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7

        10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novations are taking place in the education field, with smart device-based Chinese educational applications drawing atten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Korea, China, and the U.S., and explores possible directions to design effective applications for Korean young learners. A total of 179 applications from three countries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based on educational application criteria. Among them, the top five applications were selected from each country using ratings and reviews. Each application was then evalu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pplications from the U.S. were the highest scoring overall and highest in terms of content, with applications from China highest in terms of function. The result also presented three common problems, which are limited types of applications, the absence of camera function utilization, and the lack of learning activities to experience Chinese culture. This study recommends further discussions on Chinese educational applications with the broadened scope of application types and target learners.
        8,300원
        102.
        2021.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가 발효과정 중 생산하는 유용한 대사산물과 미생물의 구성성분을 포 함하는 개념이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기존 프로바이오틱스 소재가 갖는 안전성(safety), 기능성(function), 안정성(stability)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사균화 처리과정으로, 특정 대사물질의 복합물 형태로 제조되고 있기에 기존 생균제보다 가공, 포장, 유통, 섭취가 용이하다. 면역력이 낮은 환자나 건강 취약 계층의 소비자들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면역 조절, 감염 방지, 지질 및 콜레스테롤 대사, 항산화 기능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건강기능 식품 우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은 더 커질 것이다. 다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아직은 세포실험과 동물시험인 단계이기에 실제 인체적용 시험을 마친 소재들은 적은 편이다. 향후 꾸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진 포스트바이오틱스 소재와 제품들이 개발된다면 건강기능식품 산업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 된다.
        4,000원
        103.
        2021.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oduces electroconductive polycaprolactone (PCL)-based film with different amounts of graphene (G) through electrospin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G/PCL composites are investigated. The G/PCL results are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btained using pure PCL electrospun film as a control.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material is analyzed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re also evaluated. Composites containing 1% graphene have the highest elongation rate, and 5% samples have the highest strength and elasticity. Graphene contents > 25% show electro-conductivity, which level improves with increase of graphene content.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PCL composites are assessed through behavioral analysis of neural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Cell experiments reveal that compositions < 50% show slightly reduced cell viability. Moreover, graphene combinations facilitated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pure PCL. These results confirm that a 25 % G/PCL composition is best for application to systems that introduce external stimuli such as electric fields and electrodes to lead to synergistic efficiency of tissue regeneration.
        4,000원
        105.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성신호 반사계측(GNSS-Reflectometry) 기술은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지표면 혹은 해수면에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기법으로서, 해수면 높이측정, 태풍 및 기상이변, 그리고 토양의 수분 및 적설량 측정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NSS-R 기술의 해양 활용확대와 그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성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하는 GNSS-R 기술의 개념과 측정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국제적인 활용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GNSS-R 기술을 기존 DGNSS 기준국 및 상시관측소 인프라를 이용하여 해양안전 및 환경 모니터링에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상 및 해양기준국, 위성기반, 해상선박 탑재 측면에서의 해양 응용 가능분야를 조사하여 제안하였다.
        4,000원
        107.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공 및 지리 공간 기술은 연구자 및 농업관련 실무자들이 더욱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은 농업과 임업에 있어 현재 병해충 관리의 변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위성, 유무인항공기, 스펙트럼 센서들, 정보 시스템 및 자동화 현장 장비들의 기술들은 병해충을 감지하고, 특정 지점에 대한 병해충을 방제하는데 사용되어져 왔다. 빅 데이터 기반한 인공 지능과 함께 항공 및 지리 정보 기술의 가용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을 사과 IPM에 적용하는 것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사과연구소에서 수행한 사례 연구를 통해 사과 IPM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항공 및 지리 정보기술의 발전과 한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4,000원
        10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itu carbon-coated tin oxide (ISCC-SnO2) was fabricated by colloidal processing and sucrose was used as a soluble carbon source. ISCC-SnO2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Raman spectroscopy, and nitrogen adsorption–desorption by BET method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yclic voltammetry (CV)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GCD) properties of ISCC-SnO2 were investigated in 1 M Na2SO4 solution. The specific capacitance of ISCC-SnO2 was achieved 42.7 mFcm−2 at a scan rate of 25 mVs−1 and showed excellent charge–discharge behavior.
