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3

        101.
        2013.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에서의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교수역량에 관련한 국내 연구들을 바탕으로 교수역량 요인들을 추출해 델파이 설문지를 만들어 전국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수업컨설팅을 업무를 맡고 있는 실무자 20명의 응답으로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선정된 25개 문항을 놓고 3차 조사는 전문가들의 심층토의를 거쳐 최종 교수역량 평가지표 24개 문항을 선정하였고 각 문항이 속할 대영역의 명칭과 문항 분류를 결정하였다. 수업설계와 준비에 해당하는 부분은 대부분이 문항에서 제외되었고, 실제 수업활동에 속하는 문항이 다수가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가 실천적 교육역량에 속하는 것임을 고려한다면, 수업컨설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9,800원
        10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그린 카(Green car)기술 획득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평가하고 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특허성과 평가를 위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허지표 중 일부만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이들 지표들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종합적인 분석에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허 평가를 위한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를 반영하여 전체적인 특허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절차(Analytic Network Process)을 통해 특허지표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된 후, 이 정보를 활용한 가중치 범위 제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Assurance Region, DEA-AR)을 수행한다. 이때, DEA-AR모형의 투입요소로는 기업규모, 연구개발비, 직원 수를, 산출요소로는 특허 수, 특허 피인용수, 특허 청구항수를 고려하였다. 이 방법을 활용하여 글로벌 자동차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그린 카 시장의 동향과 추세를 파악할 수 있었다.
        7,700원
        10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토마토 재배시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예비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 항목, 등급 및 기준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토마토 재배 및 시설 관련 교수, 연구원, 농업인(현장 사용자) 등으로 구분하여 100명의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으며, 1차부터 3차까지 폐쇄형 질문 방식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확정된 평가 항목은 4개 대분류 영역과 39개 세부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졌다. 대분류 영역은 시설 구조적 요소, 시설 설비적 요소, 재배적 요소, 생산 기반적 요소이며, 요소별로 각각 9개, 15개, 7개, 8개씩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39개 평가항목별로 가중치를 산정하고, 등급 및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는 새로운 시설 모델 개발, 사용 중인 시설에서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될 사항을 판단하거나 정부 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4,300원
        10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 건강성이란 생태계의 복잡성을 유지하면서 인간이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산림 생태계의 상태를 의미한다. 산림 생태계 건강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수관의 상태, 지의류의 발생, 해충, 질병, 공기오염에 대한 잎의 상태, 위성사진 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곤충류를 이용한 산림건강성 평가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아 이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의 건강성은 군집구조가 자연성이 높은 숲(광릉숲)과 비슷할수록 건강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산림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홍릉숲의 개미와 딱정벌레를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2006년에 149개의 조사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했다. 본 조사결과를 광릉숲의 조사결과와 비교한 결과, 홍릉숲에서 개미는 26종 6,627개체가 채집된 데 비해, 광릉숲에서는 24종 874개체가 채집되었다. 이에 비해 딱정벌레는 홍릉숲에서 18종 352개체가 채집된 데 비해, 광릉숲에서 24종 15,064개체가 채집되었다. 개미의 개체수는 홍릉숲이 광릉숲에 비해 7.6배가량 많은 데 비해, 딱정벌레는 광릉숲에 비해 50배 가량 적었다. 개미는 도시숲에서 forest ground forager가 크게 감소한 반면, forest ground & vegetation forager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홍릉숲에서는 개미와 딱정벌레 모두 일반종(Generalist)이 증가하였다. 딱정벌레의 경우에는 도시숲에서는 큰 날개종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양성의 경우 종풍부도는 광릉숲에서 높았으나, 다양도는 홍릉숲에서 높았다. 이처럼 예상과 다른 현상이 나타난 것은 광릉숲에서 숲 고유종의 비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홍릉숲은 광릉숲과는 곤충군집구조가 많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 생태계 건강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107.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업곤충육성법 시행에 따라 국내 곤충사육 농가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곤충 종의 무분별한 이용 및 활용이 늘어가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산업곤충의 위해 여부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시스템이 전무하다. 3차년도 과제로 설계된 본 연구는 산업곤충 위해성평가지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산업곤충 위해성 평가사례를 분석하고 산업곤충의 위해성 평가지표 잠정안을 도출을 계획하고 있다. 