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0

        101.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박물관 10개소에서 운영 중인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산림박물관의 효과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은 기대도보다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이용 대상연령의 다양성, 학습도구로서의 전시구성, 지역외부기관의 연계성 등의 경우 전시기법이나 재료가 학습도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산림박물관과 수목원을 연계한 체험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체험 위주의 전시연출을 위해 이용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참조하고, 체험전시의 주제와 내용전달 방식 등을 조화롭게 구성해야 한다. 또한 지역단체가 같이 참여 할 수 있는 참여형 산림박물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기획을 마련해야 한다.
        4,000원
        10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출발은 남북전쟁 기간 휘트먼의 병원 체험이 시인 자신은 물론 분열된 미국을 치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조명하는데 있다. “남과 북은 가장 중요한 하나의 거대한 병원이었다”(North and South was one vast central hospital)라는 휘트먼의 언급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 전쟁의 진실을 가장 잘 드러내는 병원 풍경은 시인의 상상력의 정수로 자리 잡고 있었다. 무엇보다 휘트먼의 병원 체험은 그의 삶을 통해 “가장 중요한 교훈”이 되었다. 여러 병원에서 자원 간호사로 활동했던 그의 경험은 『북소리』(Drum-Taps), 『전쟁 기간의 비망록』(Memoranda During the War) 등에 수록된 많은 시와 산문을 통해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 작품을 통해 휘트먼은 여성적이며 동시에 모성적인 속성과 긴밀히 연관된 시인-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상처를 치료하는 자」(“The Wound-Dresser”)라는 시는 그 대표적 예이다. 시인은 부상병들을 치유하는 “어루만지는 자석 같은 손길”(magnetic touch of hands)을 지닌 중년의 여성 간호사야말로 군병원에 가장 잘 부합된다는 사실을 그 만의 독특한 시선을 통해 역설한다. 고통으로 신음하는 부상병들로 가득한 병원의 풍경은 휘트먼에게 일평생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휘트먼은 “단순한 병원 스케치를 뛰어 넘는 어떤 것”을 담아낸 작품을 씀으로써 우리에게 전쟁의 진실을 왜곡 없이 전하고자 했다. 이는 “간호는 내게 종교였다”라는 그의 언급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중요한 점은 고통스러운 병원 체험을 집약하고 있는 ‘경련’(convulsiveness)이란 단어는 그의 심리적 상처, 곧 트라우마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시인은 ‘경련’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이야 말로 반복되는 고통의 기억과 꿈으로부터 개인적이고 동시에 집단적인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해 “언어적 이야기의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외상 기억과 외상성 꿈은 대개 “생생한 감각과 이미지”의 형상으로 재현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휘트먼의 「오래 전의 전쟁—꿈」(“Old War-Dreams”), 「포병의 환상」(“The Artilleryman’s Vision”), 『표본이 되는 날들』(Specimen Days)의 여러 전쟁 섹션 등의 시와 산문은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이렇듯 ‘경련’에 대한 글쓰기는 궁극적으로 시인에게 내재한 종교적 의미를 일깨움으로써 “진정한 앙상블과 미국의 규모에 대한 그의 가장 열렬한 시각”을 낳게 했다.
        6,300원
        103.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w do people aware of the role of the zoo, and the zoo had previously had their effects on the image, visit the zoo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eed for research on what is fe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for students and par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Zoos intimacy and excitement in any situation that action says about the attributes, intimacy (emotional interest) is saying about the differences appear. Experience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study to participants interested in the cause,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Jean. Education, safety, sanitation, etc. are not taken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the experient live antipathy to the conclusion that it came out.
