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6

        10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KOICA와 농식품부가 추진한 농림업 분야 양자(다자성양자 제외) 무상 프로젝트형 사업들을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양기관의 농림업 ODA 사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중장기적인 농림업 분야 개발협력 방향과 기관별 융합 및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2.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빈곤 퇴치(목표 1)와 기아 해소와 식량안보 달성 및 지속가능농업 발전(목표 2)에 기여하 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전체 ODA 규모의 약 8~10%를 차지하는 농림업 ODA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분석 결과에 따른 정책적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함. 3. 연구 방법으로는 연도별 국제개발협력종합시행계획, 한국 수출입은행 ODA 통계보고시스템 및 기타 문헌 등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농림업 분야 원조기관인 KOICA와 농식품부의 양자 무상 프로젝트형 사업의 목적, 규모, 지원 대상국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음. 4. 최근 10년간 농식품부의 ODA 사업은 동남아 후발국가 (CLMV 등)를 중심으로 크게 확대된 반면, 아시아 지역, 아프리카 및 중남미 국가 대상으로 지원된 KOICA의 농림업 ODA 사업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함. 2개 부처의 농림업 ODA 사업의 규모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KOICA의 농림업 ODA 사업의 규모는 농식품부에 비해 약 2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남. 농식품부가 추진한 절반 이상의 사업들은 단 기 및 중기 사업으로 추진되는 반면, KOICA의 사업은 상당 수 장기 사업으로 추진됨. 농식품부는 농업 기술 교육, 곡물 작물의 생산, 유통 및 가공, 원예 및 특용작물, 축산 등 비교적 다양한 분야를 지원한 반면, KOICA는 농촌종합개발 사업을 주로 지원하였음. 5. 향후 농림업 ODA 사업의 개발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리 정부의 신남방·신북방 정책 등 관련 정책과 부합한 중장기적인 전략 아래 핵심 분야를 설정하고, 필요시 사업의 규모를 중대형함과 동시에 기관별 연계 및 협업 유형의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4,600원
        102.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 메타버스(Metaverse)가 화두됨에 따라 음악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춘 새로운 형태인 공간음향을 적용한 음악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간음향 기술 을 활용한 음악의 산업 활성화 가능성을 파악하는 목적을 가지고, 공간음향의 구현을 위한 이론 적 배경을 정리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스테레오로 제작된 음악 콘텐츠와 공간음향으로 제작된 음악 콘텐츠의 비교분석을 위해 스테레오와 공간음향 음악의 제작방식과 주파수 대역 이 미지 분석, 청취평가, 산업 전문가 의견 조사를 했다. 그 결과, 첫 번째로 바이노럴 형태의 공간 음향 음악과 스테레오 음악은 제작 방식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었고, 주파수 대역과 스테레오 이 미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로 두 개 음원의 청취 평가 결과 대중들은 공간음향 음악이 낯설다고 느꼈지만, 현장감 있고 생동감 있는 공간음향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세 번째로 전문가들은 공간음향을 적용된 음악 콘텐츠가 시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제작 파 이프라인의 표준화와 디바이스의 보급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공간음향을 활용한 음악 콘텐츠의 연구분야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분명한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앞으로 후속연구들 이 이루어진다면 많은 발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6,600원
        105.
        202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zone Dynamics Investigation Nano-Satellite (ODIN) is a CubeSat design proposed b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s contribution to the CubeSat Competition 2019 sponsored by the Korean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The main objectives of ODIN are (1) to observe the polar ozone column density (latitude range of 60 to 80 in both hemispheres) and (2) to investigate the chemical dynamics between stratospheric ozone and ozone depleting substances (ODSs) through spectroscopy of the terrestrial atmosphere. For the operation of ODIN, a highly ecient power system designed for the speci c orbit is required. We present the conceptual structural design of ODIN and an analysis of power generation in a sun synchronous orbit (SSO) using two di erent con gurations of 3U solar panels (a deployed model and a non-deployed model). The deployed solar panel model generates 189.7 W through one day which consists of 14 orbit cycles, while the non-deployed solar panel model generates 152.6 W. Both models generate enough power for ODIN and the calculation suggests that the deployed solar panel model can generate slightly more power than the non-deployed solar panel model in a single orbit cycle. We eventually selected the non-deployed solar panel model for our design because of its robustness against vibration during the launch sequence and the capability of stable power generation through a whole day cycle.