이후 개발된 위해성 평가지표의 적용성을 분석・보완하여 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의 제공을 최종목표로 하고 있다. 위해성 평가 단계는 위해성요인분석, 위해성평가, 위해성관리, 이해당사자협의 등의 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위해성평가 단계는 생태학적 체제에 있어서 요소별 항목에 대한 평가와 단계별 접근에 의한 평가로 이원화하여 실시하고, 각각에 대한 평가 실시 후 영향의 정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입의 가부를 결정하는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본 심포지움에서는 국내의 외래종 관리 현황 및 외국(호주, 영국, 일본, 중국, 벨기에, 독일・오스트리아, 아일랜드, 노르웨이, 미국)의 위해성 평가체계에 대한 분석내용을 중심으로 국내 위해성 평가지표 잠정안 도출의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산업곤충의 위해성평가 기초기반의 조성은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인 진단평가 체계를 완성하고, 이는 환경・경제・사회적 비용의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10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불안과 우울 상태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관적 설문 평가지(Beck의 우울척도, 상태-특성불안척도)의 지표 값과 심박 변이도의 파라미터 간의 상호-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관적 설문평가지의 지표 값을 대신 할 수 있는 심박 변이도 파라미터를 선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심박 변이도 측정 시, 휴식 및 업무 상태를 인위적으로 유도하였고 각 유도된 상태에서의 심박 변이도를 이용하여 추출된 생리학적 특징값들과 주관적 설문 평가지의 지표 값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관적 감성지표를 대체 할 수 있는 객관화된 정량적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실은 심박 변이도의 비 정규화 파라미터가 상태불안척도와 우울척도보다 특성불안척도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는 점이다. 반면, 업무 상태와 휴식 상태의 비율인 정규화 파라미터 m_RRI(MeanRR interval), SDNN(Standard deviation of all NN intervals), LF(Low-Frequency), LF/HF(LF/HF ratio)는 특성불안척도, 우울척도보다 상태불안척도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 중, LF/HF는 상태불안뿐만 아니라, 특성불안을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인 생리학적 파라미터로 나타났다.
        4,000원
        11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isine. We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Delphi survey. The resulting evaluation indicator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nine sub-groups. The four groups were locality, taste and functionality, industrial base, and business value. The nine sub-groups were traditionality, regionality, eating quality, nutrition and functionality, condition of development, technological level, rights and policy, marketability, and ripple effects. Also 22 items were created as indicators for evaluating classes ; historicity, sustainability, rarity, awareness of local resident, the number of similar restaurant, appearance, taste, nutritional balance, health functionality, availability of raw materials, suitability of environmental exchange of market, standardization of recipe, simplification of recipe, storabilit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government's policy, appropriacy of price, popularization, possibility of franchise, globalization, improvement of local image,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four most important classes corresponded to one of the four groups. These classes were sustainability, taste, state (local autonomy) policy,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izing the local cuisine of each region can be evaluated and applied. Moreover, these indicators could promote the discovery of local cuisines, support planning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local cuisine.
        4,000원
        11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시설 이용자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고속도로 노선별 휴게소를 평가하고 향후 모니터링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개발방향은 휴게소 이용자들의 필요성, 시대여건 반영, 종합 평가지표 구축, 관련연구 검토와 같이 크게 4가지 관점으로 정립한 후 기존문헌 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 토론(FGI)을 통해 1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통해 최종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용자 설문인 AHP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결과는 시설물 측면(0.31), 서비스 측면(0.29), 운영적 측면(0.21), 환경적 측면(0.19)순으로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량적, 정성적인 인자가 함께 고려되어 실질적인 고속도로 휴게소 평가가 가능하고, 휴게소별 맞춤형 휴게소 향상 방향 제시 및 향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2.
