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

        101.
        198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조건이 벼멸구(Nilaparvate lugens Stal)의 발육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조사하여 벼 포장에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벼멸구의 발육경과를 예측함으로서 방제적기를 포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정온과 변온의 식물 생장조정항온기 내에서 벼멸구의 발육속도 및 산란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온조건에서의 발육 및 산란 벼멸구 난의 부화율은 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하나 이상의 온도로 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난기간은 에서 가장 짧았으며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난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이상의 고온에서도 난의 발육이 지연되었다. 우화율은 에서 가장 높았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낮아져 와 에서는 전혀 우화하지 못하였다. 약충기간은 와 에서 가장 짧았으며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우화성충의 수명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수컷은 에서 수명이 가장 짧았다. 산란전기는 에서 가장 짧았으며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길어져 에서는 에서보다 약 6.5배에 달했다. 산란수는 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이하나 이상의 온도로 변함에 따라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2. 변온조건과 정온조건에서의 발육 및 산란 같은 유효적산온도에서, 난의 부화율은 정온 조건에서보다 변온조건에서 약 10% 정도 높았으나 난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우화율은 동일 유효적산온도 조건의 경우 변온에서 약 8% 정도 높았으나 동일 유효적산온도의 경우 반대로 정온조건에서 약 8% 정도 높았다. 약충기간은 정온조건에서보다 변온조건에서 약 일 정도 길었다. 같은 유효적산온도에서, 성충의 수명과 산란수는 성충기의 온도가 정온인 것보다 변온인 것에서 길었으며 산란수도 많았다. 한편, 난기에서부터 약충기까지 노출시켰던 온도를 고려해 보면 약충기까지 정온에서 노출시켰던 구에서 각 온도 공히 성충의 수명이 길어져 성충의 수명은 약충기의 온도에 영향을 받았다. 산란전기에는 약충기와 성충기의 온도가 함께 영향을 주었으며 산란수에는 성충기의 온도가 큰 영향을 주었다. 3. 각 발육단계별 발육임계온도 및 유효적산 온도 본 실험결과 계산된 발육임계온도는 난기에서 , 약충기에서 , 성충기에서 , 산란전기에서 로 나타났다. 각 발육단계별 유효적산온도는 난기에서 141.25 온일도(Degree-Day), 약충기에서 167.83 온일도, 성충기에서 349.64 온일도, 그리고 산란전기에서 58.60 온일도 이었다.
        4,200원
        102.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누에용 분말(粉末)을 첨가(添加)하여 만든 인공사료(人工飼料)가 갑오풀잠자리 성충(成蟲)의 산란(産卵)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외(野外)에서 채집(採集)한 성충(成蟲)에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을 급여(給與)한 것은 진딧물을 급여(給與)한 것에 비하여 사육초기(飼育初期)에는 산란력(産卵力)이 다소 높았으나 사육후기(飼育後期)에는 현저히 낮았다. 2. 실내(室內)에서 우화(羽化)한 성충(成蟲)에 탈지(脫脂)하지 않은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을 급여한 것은 산란(産卵)이 없었으나 탈지(脫脂)한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을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산란(産卵)이 가능(可能)하였다. 3. 성충(成蟲)의 우화후(羽化後) 산란개시일(産卵開始日) 및 암컷 1마리당(當)의 산란수(産卵數)는 무우테두리진딧물, 누에용 분말(粉末)(탈지(脫脂)한 것)과 사료첨가(飼料添加) 성분의 혼합물, 누에용 분말(粉末)(탈지(脫脂)한 것과 하지 않은것)과 사료첨가(飼料添加) 성분의 혼합물, 탈지(脫脂)한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 등(等) 4종(種)의 식이물(食餌物)에 있어서 각각(各各) 5, 9, 9, 11일(日) 및 166.8, 110.2, 96.1, 66.1개(個)이었다.
        4,000원
        103.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fter emergence as adults from the larva collected from three regions in Gangwon-do, Chungcheongnam-do, and Jeju-do. The laying egg method was identified with zone breeding, and the average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measured once a week for seven weeks. The average number of eggs laid peaked until 4 weeks,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 source areas with respect to average number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in the order of Jeju > Chungnam > Gangw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method for continuously improving manage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of insect farming by securing genetic diversity, and raising the most productive breeds to select individuals form regions associated with high numbers of laid eggs.
        104.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with a focus on winter larva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insect resources. The average oviposition tendency and average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during a 7-week period were measured in adults emerging from larvae that had hibernated for 4 months in five farmhouses. The study covered five zones: Gimje, Jangsu, Wanju, Iksan and Yeoju. The average oviposition tendency over a 7-week period showed increased egg laying between 2 to 3 weeks and 5 to 6 week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during the 7-week period was initially low and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ime. Our results suggest that using adults that have emerged from hibernated larvae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oviposition rate and utilization of the insect.
        105.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focusing on zone breeding throughout the year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sect resources. To select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individuals laying a large number of eggs, the number of eggs laid for each individual was measured for each individual after emergence as adults from larvae grown at room temperature in five farmhouses. The five study zone included Gongju (Tancheon), Gyeonggi (Himsen), Chungnam (Gyeryong), Taean (Wonbuk), and Siheung (Baekse). The average oviposition tendency during a 12-week period obtained from the five regions was somewhat different; however,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overall tendency. The maximum oviposition in Protaetia brevitarsisseulensis in the five regions occurred between 6 and 7 weeks. Compared toother regions, the average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during the 12-week period was higher (40%–60%) in Gongju (Tancheon) and Gyeonggi (Hims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wo regions, zone breeding is selected as a system for increasing the demand for insect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