        4,900원
        10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무용공연체험프로젝트‘춤추는 우리동네’에 참가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진지한 여가로서 커뮤니티댄스 참가와 공연 체험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가져다주는지를 밝히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28일까지 커뮤니티댄스 공연을 위해 약 3개월에 걸쳐 주 3회 3시간씩 커뮤니티댄스에 참가한 무용공연체험프로젝트‘춤추는 우리동네’참여자 12명 중 세평적 사례선택방법을 이용하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커뮤니티댄스 공연 참 여자들을 대상으로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커뮤니티댄스 워크숍과 공연 체험에 대한 심층면담 과 일지, 연구 참여자의 직접 지도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방 법에 근거하여 수집한 자료를 전사, 주제별 약호화, 의미 범주화와 의미 개념화의 세 가지 단계 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성인 여성들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커뮤니티댄스 공연 참 여자들에게 있어 체험은‘행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커뮤니티댄스를 통해‘즐거움’을 체험하는 복합적 구조로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커뮤니티댄스 공연 활동은 그들의 삶에 행 복한 경험을 느끼게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은 일반인이 춤을 춘다는 것과 공연을 한 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용기를 통해 극복해야 하는 대상으로 설정하고, 두려움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하여 자신의 진지한 여가활동인 커뮤니티댄스 공연에 몰입하였다. 이러한 참여자의 몰입 은 그들의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며 건강을 포함한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게 하였다.
        5,400원
        10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창의적인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과학, 기술, 공학적인 지식과 예술, 경영 및 인문, 사회 등의 모든 분야에서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특정 학문이 아닌 예술과 인문·사회, 경영, 정치 등의 사회 시스템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때 교육과정을 교과 간 연계하여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실생활에 필요한 체험, 지식 활용, 문제 해결능력을 갖추게 하는 융합적 교육이야말로 현실에 적용 가능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개별 문학 작품을 학습자의 삶과 관련지어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이를 통해 심미적 상상력과 건전한 심성을 계발하는데 주력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문학을 감상하는 다양한 융합적 감성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창의적 문학 감상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4,600원
        10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굿판을 21세기의 살아있는 연행 현장이며 지금-여기의 연행 판으로 보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한국과 시베리아의 전통 굿을 ‘총체연행물’로 대 할 것이다. 악가무일체인 총체연행으로서의 굿에서 가장 특징적인 점은 무당이 자신이 모시는 몸주신과 접신상태에 이르는 현상이다. 그리고 굿판에 참여한 관객들도 이런 무당을 따라 드물 지 않게 접신체험에 빠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무감서기’라고 한다. 무감서기에서 제 의 참가자는 무당과 더불어 거대한 집단 엑스터시 상태를 체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굿판 을 구성하는 중요한 두 연행원리는 엑스터시 체험과 무감서기인 셈이다. 한국의 강신무와 비슷한 시베리아의 샤먼도 엑스터시의 기술자로 불린다. 그러나 시베리아 샤먼 은 엑스터시 상태에서 탈혼 곧, 무당의 영혼이 타계 여행을 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반면에 한 국의 강신무 계통은 신이 무당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 하고 무당과 샤먼의 굿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엑스터시체험, 곧 망아적 경험에 의해 신과 접속한 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시베리아 샤먼의 굿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동물춤이 지닌 의미를 들뢰즈 의 ‘되기’개념으로 풀어 볼 것이다. 그리고 무당과 샤먼의 엑스터시 체험과 무감서기를‘탈기 관체’개념을 통해 해석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의 강신무 굿과 시베리아의 샤머니즘을 하나의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이며, 이것을 통해 두 지역의 굿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엑스터시 체험이 초월적 세계로의 잠입이 아니라 초월론적 차원의 생명에너지와 합일하는 존재론적 체험이라는 결론에 이를 것이다. 우리 나라와 시베리아 굿판은 모방과 재현의 개념을 넘어서는 무한한 카오스의 세계를 드러내는 초 월론적 체험의 장으로서 존재론적 체험을 가능케 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5,500원
        10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이 겪게 되는 관계 갈등의 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임상에서 작업치료를 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8명과 2011년 2월 한 달간 1~2회 대화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이 임상에서 겪게 되는 관계 갈등에 대하여 반복되는 이야기나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는 포화 상태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Parse의 인간되어감 이론의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결과 : 연구결과 작업치료사가 겪고 있는 갈등은 작업치료에 대한 주변사람들의 이해부족, 초임으로서 주변사람들과의 갈등, 작업치료에 불이익을 주는 기관의 시스템으로 나타 났으며, 참여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발전을 하고 작업치료의 효과를 제시하는 방 식으로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밝은 미래를 희망하 고 있었다. 결론 : 임상에서 겪는 갈등은 상호작용하는 주변사람들이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발 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작업치료에 대한 효과를 주변사람들부터 인식시킴으로써 작업치료 를 알릴 필요가 있다.
