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

        10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외국의식중독균별저감화사례를조사, 비교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식중독균 저감화 매뉴얼을 작성하며 저감화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 자료 확보를 목적 으로 수행하였다. 선진 외국(미국, 덴마크, 일본)의 식중독 저감화 정책의 현황 및 사례조사에는 인터넷 자료, 관련 기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미국의 신선농산물에서 미생 물학적 위험요소 저감화(FDA), 미국 분쇄쇠고기에서 E. coli O157:H7의 저감화(USDA), 덴마크의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에서 살모넬라 저감화, 일본의 어패류에서 장염비 브리오 저감화 프로그램을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국가의 저감 프로그램의 배경, 전략, 효과를 조사하고 장단점 분석을 실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들 제외 국 정책 사례 연구와 국제기구 CODEX의 위해관리 체계 를 결합하고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식중독 저감화 관리 매뉴얼로 저감 프로그램에 관한 일반 모델을 다음 순서로 제시하였다: 1) 위해관리 초기판단, 2) 식중독 저감화 프 로그램 계획, 3) 대안 확인 및 선택, 4) 대안 실행(이해당 사자별 역할 설정 및 대안 방법 적용), 5) 감시 활동, 6) 중간 재검토, 7) 목적 달성 때까지 대안 실행 지속적 실시 (만일 대안이 효과가 없으면 대안을 대체하거나 수정하여 식중독 저감화 목표 달성 시까지 실시), 8) 최종 평가에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필요시 비용 편익 분석 실시.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식중독 저감화 정책에 관한 시사점 및 식품안전의 이해당사자별 역할별로 도출된 식 중독 저감화 정책 모델 및 매뉴얼은 미생물학적 위해관리를 수행하는데 향후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0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곤약 가공을 위한 응고제와 침지액을 선정하고, 침지액 농도에 따른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응고제 종류에 따른 곤약의 응고시간별 물성 변화는 응고액의 종류에 관계없이 응고시간이 진행될수록 경도, 검성 및 씹힘성이 증가하였다. 응고제 종류에 따른 곤약의 무기질 함량은 응고제가 Ca(OH)2일 경우, NaOH를 이용한 곤약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Ca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응고제가 NaOH일 경우에는 Ca(OH)2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Na 함량을 나타내었다. Mg와 P의 경우에는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색, 향,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곤약의 제조과정 중 식중독균인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을 접종하여 Ca(OH)2 농도에 따른 항균 활성을 본 결과, 1.0×10-4 N 용액에 저장한 곤약이 가장 항균 활성이 적었으며, 1.0×10-2 N 농도가 가장 항균 활성이 높았다. 즉, 응고액의 농도에 비례하여 균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 공정 별 미생물 변화는 구약감자 분말을 입고하여 저장시켰을 때 미생물 수가 약간 증가하지만, 그 이후 공정부터는 미생물 수가 급격하게 감소되며, 성형 이후부터는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0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internet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which have recently been considered as serious social problem associated with internet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relation with family function by using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online games and family leisure 2009." The object of the study is students and parents from grade 7 to 9 of middle school nationwide.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16.0. In the result of the study,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had negative effect on game addiction, and parents' problem type communication had positive effect; among the influences of parents' open type and problem type communications on game addictions, it was shown that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tion) had negative mediated effect.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when family played its role properly, adolescents were able to escape from the game addiction, and such influence is very powerful. The result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insufficient, emphasizing the need to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4,000원
        10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the foodborne pathogen risk management programs in a couple of developed countries by the expert meeting and searching the information on the web. The backgrounds, strategies and effects related to microbial hazards of the foodborne pathogen reduction programs in fresh produce (US), Escherichia coli O157:H7 in ground beef (US), Salmonella in chicken, pork and eggs (Denmark), and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 (Japan) were investigated for case study. A comparison among the pathogen reduction programs was conducted to fi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to bring out implications of the programs. A model for foodborne pathogen reduc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both the CODEX risk management scheme and the case studies as follows; 1) preliminary risk management activities, 2) planing a foodborne pathogen reduction program, 3) option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4) implementation (conducting the each stake-holders role and applying the intervention methods), 5) monitoring activities, 6) interim review, 7) continuation or amendment of implementation method by the interim review before achieving the goal, and 8) final review and additional cost-benefit analysis if necessary. This proposed model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stake-holders can be used to conduct microbial risk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in the near future.
        4,000원
        10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recent 5-6 years, the ratio of smart phone user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to over 65% of cellular subscribers and half of all population. While smartphones have given enormous convenience to our lives, pathological use of smartphones has brought a new mental health concern among the community. Therefore, huge interest sheds on the studies on the cause analysis and trea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However, the traditional clinic approach based survey and interview has serious drawbacks of its subjectivity and inability of continual monitoring and treatment. In this paper, SAMS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system) is presented, which monitors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provides statistical analysis, and policy-based usage intervention. A trail test is performed for checking he reliability and efficacy of SAMS in smartphone addiction research, and some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re done: daily use count, not daily use time, has strong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CC=0.62 and CC =0.00 fo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ounts and times with total survey score, and p = 0.047 and p = 0.507 for t-test analysis of contrast group.
