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if the user's motivation for different game platform affects their tendency for game addiction. Game platforms profoundly relate to characteristics of game contents and the way games are played. While much game market expansion is driven by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game platforms such as video and audio, the effect game platforms have on the way game is played is largely overlooked. A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PCs, consols, smart phones and smart pads as major game platforms and how users have different motivations for playing those platforms which is expected to associate with the degree of their game addiction. Six motivations were extracted - mobility, contents characteristics, media characteristics, sociality, game interface, and economic profitability. Across the four game platforms, all motivations except for economic profitability were proven to be meaningful predictors of game addiction.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미생물학적 식품안전상쉽게 영향 받을 수 있는 식품과 관련 식중독세균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Risk Ranger를 활용한 Excel spreadsheet상의 모델을 개발하였고, 모델 입력값은 자료의 부족으로전문가 설문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확률분포모델과 @RISK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국내 식품중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위 5개 식품군과 이들식품과 관련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을 결정하였다. 추정결과, 상위 5종 식품과 관련 식중독 세균으로는 즉석섭취식품류(RTE)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떡류 및 빵류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식육 및알가공품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 황색포도상구균), 두부류 또는 묵류 (바실러스 세레우스, 병원성대장균O157:H7, 황색포도상구균)였으며, 마지막으로 어육가공품(황색포도상구균, 비브리오, 병원성대장균 O157:H7)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ealing how ‘GAME ADDCTION’ becomes a discourse. Wit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GAME ADDICTION’ is tool for restricting ‘ABNORMAL’. In conclusion , ‘GAME ADDICTION’ was born in Korea at 1990, and become a discourse with ‘STARCRAFT sensation’ and ‘PCbang’. Social organizations used game addiction discourse from 1999 to 2004. And psychiatry started ruling game addiction discourse from 2005. Now psychiatry is using game addiction to expand their power into home. These processes resembles Foucault,M.’s “LES ANORMAUX”. And many things prove that psychiatry acts just like what that did at Foucault’s 19c. We have to aware what is going on in Korea about game addiction and need to study on psychiatry’s actions.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ulti-drug resistance patterns have been carried out on total of 210 isolated of Salmonella spp. and pathogenic E. coli isolated from food poisoning patients on January through December 2012 in Incheon, Korea. The highest percentage of antibiotics resistance was found to the following antimicrobial agents: tetracycline 43.8%, ampicillin 34.8%, nalidixic acid 23.8%,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and chloramphenicol 12.4%, and ampicillin/sulbactam 11.4%.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istance was 37.5% to ampicillin for Salmonella spp. and 59.0% to tetracycline for pathogenic E. coli. Overall the multidrug resistance rates of 1 drug was 26.2%, 2 drugs 9.0%, 3 drugs 9.5%, 4 drugs 7.1%, and 5 or more drugs 12.46%. The multi-drug (MDR) strains to four or more antimicrobial agents among the resistant organisms were quite high: 15.9% and 22.1% for Salmonella spp. and pathogenic E. coli, respectively. The study implies that limitation of unnecessary medication use is pertinent in order to maintaining the efficacy of drugs.
Recently pathogenic E. coli is one of the main foodborne pathogens resulting in many patients in Kore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 in 2009 (41 reports) and in 2010 (27 reports) were collected in the web site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view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The main places of the pathogenic E. coli outbreaks were food catering service area (64.8%) and restaurants (25.0%). The main type of the pathogens were EPEC (44.7%) and ETEC (34.2%). EAEC and EHEC was responsible for 10.5 and 9.2%, respectively. Eight of 68 outbreak cases were caused by more than 2 types of pathogenic E. coli which implicates the complicated contamination pathways of pathogenic E. coli. The incidence rate of pathogenic E. coli was 33.6 ± 30.5% and the main symptoms were diarrhea, stomach ache, nausea, vomiting, and fever etc. The two identified food sources were identified as frozen hamburger pattie and squid-vegetable mixture. To improve the food source identification by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od poisoning notification to the agency should not be delayed, whole food items attributed the outbreak should be collected and detection method of the various pathogenic E. coli in food has to be improved.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HEC outbreaks in the western countries and the EPEC or ETEC outbreaks in Korea needs to be distinguished to prepare food safety management pla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trace back system to find the contamination pathway with the improved detection method in food and systemic and cooperative support by the related agencies are necessary.