        4,000원
        10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전적 조절, 유전자 발현 그리고 환경적 단서, 화학적 신호에 대응하는 표현형 변이에서 세포 RNA는 ubiquitous 역할 이외에도 세포 외 RNA(exRNA)라 하는 새로운 형태의 RNA는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exRNA는 membrane vesicles 또는 세포 외 소포체(EV)로 알려진 membrane blebs를 통해 세포 외부로 운반된다. EV의 형성은 원핵생물, 진핵생물, 고세균을 포함한 모든 미생물군에 우세하게 보존되어있다. 본 리뷰는 세균 유래 exRNA 에 관해 세가지 주제에 초점을 두었다. exRNA의 발견과 박테리아 유전자 배열에 대한 외부 RNA의 영향, b. exRNA 의 분비기작을 통한 방출, c. 다른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균에 의해 분비되는 exRNA로 고안될 수 있는 응용 가능 분야이다. 본 리뷰에서 장내 미생물군의 probiotics 및 후 성유전학적 규제에서 본 exRNA와 exRNA마커와 같은 EV 파생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제공할 것이다.
        4,000원
        11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 변환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PEMFC의 구성요소 중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은 음 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양극으로 전달하는 역할과 동시에 분리막으로써 연료의 투과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소재이다. 대표적으로 NafionⓇ과 같은 과불소화계 고분자 전해질 막이 상용화 되어있지만 높은 단가 및 분해 시 환경오염물 질이 배출되는 단점이 존재하여, 이를 대체할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활용한 전해질 막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를 가지며 동시에 우수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탄화수소계 고분자 기반 전해질 막을 개발하기 위해 가교 구조가 도입된 전해질 막을 개발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은 가교 전해질 막을 제조하기 위해 이온교 환 작용기가 도입된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가교 전해질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4,600원
        111.
        202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acile microwave assisted solvothermal process is designed for fabricating SnS nanoparticles decorated on graphene nanosheet, which used as visible light driven photocatalyst. Some typical characterization techniques such as XRD, FT-IR, SEM with EDX analysis, and TEM and BET analysis are used to analys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prepared samples. Spherical SnS nanoparticles are uniformly dispersed on the surface of graphene nanosheet due to ammonia, which can prevent the aggregation of graphene oxide. Meanwhile, microwave radiation provides fast energy that promotes the formation of spherical SnS nanoparticles within a short time. The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of as-prepared SnS-GR nanocomposites is analysed through photodegradation efficiency of methylene blue with high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igher photocatalytic property, the as-prepared SnS-GR nanocomposites can be expected to be an efficient visible light driven photocatalyst. After five cycles for decolorization, the rate decreases from 87 % to 78 % (about 9 %). It is obvious that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SnS-GR nanocomposite has good repeatability.
        4,000원
        119.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e-standing hybridized electrode consisting of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DWNTs) and activated carbon have been fabricated for flexible supercapacitor applications. The xanthan-gum, used in our methodology, showed high ability in dispersing the strongly bundled DWNTs, and was then effectively converted to activated carbon with large surface area via chemical activation. The homogeneously dispersed DWNTs within xanthan-gum derived activated carbon acted as both electrical path and mechanical support of electrode material. The hybridized film from highly dispersed DWNTs and activated carbon was mechanically strong,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hibited high specific capacitance of 141.5 F/g at the current density of 100 mV/s. Our hybridized film is highly promising as electrode material for flexible supercapacitors in wearable device.
        4,000원
        120.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phene nanoribbons materialize as a next-generation carrier for development of nanodimensional diagnostic devices and drug delivery systems due to the unique and cutting-edge electronic, thermal,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graphene. This review article focuses on the important applications of GNRs in the field of biomedicine and biosensing. Graphene nanoribbons are highly developed form of graphene with a wide importance due to their distinctive properties such as large surface area,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and improved electro-conductivity. GNRs are effective substitutes for conventional silicon-based transistors used in biochemical reactions and exploited in the fields of biomedicine and diagnostics due to their effective uptake by mammalian cells. The cellular interactions of GNRs consist of highly specific receptormediated transport, phagocytosis and non-specific transport systems involving copious forces of adhesion. The presence of quantum chains in GNRs increases their potential for fabrication of technically challenging sensing devices in the future.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