        4,000원
        106.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외 기업 간 경쟁의 심화로 인해 근로시간이 증가하면서 일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일중독은 일몰입, 일에 대한 강박관념, 일향유감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일중독자일수록 직무성과뿐 아니라 개인의 건강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일중독은 성취지향성이 높은 개인의 한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일중독이 가진 부정적·긍정적 효과를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일중독 자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이 일중독의 부정적 효과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일중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대기업과 100억 이상 매출을 가진 중소기업 종사자 21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에 대한 강박관념과 일 향유감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향유감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일중독이 부정적 결과만을 유발한다는 것과 달리 긍정적 측면도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둘째, 일중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조직적 차원에서 관리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일중독 경향이 강한 구성원이라도 조직의 사회적 지원이 있는 경우 직무만족은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는 감소시켜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지원은 상황요소를 고려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중독과 직무성과간 부정적 관계는 개인적 차원에서도 관리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재론자는 외재론자에 비해 일중독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외재론자라 하더라도 일중독의 하위요소 중 일향유감이 높은 경우,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내재론자에 대한 일중독 관리가 더 필요하며, 나아가 외재론자하더라도 일향유감을 만끽할 수 있도록 일관리를 한다면 성취지향적 업무수행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6,300원
        10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산물 중 식중독세균 검출을 위한 시료 전처리 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처리용액, 전처리 시간, 전처리용액과 시료의 비율에 따른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상추, 들깻잎, 오이, 고추, 방울토마토에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S. aureus, B. cereus를 6.0 log CFU/ cm2로 접종하고 0.1% 펩톤수와 D/E broth로 처리하였다. 또한 처리시간은 30, 60, 90, 120초, 시료와 전처리용액의 비율은 1 : 2, 1 : 4, 1 : 9, 1 : 19로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 D/E broth로 처리하였을 때 0.1% 펩톤수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식중독균의 회수율이 높았다(P < 0.05). 특히 방울토마토의 경우, D/E broth로 처리한 구의 S. Typhimurium의 수는 0.1% 펩톤수로 처리한 구 보다 1.05 log CFU/cm2 높았다(P < 0.05). 또한 들깻잎, 양상추, 오이, 고추, 토마토와 전처리용액의 최적 비율은 1 : 9, 1 : 4, 1 : 2, 1 : 2, 1 : 2였다. 한편, 처리시간에 따른 회수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 해 볼 때 농산물 중 식중독균 검출을 위한 전처리용액은 D/E broth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표면적에 따라 시료와 전처리 용액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advent of smart phones in 2007, the population of smart phone user has been increasing at stunning rate in Korea. In spite of many benefits such as full internet access, location based service, and easy installation of new applications, many social and medical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the concern of overuse of smart phones, especially for teenagers on game and internet addiction. However, most of studies are based on the survey research, so often questioned to be limited number of sample and subjective, which can be overcome by evident-based study. The paper presents a pilot development of Google Android app that provides the 24-hour-measured application usage pattern of smart phone users. A requirement study performed with medical doctors and phycologists are discussed and the key technical and application issues are discussed and their solutions are presented. The system is designed to be extensible so that social network and additional service can be applied based on the user. The measured data is expected to be used for study the cause and treatment of game and internet addiction for teenagers and adults.
        4,000원
        10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if the user's motivation for different game platform affects their tendency for game addiction. Game platforms profoundly relate to characteristics of game contents and the way games are played. While much game market expansion is driven by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game platforms such as video and audio, the effect game platforms have on the way game is played is largely overlooked. A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PCs, consols, smart phones and smart pads as major game platforms and how users have different motivations for playing those platforms which is expected to associate with the degree of their game addiction. Six motivations were extracted - mobility, contents characteristics, media characteristics, sociality, game interface, and economic profitability. Across the four game platforms, all motivations except for economic profitability were proven to be meaningful predictors of game addiction.