        4,000원
        10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 국화 ‘백마’를 재배하고 있는 관행농가와 스마트팜의 시설현황, 재배환경, 절화생육 및 경영성과를 비교 분석하였 다. 관행농가는 비닐하우스에서 토경으로, 스마트팜은 유리온 실에서 양액재배하고 있었다. 스마트팜은 광량, 온도, 습도, CO2, 풍속, 강우, 양액 pH와 EC 측정을 위한 센서들을 갖추어 자동제어하고 있었으며, 실시간으로 컴퓨터와 휴대전화 어플 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온실을 관리하고 있었다. 반면에 관행농 가는 환경 측정용 센서와 관비재배용 pH와 EC 센서들이 전혀 없었고, 모든 시스템들을 수동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시설 내의 주간과 야간온도는 관행농가에서 생육 적온보다 낮게 관리되고 있었다. 관행농가의 토양 EC는 3.2dS・m-1로 높게 나타나 절화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팜은 1.1dS・m-1 로 적절하게 관리하고 있었다. 재배방법에 있어서 토양소독은 관행농가에서는 실시하지 않았으며, 스마트팜에서는 과산화수 소를 이용하여 토양소독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 외에 재배방 법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관행농가에서 응애가 많이 발생하 여 피해증상이 나타났다. 절화장, 화폭, 생체중, 엽록소 함량 등과 같은 절화 생육은 관행농가보다 스마트팜에서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 측면에서 1,000m2 기준으로 순이 익은 관행농가에서 -419천원이었고, 스마트팜은 4,484천원이 었으며, 생산량과 수취가격이 관행농가보다 스마트팜에서 각 각 22%와 5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절화의 생육과 경영성과의 차이는 스마트팜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정 밀 생육관리가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4,200원
        112.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Unstable surface-based core training can significantly enhance core strength, but no studies have compared the effects of balance pad- and sling-assisted exercises. Objects: To study the effects of unstable surface-based balance pad- and sling-assisted core strength exercises on muscle activity. Methods: Twenty male students aged 20–2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core strength exercises, performed with a sling or balance pad, on the activities of three muscles, i.e., the right musculus obliquus externus abdominis (EO), right erector spinae (ES), and right gluteus maximus (GM), were examined. Results: 1) In the glute bridge exercise, the percentage of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of the EO, ES, and G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alance pad- and sling-assisted exercise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ES and GM activities to all muscle activ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raining types, whereas that for E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value of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among the EO, ES, and GM during the “leg-lifting with flat support”exercis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ve contributions between the two training types. 3) In the “side bridge leg separation exercise”, the %MVC of the ES, EO, and G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raining types. Conclusion: Sling training for core muscles was generally better than balance pad assist training. The majority of physiotherapy patients require core training. Our results could guide physiotherapists in the choice of targeted exercises for these patients.
        4,000원
        115.
        2020.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unt 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RUNX), a family of well-known transcription factors, play key regulatory roles in diverse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DNA repair. Of RUNX family, RUNX3 is the least well characterized of the three family members. Nevertheless, the role of RUNX3 as a key regulator in essential biological pathways has been reported and inactivation of RUNX3 leads to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cancer, via regulation of Wnt signaling and K-ras mutations in many mammalian tissues. Recent studies using RUNX3-deficient cells and mice revealed an association with hematopoiesis and hypersensitivity to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Nevertheless, protein dynamics associated with RUNX3 remain poor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ed a large-scale protein study from Runx3 knockout (KO) mouse embryonic stem cells (mESC) using a stable isotope labeling by amino acids (SILAC)-based quantitative proteomics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67 proteins were significantly up and downregulated after Runx3 KO. Bioinformatic analyses that revealed that these proteins have diverse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substances transport and cellular structure. Thus, our results enhance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RUNX3 in mESCs and suggest potential roles for RUNX proteins in diverse diseases. Additionally, our results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help us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RUNX3.
        4,000원
        116.
        202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Guidelines (CGG) and Corporate Governance Code (CGC) examined to identify how much the Code has evolved over tim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GG-2012 and CGC-2018 has also been conducted in the study to outline the latest changes. The study is exploratory and literature review-based in nature. Contemporary literatures were analyzed along with comparison of the CGG-2012 and CGC-2018 issued by the Bangladesh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BSEC). Data was collected from various secondary sources.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BSEC has followed a six-year interval pattern in the further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the corporate governance codes in Bangladesh. Also, it has been found out that in terms of the number of conditions in the code, the CGC-2018 is about 75 percent enhanced than CGG-2012. Previously, CGG-2012 was enhanced by more than 150 percent over the first guideline in 2006. CGC-2018 has introduced some crucial governance issues that were not present in the code before but there remain some areas that are yet to be addressed in the best-practices recommendations.
        5,400원
        11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여자 중학생 전문선수(10명)와 방과 후 배드민턴 수업에 참여하는 일반학생(10명)의 하이클리어 동작 시 COM과 COP의 수평거리, 그리고 COM과 COP의 이동패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그룹 간 하이클리어 스트로크 이후 착지 시점(E4)에서 COM과 COP의 X 축과 Y축에서의 수평거리와 백스윙, 포워드스윙, 스윙전체의 X축, Y축, 그리고 Z축에서 COM의 최대이 동범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첫째, 하이클리어 스트로크 임팩트 이후 착지 시점(E4)에서 여자 중학생 전문선수는 전후방향(X축)에서 COM와 COP지점이 일반학생에 비해 매 우 가깝게 위치하였다. 둘째, 전문선수는 COM의 수직움직임, 일반선수는 COM의 수평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