체(1996년 6월, 정점 7)를 기록하였으나 같은 정점에서 1995년 7월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계절별로는 1995, 1996년 모두 6월에 높은 출현량을 기록하였으며 7월과 1월에 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우점종으로는 지각류인 Daphnia galeata와 D. pulex 및 Bosmina longirostris와 요각류인 Canthocamptus carinatus, Cyclops vicinus, Thermocyclops hyalinus 및 요각류 유생이 출현하였다. 단일종으로 D. galeata가 최대 입방미터당 16,964개체의(1996년 6월, 정점 2) 농밀한 개체군을 형성하였으며 D. pulex, B. longirostris, T. hyalinus, C. vicinus도 각각 입방미터당 9,375 개체, 7,250개체, 6,714개체 및 5,772개체의 개체군이 관찰되었다. 동물플랑크톤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996년 5, 6월을 제외하고는 상류역인 정점 1~4에서 하류역인 5~7보다 높게 나타났다.
        4,000원
        91.
        202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activate Artemia sp. (Zooplankton) in ballast water through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process. The DBD plasma process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direct electric discharge in water and utilizing chemically active species generated by the plasma reacti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plasma reaction are as follows; high voltage of 9-22 kV, plasma reaction time of 15-600 s, and air flow rate of 0.5-5.5 L/m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al experimental conditions for Artemia sp inactivation were 16 kV, 60 s, 2.5 L/min,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otal residual oxidants and ozone generated by plasma reac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in voltage and reaction time, and the concentration of generated air did not increase above a certain amount.
        92.
        202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ballast water management agreement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came into force on September 8, 2017. This study evaluated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electrolysis, UV treatment, and electrolysis + UV combined, to improve the treatment of zooplankton (size ≥ 50 μm), which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standards for biodegradation efficiency. Among the methods used, the disinfection time leading to 100% death was in the order: electrolysis > electrolysis + UV > UV process. For the same level of disinfection performance, the amount of electricity required for the electrolysis, UV, and electrolysis + UV processes were 1,300 W.s, 8,400 W.S, and 4,500 W.s, respectively. The combination of electrolysis + UV process for inactivation of zooplankton in ballast water did not show a synergic effect owing to the slow disinfection time and high power consumption.
        93.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rbon biomass of plankton community,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Chlorophyll a (chl.a) concentration were examined in the SeoNakdong river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14, to assess composition of phyto- and zoo-plankton variation, to cer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hl.a and TOC and to determine the level of contribution of plankton carbon content to TOC in the reservoir-river ecosystem. The correlation level between TOC and chl.a was low in the year 2014 but exceptionally was highly correlated only during the period with cyanobacterial bloom. The high level of contribution of plankton carbon content to TOC was attributed to cyanobacterial carbon biomass from May to November and to Cladocera carbon biomass from March to May, November and December despite of its low abund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ere inter-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zooplankton and TOC and also subtle consistency of their properties through the year. These patterns should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hysio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as well as to allochthonous organic matters from non-point pollution sources.
        9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discussed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single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processes and the physical-chemical complex treatment processes on the inactivation of Artemia sp. in order to satisfy the USCG Phase Ⅱ (United States Coast Guard). The results showed that initial disinfection rate of ultrasonic process in single batch process is higher than that of electrolysis. However, the inactivation rate showed slower than electrolysis. The inactivation rate of Artemia sp. on the single continuous treatment process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 homogenizer 〉 electrolysis 〉 ultrasonic process. Inactivation rate of Artemia sp. in continuous homogenizer-electrolysis complex process was reached at 100% immediately. A synergistic effect of ultrasonic–electrolytic complex process was found to be a small. The order of processes in a complex process did not affect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95.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larify the seasonal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nity in Macheon Bay. the study was carried out trimonthly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6 to January 1997. 37 taxa and 7 unconfirmed species of zooplankton was identified. It consisted of 28 species of Protozoa. 1 species of Cnidaria, 1 species of Annelida, 2 larva of Mollusca, 3 species of Rotifera, 4 species and 4 larva of Arthropoda and 1 larva of Echinodermata, respectively. Seasonal succession of the dominant species was Tintinnopsis beroidea in the spring. Copepodite in the summer. Tintinnopsis directa in the autumn and Ceratium fusus in the winter. Abundance of zooplankton ranged from 4.720 to 4 1.215 inds./ . It was high in the summer (4 1.215 inds./ ) and low in the spring (4.720 inds./ 1 ). Dominant index ranged from 0.133 (in the spring) to O. 551 (in the winter). Species diversity index ranged from 1.114 (in the winter) to 1.996 (in the spring).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