        4,000원
        11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미생물학적 식품안전상쉽게 영향 받을 수 있는 식품과 관련 식중독세균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Risk Ranger를 활용한 Excel spreadsheet상의 모델을 개발하였고, 모델 입력값은 자료의 부족으로전문가 설문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확률분포모델과 @RISK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국내 식품중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위 5개 식품군과 이들식품과 관련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을 결정하였다. 추정결과, 상위 5종 식품과 관련 식중독 세균으로는 즉석섭취식품류(RTE)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떡류 및 빵류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식육 및알가공품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 황색포도상구균), 두부류 또는 묵류 (바실러스 세레우스, 병원성대장균O157:H7, 황색포도상구균)였으며, 마지막으로 어육가공품(황색포도상구균, 비브리오, 병원성대장균 O157:H7)의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ealing how ‘GAME ADDCTION’ becomes a discourse. Wit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GAME ADDICTION’ is tool for restricting ‘ABNORMAL’. In conclusion , ‘GAME ADDICTION’ was born in Korea at 1990, and become a discourse with ‘STARCRAFT sensation’ and ‘PCbang’. Social organizations used game addiction discourse from 1999 to 2004. And psychiatry started ruling game addiction discourse from 2005. Now psychiatry is using game addiction to expand their power into home. These processes resembles Foucault,M.’s “LES ANORMAUX”. And many things prove that psychiatry acts just like what that did at Foucault’s 19c. We have to aware what is going on in Korea about game addiction and need to study on psychiatry’s actions.
        4,000원
        11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ulti-drug resistance patterns have been carried out on total of 210 isolated of Salmonella spp. and pathogenic E. coli isolated from food poisoning patients on January through December 2012 in Incheon, Korea. The highest percentage of antibiotics resistance was found to the following antimicrobial agents: tetracycline 43.8%, ampicillin 34.8%, nalidixic acid 23.8%,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and chloramphenicol 12.4%, and ampicillin/sulbactam 11.4%.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istance was 37.5% to ampicillin for Salmonella spp. and 59.0% to tetracycline for pathogenic E. coli. Overall the multidrug resistance rates of 1 drug was 26.2%, 2 drugs 9.0%, 3 drugs 9.5%, 4 drugs 7.1%, and 5 or more drugs 12.46%. The multi-drug (MDR) strains to four or more antimicrobial agents among the resistant organisms were quite high: 15.9% and 22.1% for Salmonella spp. and pathogenic E. coli, respectively. The study implies that limitation of unnecessary medication use is pertinent in order to maintaining the efficacy of drugs.
        4,000원
        11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pathogenic E. coli is one of the main foodborne pathogens resulting in many patients in Kore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 in 2009 (41 reports) and in 2010 (27 reports) were collected in the web site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view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The main places of the pathogenic E. coli outbreaks were food catering service area (64.8%) and restaurants (25.0%). The main type of the pathogens were EPEC (44.7%) and ETEC (34.2%). EAEC and EHEC was responsible for 10.5 and 9.2%, respectively. Eight of 68 outbreak cases were caused by more than 2 types of pathogenic E. coli which implicates the complicated contamination pathways of pathogenic E. coli. The incidence rate of pathogenic E. coli was 33.6 ± 30.5% and the main symptoms were diarrhea, stomach ache, nausea, vomiting, and fever etc. The two identified food sources were identified as frozen hamburger pattie and squid-vegetable mixture. To improve the food source identification by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od poisoning notification to the agency should not be delayed, whole food items attributed the outbreak should be collected and detection method of the various pathogenic E. coli in food has to be improved.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HEC outbreaks in the western countries and the EPEC or ETEC outbreaks in Korea needs to be distinguished to prepare food safety management pla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trace back system to find the contamination pathway with the improved detection method in food and systemic and cooperative support by the related agencies are necessary.
        4,000원
        11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복지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이에 사람과의 소통과 일상에의 집중 및 총체적인 안정감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관하여 조사하여 미래의 사회복지사인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와 우울 그리고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재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 193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 실태로는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하였고, 처음 생각한 시간보다 과다 사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간의 관계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은 사용시간, 사용요금, 우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이러한 중독적인 경향성의 지속적인 파악과 함께 사용시간을 가급적 통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겠다.