        4,600원
        10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물형 인터페이스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고 있는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실물형 인터페이스디자인에 대한 특성을 토출하여 이를 토대로 실물형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도출된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의 특성은 물리적 조작성, 기기의 용이성 및 편리성, 지각적 표현성, 상황인지 및 공간성,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구분되었으며 25개의 세부항목이 추출되었다.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측면이 강조된 것으로 이를 실제공간의 체험형 전시물들에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현 실물형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국립과학 박물관의 전시 설치물들 중 실물형 인터페이스 평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15개의 설치물을 대상으로 개발된 디자인 가이드 라인에 따라 전문가 평가를 하였다. 평가결과 신체모션을 이용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이들은 상황인지 및 공간성 영역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상황인지 및 공간성은 새로이 확장된 실물형 인터페이스 특성으로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설치물들은 버튼과 조이스틱 위주의 물리적 조작성을 제공하는 설치물이 가장 많았으나 향후 시각, 청각, 촉각 등의 다감각 인터페이스나 사용자가 직접 설치장치들을 재배열하는 인터렉션 개발 등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실물형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실물형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적용된 전시 설치물들이 개발되고 적용됨에 있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개발된 실물형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에 따라 전문가 평가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경험 평가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109.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to seeking educational․cultural values among the discussion of Creative activities in athletic field. educational achievements through Creative activities in athletic fiel
        4,000원
        11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11년 과천과학관에서 개최한 "iZ 히어로의 대모험"전시를 통해 미디어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전시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전시를 통해 아동관객들의 태도와 인식변화에 대한 설문을 실행하고 전시가 원하는 메세지 및 정보전달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전시의 설문은 전시 관람전과 전시 관람후로 나누어 설문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단순히 관객들의 흥미만을 유발하는 전시가 아닌 관객과 소통하고, 효과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한 전시의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iZ 히어로의 모험” 전시의 고찰을 통해 향후 융합체험전시의 보다 효과적인 방법론을 논하였다.
        4,200원
        112.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 기술의 발달은 우리에게 생활의 편리함과 물질적 풍요로움을 안겨주었으나 자연의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위기를 동시에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이 제시되었지만, 환경문제는 빠른 시일 내에 단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 때, 다음 세대를 길러 내는 교육적 접근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미래의 주인인 아이들 스스로 에너지 절약과 자연보호에 솔선수범하여 융합적 에코키즈(Eco-Kids) 마인드를 갖게 함으로써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책임감을 갖고 환경 보전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5,500원
        11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의 안무, 공연연습 그리고 공연 수행 전 과정에서의 몰입체험을 몸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여, 이러한 기법이 무용 주체로서 무용수 자신 의 창작과 예술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은 특정한 스토리텔링이나 기교전달보다는 무용공연을 준비하고 공연 하는 전 과정에서의 몰입체험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해 몸학에서의 몸과 마음의 통합적인 사고관과 몸적 학습방식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이 작품은 퍼포머가 몸과 마음, 실기와 연구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도록 도움으로서 무용 활동 그 자체를 몰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서는 몰입 정도에 따라 호흡에 따른 몸의 감각 인지와 능동적인 움직임의 확장과 변화, 자신의 변화를 재인식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몰입체험을 경 험하였다. 또한 이러한 체험은 의식와 행위사이에서의 통합뿐만 아니라 본인 스스로 몸에 대한 이해와 자각을 얻게 하여 기능적, 표현적 측면에서의 움직임의 가능성 개발을 도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작품 창작 작업자체를 다음과 같이 구조화하였다. 첫째는 몸의 자각을 위해 호흡을 통한 명상을 하였고 둘째는 움직임의 자발성, 자연스러운 에너지의 흐름을 위해 움 직임 패턴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식과 행동의 자연스러운 통 합을 위해 즉흥연습방식을 통하여 몰입체험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몰입체험을 위해서 몸학적인 접근이 유용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몸학적 접근의 몰입체험은 무용 수행에 있어 기교향상이나 심리적 안녕을 넘어 움직임에 대 한 통찰, 무용수의 몸적 자각 개발의 기회, 몸 수련의 실천방안을 제공하며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 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무용수의 동작 개발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실천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따 라서 본 연구의 사례를 토대로 한 무용수의 몰입체험 연구가 무용수의 고유의 움직임 방식을 계 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5,100원