사회복지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이에 사람과의 소통과 일상에의 집중 및 총체적인 안정감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관하여 조사하여 미래의 사회복지사인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와 우울 그리고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재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 193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 실태로는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하였고, 처음 생각한 시간보다 과다 사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간의 관계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은 사용시간, 사용요금, 우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이러한 중독적인 경향성의 지속적인 파악과 함께 사용시간을 가급적 통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겠다.
대표적인 2종의 미생물(E. coli, B. subtilis)을 이용하여 초기 미생물 농도에 대한 광 펄스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미생물의 사멸율이 초기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25 kV에서 1500 μs 처리 시 최소 5 log 이상의 미생물 감소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4종의 유해미생물(B. subtilis,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의 광 펄스 처리시간에 따른 미생물 사멸효과는 모든 미생물이 처리시간에 증가함에 따라 효과가 상승하였고 1500 μs 처리 시 모든 미생물이 6 log 이상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광 펄스 처리시간에 따른 미생물 사멸속도는 1차 반응속도와 상응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4종 유해미생물의 배지 두께에 따라 미생물 불활성화 효과에 대한 민감 정도를 알아본 결과 E. coli의 두께 민감 상수가 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시료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사멸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색(노랑, 빨강, 파랑, 녹색, 흑색)에 따른 E. coli의 사멸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기 균체농도, 광 펄스 처리 시간, 두께에 따른 미생물 사멸효과의 민감도 등이 실제 식품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물(water, TW), 에탄올(ethanol, TE) 및 핵산(n-hexane, TH)을 이용하여 탱자씨 추출물(trifoliate orange seed extracts, TSEs)을 각각 제조한 후 그람양성 식중독균 6종(Bacillus cereus KCCM 11341, Bacillus subtilis KCTC 1022,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2692, Staphylococcus aureus ATCC 19111,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및 Yersinia enterocolitica KCCM 41657)에 대한 항균활성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prebiotic effec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탱자씨 핵산추출물(TH)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해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강한 증식저해활성을 보였으며, 탱자씨 에탄올 추출물(TE)은 약간의 증식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배양 81시간 후 대조군은 90.31%의 증식활성을 보인 것에 반해 탱자씨 핵산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64.95%와 75.50%의 증식활성을 각각 보였다. 탱자씨 추출물의 Lb. acidophilus IFO 3025에 대한 프레바이오틱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증식활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생육저해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탱자씨의 핵산 및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 ATCC 19111에 대한 항균활성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icacy of aerosol sanitizer with natural antimicrobial and organic acid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 artificially inoculated pathogens on stainless steel coupon were treat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GFE), acetic acid,citric acid and lactic acid in model cabinet for 5 min. The number of three foodborne pathogens with individual treatment was reduced by 0.34-3.77 log units, treatment with GEF + organic acid was reduced by 1.72-3.89 log units and treatment with GEF + organic acid + alcohol was reduced by 1.46-5.05 log units. By treatment with GEF + lactic acid + alcohol in scale-up model system for 10 min. Populations of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were reduced by 3.42, 2.72 and 2.30 log units from the untreated control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aerosol sanitizer with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and organic acid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al sanitation method with satisfying the consumer demand on safe food.