        5,100원
        11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표적인 2종의 미생물(E. coli, B. subtilis)을 이용하여 초기 미생물 농도에 대한 광 펄스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미생물의 사멸율이 초기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25 kV에서 1500 μs 처리 시 최소 5 log 이상의 미생물 감소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4종의 유해미생물(B. subtilis,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의 광 펄스 처리시간에 따른 미생물 사멸효과는 모든 미생물이 처리시간에 증가함에 따라 효과가 상승하였고 1500 μs 처리 시 모든 미생물이 6 log 이상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광 펄스 처리시간에 따른 미생물 사멸속도는 1차 반응속도와 상응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4종 유해미생물의 배지 두께에 따라 미생물 불활성화 효과에 대한 민감 정도를 알아본 결과 E. coli의 두께 민감 상수가 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시료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사멸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색(노랑, 빨강, 파랑, 녹색, 흑색)에 따른 E. coli의 사멸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기 균체농도, 광 펄스 처리 시간, 두께에 따른 미생물 사멸효과의 민감도 등이 실제 식품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water, TW), 에탄올(ethanol, TE) 및 핵산(n-hexane, TH)을 이용하여 탱자씨 추출물(trifoliate orange seed extracts, TSEs)을 각각 제조한 후 그람양성 식중독균 6종(Bacillus cereus KCCM 11341, Bacillus subtilis KCTC 1022,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2692, Staphylococcus aureus ATCC 19111,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및 Yersinia enterocolitica KCCM 41657)에 대한 항균활성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prebiotic effec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탱자씨 핵산추출물(TH)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해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강한 증식저해활성을 보였으며, 탱자씨 에탄올 추출물(TE)은 약간의 증식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배양 81시간 후 대조군은 90.31%의 증식활성을 보인 것에 반해 탱자씨 핵산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64.95%와 75.50%의 증식활성을 각각 보였다. 탱자씨 추출물의 Lb.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증식활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생육저해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탱자씨의 핵산 및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한 항균활성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11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icacy of aerosol sanitizer with natural antimicrobial and organic acid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 artificially inoculated pathogens on stainless steel coupon were treat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GFE), acetic acid,citric acid and lactic acid in model cabinet for 5 min. The number of three foodborne pathogens with individual treatment was reduced by 0.34-3.77 log units, treatment with GEF + organic acid was reduced by 1.72-3.89 log units and treatment with GEF + organic acid + alcohol was reduced by 1.46-5.05 log units. By treatment with GEF + lactic acid + alcohol in scale-up model system for 10 min. Populations of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were reduced by 3.42, 2.72 and 2.30 log units from the untreated control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aerosol sanitizer with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and organic acid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al sanitation method with satisfying the consumer demand on safe food.
        4,000원
        11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이 삶의 질, 심리사회 기능 및 알코올 소비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이러한 치료기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색방법 : 국내외 논문테이타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이용한 전자 검색과 관련 저널에서 수기 검색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정기준 : 1990년부터 2011년 5월까지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Ⅰ수준의 Randomized Control Trial (RCT)이며 결과변수로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 : 문헌 선정은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선정하였고, 일치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토의과정을 통하여 일치되는 하나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차를 사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대상 논문들의 통계적 이질성, 민감도, 출판편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총 9편의 연구 중 참여자는 총 6,726명 이었고 효과크기는 삶의 질 0.24, 심리사회 기능 0.35, 알코올 소비량0.31이었다. 심리사회기능과알코올소비량의효과크기는통계적으로유의한수준이었고(p<.001),“ 작은 효과크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 이질성 검사에서 유의한 이질성과 출판편의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본 연구 결과는 신뢰할 수 있음을 뒷받침해 준다. 결론 : 알코올 중독자에게 실시하는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은 심리사회 기능, 알코올 소비량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신보건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위해 알코올 중독자의 효과적인 치료 개입을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5,100원
        11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FDA compiles the statistical data of food poisoning outbreaks two or more persons since 2002in Korea and release them to the public on the web. There is a gap of outbreak number between the real situation and the reports. To reduce the gap, addition of sporadic individual case of food poisoning may be one of the solution method. The statistical data of Japan where food consumption pattern is similar to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ratio and the pattern between the outbreak cases two or more persons and individual cases. By doing so,the data of Japan regarding to outbreak cases two or more persons will be comparable to that of Korea. The data of 2002 and 2003 in Japan showed that sporadic individual cases were 43.3% in the total food poisoning cases. The individual cases occurred highly in unknown places (90-92.3%) and home (6.2-8.5%) whileas the outbreaks two or more persons occurred mostly in the place of restaurants (46.6-50.1%) and inns (9.2-9.8%). The food-borne pathogens attributed to the individual cases were C. jejuni (51.9%), Salmonella spp. (35.3%), and V. parahaemolyticus (9.8%)while those to the outbreak cases two or more persons were norovirus (31.3%), Salmonella spp. (20.8%), C. jejuni (15.5%) in Japan. The data of 2002-2009 between Korea and Japan showed the outbreak case report rate was 1:1.5based on the total population number.
        4,000원
        12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약류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그 폐해는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사용자 개인에 국한되지 않고 가정과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류의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마약류중독자 치료보호제도의 현황분석을 통한 제도 활성화의 저해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의 마련을 통해 치료보호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약류 사범은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며, 더불어 마약중독자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재활 프로그램이 절실하다. 치료보호기관의 저조한 실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관측의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검찰 측의 협조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에 대한 획기적이고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치료보호제도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정신의료기관, 민간단체 등) 등 관련 인프라와의 접근성 강화로 퇴원자의 지속적 추후 관리에 의한 사회복귀 효과 제고 및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지정기관에 대한 예산 지원 강화 등 인센티브 부여로 사업에 대한 적극적 동기를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치료명령제의 도입 및 조건부 기소유예 및 집행유예제도 검토, 치료보호가이드라인의 제작,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8,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