        2012.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could adversely affect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contribution of ETS exposure in nonsmokers of entertainment facilities. We simultaneously measured nicotine and nitrogen dioxide (NO2), which are known as indicators of ETS, concentrations in indoor internet cafe, billiard, karaoke, bar and restaurant, and estimated exposure level of other harmful agents occurred from tobacco smoking. Mean nicotine concentration (10.57±2.53㎍ /m3 ) of internet cafe was the highest comparing to other facilities, whereas mean concentration of restaurant where was non-smoking area was 0.28±0.08㎍ /m3 . There was statistically not correlated between NO2 and nicotine concentrations in entertainment facilities. Therefore, the use of NO2 concentration as indicator of ETS exposure may not be available. To date, there are no standards about each agent occurred from ETS. Consequently administrative control and regulation, and further researches in relation to ETS exposure should be needed.
        4,300원
        113.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지역 도로측구 등에 설치할 비점오염원의 정화장치 개발을 위해 여과재의 개발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필터는 다양한 미세기공을 갖고 있어 물리적 흡착능력이 뛰어나며, 결정 구조 안에 다양한 양이온이 배위되어 있어 화학적 흡착이 탁월한, 다공성 점토광물을 직경 3mm 볼 형태로 제작하였다. 성형한 필터에 도시지역 강우 직후 발생한 오염 원수를 통과시켜 SS, COD, T-P, T-N의 제거 능력을 폐수정화에 흔히 이용되는 첨착활성탄(Impregnated Activated Carbon) 필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다공성 점토광물 필터와 첨착활성탄 필터의 T-N과 T-P 여과능력은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mbers of the non-biting midge family Chironomidae are the most widespread and abundant group of aquatic insects in fresh waters. Although the composition of chironomid communities i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biotic index for water quality assessment, it has not been used easily because of the difficulties with species level identification for larvae.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molecular operational taxonomic units (MOTU) in chironomid communities to appropriately apply a species level identification. A total of 41 chironomid larvae collected from 7 sampling sites in the Han river system according to water quality were used for analyses. Partial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I (COI) genes were sequenced and analyzed. As a result, 35 different haplotypes (MOTU01-13) were obtained from the 673bp COI sequences. Average genetic distance was 0.0041 (range 0.000 to 0.013) within the MOTU and was 0.1703 (range 0.1181 to 0.2456) between the MOTUs. Nine MOTUs were found at the stream sites represented water quality A, 2 MOTUs at water quality C, and 1 MOTU at water quality D.
        4,000원
        11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기술의 사회적 파급력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현대에 기술영향평가가 갖는 의미는 작지 않다. 특히 행정부에 의하여 제도화되어 수행되는 우리나라의 공식적 기술영향평가는 그 결과를 직접 과학기술 정책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에 의한 부정적 효과나 사회적 논란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된다. 사회적 평가를 중요시하는 기술영향평가 자체의 특징이나 매년 한 개 정도의 기술만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적 기술영향평가의 운영 형태, 기술의 특징에 따라서 결정되는 평가의 내용 및 방법 등을 고려했을 때 대상기술의 선정은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된 기술영향평가에서 대상기술의 선정 방식은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지 못 하거나,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이해보다는 정성적 토론 및 투표에 의하여 도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논문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기술영향평가의 대상기술을 선정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표는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등 5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표들에 대한 가중치 역시 AHP 방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개발된 지표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실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를 통해 보여주었으며, 제도적 기술영향평가에 직접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제언 또한 도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제도적 기술영향평가에 적절한 대상기술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며 그를 통하여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활용이 사회적·정책적으로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6,100원
        117.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유, 화학물 등 위험화물의 해상운송 증가로 인하여 해양오염사고의 개연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방제대책 수립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제적 대응태세의 강화를 목적으로 해양오염 대응태세를 종합 평가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평가모듈을 설계하였 다. 전략대응태세 평가와 현장대응태세 평가를 위한 공통평가지표와 개별지표를 설정하여 방제기관 및 방제지원·협력기관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4,000원
        11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using by economic stagnation and financial management difficulty of the domestic small and medium business company, the actual condition which enlarges the plan of politic funds increased from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authority as the SBC (small a
        4,000원
        120.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oposes the Data Architectur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suggestions for automation which will enable the analyzing and measuring of the data structure as well. We verified the standardization of data that proposes a baseline for minimum quality, communications with stakeholder within an information system, minimization of application changes, and the effect of data values on quality improvement. The baseline is tested through the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the quality indicator of a data structure as well as a quality control process deduced during the implementa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