목적 :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이 삶의 질, 심리사회 기능 및 알코올 소비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이러한 치료기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색방법 : 국내외 논문테이타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이용한 전자 검색과 관련 저널에서 수기 검색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정기준 : 1990년부터 2011년 5월까지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Ⅰ수준의 Randomized Control Trial (RCT)이며 결과변수로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 : 문헌 선정은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선정하였고, 일치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토의과정을 통하여 일치되는 하나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차를 사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대상 논문들의 통계적 이질성, 민감도, 출판편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총 9편의 연구 중 참여자는 총 6,726명 이었고 효과크기는 삶의 질 0.24, 심리사회 기능 0.35, 알코올 소비량0.31이었다. 심리사회기능과알코올소비량의효과크기는통계적으로유의한수준이었고(p<.001),“ 작은 효과크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 이질성 검사에서 유의한 이질성과 출판편의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본 연구 결과는 신뢰할 수 있음을 뒷받침해 준다. 결론 : 알코올 중독자에게 실시하는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은 심리사회 기능, 알코올 소비량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신보건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위해 알코올 중독자의 효과적인 치료 개입을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FDA compiles the statistical data of food poisoning outbreaks two or more persons since 2002in Korea and release them to the public on the web. There is a gap of outbreak number between the real situation and the reports. To reduce the gap, addition of sporadic individual case of food poisoning may be one of the solution method. The statistical data of Japan where food consumption pattern is similar to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ratio and the pattern between the outbreak cases two or more persons and individual cases. By doing so,the data of Japan regarding to outbreak cases two or more persons will be comparable to that of Korea. The data of 2002 and 2003 in Japan showed that sporadic individual cases were 43.3% in the total food poisoning cases. The individual cases occurred highly in unknown places (90-92.3%) and home (6.2-8.5%) whileas the outbreaks two or more persons occurred mostly in the place of restaurants (46.6-50.1%) and inns (9.2-9.8%). The food-borne pathogens attributed to the individual cases were C. jejuni (51.9%), Salmonella spp. (35.3%), and V. parahaemolyticus (9.8%)while those to the outbreak cases two or more persons were norovirus (31.3%), Salmonella spp. (20.8%), C. jejuni (15.5%) in Japan. The data of 2002-2009 between Korea and Japan showed the outbreak case report rate was 1:1.5based on the total population number.
마약류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그 폐해는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사용자 개인에 국한되지 않고 가정과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류의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마약류중독자 치료보호제도의 현황분석을 통한 제도 활성화의 저해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의 마련을 통해 치료보호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약류 사범은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며, 더불어 마약중독자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재활 프로그램이 절실하다. 치료보호기관의 저조한 실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관측의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검찰 측의 협조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에 대한 획기적이고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치료보호제도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정신의료기관, 민간단체 등) 등 관련 인프라와의 접근성 강화로 퇴원자의 지속적 추후 관리에 의한 사회복귀 효과 제고 및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지정기관에 대한 예산 지원 강화 등 인센티브 부여로 사업에 대한 적극적 동기를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치료명령제의 도입 및 조건부 기소유예 및 집행유예제도 검토, 치료보호가이드라인의 제작,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speedy, convenient and easy detec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and on the contrary, studies on development of traditional detectors applying biochemical characteristics has gradually been decreased. This review examined trend in current studies on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the fields of selective media, immuno-assa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icroarray, terahertz spectroscopy &imagination and so on. Most traditional methods to detect the organisms from food matrix rely on selective media and such a method have disadvantages like long time requirement and distinguishing one species only from each selective medium although they are highly economical. Various new convenient methods such as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paper-strip kit, fluoroimmunoassay etc. have been developed. The most ideal method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foods should be accurate, convenient, rapid and economical.
Additionally, it is needed that capabilities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automation to be applied to industries.