        115.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Body’s monologue>를 춤추는 주체로서의 몸의 측면에서 분 석한 논문이다. 무용가인 본 연구자가 이 공연을 통해 어떻게 춤추는 주체로서의 몸을 인식하고 공연하였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연구의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Practice based Research in Dance)’ 방법론과 란스데일의 무용분석방법으로 연구되었다. PBR은 연구자가 자신의 공연체험을 기초로 하는 연구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본 연구자의 직접적인 공연체험을 근거로 논의가 이루 어진다. 또한 란스데일의 무용분석틀에 의한 분석은 작품의 내적인 요인들인 동작, 시각적 요인, 청 각적 요인 등과 더불어 맥락을 함께 보는 작품 분석법이다. 공연체험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탐구하 려는 것은 ‘춤추는 몸’을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 것인가 라는 문제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은 극장무 용에서 ‘춤추는 몸’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간주되어 왔는지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Body’s monologue>에서 주체로서의 몸을 위한 방법의 핵심은 기량이나 관념의 전달보다는 자 연스러운 동작으로 몸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잘 움직일 수 있는 움직임으로 춤을 구성하였다. 이 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이미 작곡된 음악에 맞추기 보다는 이 춤에 맞는 새로운 음악의 작곡을 의 뢰했다. 음악은 몸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이를 받쳐주는 곡으로써 춤추는 몸과 관람하는 몸이 움 직임 자체에 몰두할 수 있게 의도됐다. 따라서 무용수 자신이 움직임을 느끼고 호흡을 들을 수 있게 세심하게 작곡되었다. 또한 몸의 움직임을 편안히 수행할 수 있고 몸이 하고자 하는 동작과 손과 발,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 그대로 보여지는 의상으로 디자인하였다. 무용작품 <Body’s monologue>의 연습과정과 공연은 본 연구자로 하여금 춤추는 나의 몸이 도 구나 악기가 아닌 주인이자 주체라는 인식을 제공해 주었다. 그리고 공연자가 춤추는 주체가 됨 으로서 관람자와도 소통이 가능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 식은 본 연구자 뿐 만이 아니라 다른 무용가들에게 춤추는 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제시할 것이 다. 이 인식은 감성, 지성, 영성이 통합되어 있는 몸에 대한 성찰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자가 시도한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무용 예술가들이 자신이 춤을 춘 것에 대해서 연구, 분 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5,400원
        118.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실시한 지식재산 교육기부의 효과를 연수 참여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Creative Geo Educamp-"지질과학자와 함께 하는 테마여행"이라는 주제로 2010년 7월 6일부터 8일까지 중등교원 35명, 7월 20일부터 22일까지 초등 교원 31명을 대상으로 합숙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번 연수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축적해온 지식재산을 활용하여 공교육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수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 교재와 kit를 개발 보급하였다. 설문 결과, 교사들은 교재와 kit는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에 적절한지에 대해 중등 교원이 4.49, 초등 교원이 4.80으로 응답하여 높은 타당성을 나타냈고 향후 지질분야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4,900원
        11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nights-and-five-days experience at an English village in Seoul, focusing on what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they had and what kind of changes had been made in their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village and th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About 35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surveys and additional ten students also participated in an interview with the researcher to draw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ir experiences in the English villag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answer the main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despite the short term of residence at the English village, the students seemed to have had relatively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both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ut not as much in learn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lso, although the village could possibly provide students with rich opportunities to have an active engagement and interaction with peers and English speaking teachers, it seemed that there existed some limitations in having such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s. Finally, students showed some changes in their attitudes or strategies toward learning English after the short term of residence, saying that they wanted to have more diverse engagement with English, such as 'having a conversation with foreigners on the Internet’, ‘keeping a journal in English,’ ‘having a conversation in English with other peers,’ and so on.
        6,700원
        12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전통 악기를 활용한 체험형 아케이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북 게임 장치와 같이 타격을 활용하여 전자음을 낼 수 있어 사용자가 실제로 공연에 참여하여 전통 악기를 치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구, 북, 난타 등 다양한 전통악기를 연주 할 수 있는 확장팩과 타격 위치 및 타격 강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점수를 계산할 수 있는 아케이드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