아동들에게 있어 컴퓨터 게임은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고 컴퓨터 게임 중독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를 학생의 배경변인과 선호게임의 유형별로 분석하여 보고, 게임요소와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학생들의 게임중독을 예방하고, 게임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동들의 게임 요소가 컴퓨터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 연구와 실험 연구를 병행하였다. 통계처리방법은 게임 요소 선호도와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게임요소와 컴퓨터 게임중독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컴퓨터 게임 중독 성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게임요소 중 감각적 욕구충족, 현실이탈 욕구충족, 사회적 욕구충족에 대한 선호도가 게임중독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적 욕구충족과 경쟁 욕구 충족에 대한 선호도는 컴퓨터 게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대인관계기술이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고등학교 남․여학생 313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인터넷 게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위변인에서는 친밀도가 게임중독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대인관계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위변인에서는 부모존경과 존중이 대인관계기술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인관계기술은 인터넷 게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위변인에서는 만족감이 게임중독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식품시료와 교차오염 원인의 지표가 될 수 있는 도마에 접종한 후 오존수와 일반 수돗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미생물의 변화와 세척방법에 따른미생물의 변화를 각각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일반 수돗물보다 오존수가 살균효과가 더 높았고, 같은 세척수로 세척 시에도 접종 방법, 실험시료 및 시료의 표면, 균질화에 따라 살균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척방법으로는 침수보다 주수 에서 살균효과가 더 컸으며 오존수의 농도는 0.2 ppm에서 유의적인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오존수 농도가 0.4, 0.6, 1.0 ppm으로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살균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0.2 ppm 이상의 오존수가 부패 미생물 제어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식품의 제조 가공 시 여러 안전성 면에 있어서 오존수를 이용한 세척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 morifolium against four Gram-positive bacteria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s was determined by agar-well diffusion assa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Essential oil of C. morifolium had a large inhibition zones especially against Salmonella enterica(21 mm) and Bacillus cereus(l9 mm). Essential oil of C. morifolium generally show4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m-positive bacteria than Gram-negative bacteria. MIC of essential oil from C. morifolium was 5㎕/㎖ against ten food-borne pathogens. MBC values were determined to be from 5 to 20㎕㎖ against eight bacteria except Salmonella choleraesu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refore, the essential oil of C. morifolium and its components have a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novel food preservative.
The epidemiology of reported food-borne disease (FBD) outbreaks from 2001 to 2008 in Korea and Japan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he outbreak rate of FBD in Japan was significantly higher although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 in each outbreak in Korea was much higher. In both countries, summer was the season when most FBD outbreaks occurred. The comparison study revealed that FBD outbreaks in spring were more frequent in Korea, and outbreaks in winter were more frequent in Japan. Almost half of FBD outbreaks were observed at restaurants in both countries while FBD outbreaks at schools and work-places in Korea were much higher than in Japan. The most frequent cause of bacterial FBDs in Korea was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ollowed by Salmonella species. On the other hand, Campylobacter jejuni was the most frequent source of bacterial FBDs in Japan. Norovirus, which is related to uncontrolled hand hygiene and involvement of ill food workers, was the main cause of viral FBDs in both countries. In conclusion, there are common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several differences in FBD outbreaks of Korea and Japan. These are suggested to be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 of climate, food sources, and life styles in two countries. Establishment of stricter control and surveillance system for FBD outbreaks are required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FBD outbreaks in both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중독과 가족개입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특히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족대상의 프로그램개입의 필요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기준은 알코올중독치료를 병원 또는 외래치료기관에서 이미 받았으며, 단주를 3개월 이상 진행 중인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매 2시간 30분, 총 8회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공동의존척도, 결혼만족도, 정신건강 및 주관적 참여만족도를 사용하여 검증되었다. 이를 위해 사전조사, 프로그램 종료 후 1개월 두 추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참여대상자들은 알코올중독자에 대한 이해 및 수용이 높아졌으며, 낮은 공동의존점수, 높은 결혼만족도, 불안 및 안정감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회복 및 주관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알코올중독자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입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강화되고 확대되는 것이 중독자의 재활과 알코올중독자 가족기능을 증진하는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청소년에게 미치는 게임의 영향력이 높아지면서 인터넷 게임 중독에 대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 인터넷 게임 이용자의 유형 및 혁신성을 파악하고, 게임 이용 혁신자 집단과 비혁신자 집단을 분류하여 인터넷 게임 중독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혁신성 구 분, 인터넷 게임 중독의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군집분석과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 중 비혁 신자의 수가 혁신자보다 조금더 많았고, 게임 이용 혁신자가 비혁신자보다 인터넷 게임 중독의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터넷 게임 중독 청소년 내담자 특성은 사회복지학, 상담심리학, 교육학 등의 초기면접과 상 담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