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6

        10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ime required to sell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when larvae fed on three kinds of fermented berries sawdust, such as mulberry, raspberry, and blueberry. The first instar larvae were reared in a plastic container(543x363x188mm) with designated feeds, and investigated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larvae more than 2.5g at rearing room regulated at 25±1℃ with 50~60% under 16:8(L:D). When we reared larvae for about 45 days with fermented blueberry sawdust,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larvae with more than 2.5g was over 70%. It was about 40 days shorter than fermented oak sawdust. For each group, the average survival rates of larvae at the possible time for sale were 72~93%.
        10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분 간격 자동 잎면적 분석을 통해 온도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섭식과 발육을 조사하였다. 20, 25, 30℃의 세 온도에서 피망 잎을 배지에 부착하여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제공하였고 하루에 한번내지 두번 새로운 잎을 갈아주었다. 30℃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은 탈피 직후 섭식을 즉시 시작하여 1회 섭식은 10~15분 지속하고, 60~90분 간격으로 섭식을 하였다. 이러한 섭식 행동은 약 30~50시간 지속되며 탈피 직전 10~16시간 동안은 섭식이 중단되었다. 탈피 후 앞서의 섭식 패턴은 다음 영기에서 동일하게 반복되었다. 25℃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영기 내 섭식 기간은 약 32~53시간 지속되며 탈피 전 비섭식 기간은 16~22시간 지속되었다. 20℃에서는 영기 내섭식 기간은 60~133시간으로 크게 증가하고 비섭식 기간도 11~38시간으로 다른 온도에 비해 길어졌으며 다른 온도와 달리 7령충까지 발육하였다. 2령충에서 고치 형성 전까지의 발육 시간은 20℃에서는 39046분(27.1일)이 소요되었고 25℃에서는 17626분(12.2일), 30℃에서는 14168분(9.8일)으로 조사되었다. 각 온도별 유충의 섭식량은 영기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1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망시간 예측은 시신의 특징만으로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다. 또한 측정 지점에 따라 곤충의 종류가 달라 다른 지역의 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생물체의 사체에 몰려드는 곤충, 특히 파리류의 성체와 유충을 분석하여 사망시간을 측정하고자 했다. 그래서 전라남도 나주시 오강리에서 사후에 시간에 따라 사체에 몰려드는 곤충 특히 파리류의 성체 종류와 알에서 부화한 후 유충의 발생으로 사망시간을 계산하고자 했다. 돼지 생간을 2018년 9월 5일 평균 최고 온도 21℃, 평균 최저 온도 15℃인 체육관 뒤 공터에 방치했다. 약 10시간 후 근처에 검정파리(Calliphora vomitoria), 금파리(Lucilia caesar Linnaeus), 초파리(Drosophila), 파리매(Promachus yesonicus)가 모여들었으며, 약 30시간 후 검정파리(Calliphora vomitoria)로 예상되는 알이 놓인 것을 확인하였다. 알이 부화된 후 정기적으로 유충을 채집하여 기문의 개수로 1령, 2령, 3령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사후시간에 따른 유충의 성장정보를 수집하였다. 정보를 바탕으로 재실험을 진행하여 하루마다 유충의 상태로 간이 놓인 시간을 측정하였다. 오차는 1~1.5일 정도로 확인하였다. 또한, 유충이 부화한 후 시기에 따라 모여드는 곤충의 종이 점차 달라져 추측한 시간의 근거가 되는 것을 확인했다.
        11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ss breeding of Protaetia brevitarsis seluensis results in the entomopathogenic fungal infection, usually Metarhizium anisoplaie. A mixture of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delayed fungal infection by M. anisopliae, which infected fewer P. b. seluensis when the microorganism mixture was added to sawdust as feed for P. b. seluensis for 30d, their mortality rate was approximately 35%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ch was fed sawdust without the EM. In addition, the growth of M. anisopliae on agar media spread with each bacterium as inhibited by up to 80%.
        11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안정적인 생산과 저장법 확립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정 기간과 온도 조건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 시험에 사용된 유충의 평균무게는 2.1g인 개체를 사용하여 다양한 온도조건(5℃, 10℃, 15℃, 20℃, 및 25℃)에서 일정한 용기에 각각 400마리씩 넣은 후 15주간 저장처리하였다. 조사결과 각 처리구별로 초기 저장 무게에 비해 각각 47.4%, 59.4%, 65.8%, 62.6%, 및 92.8%로 변화하였으며, 생존율은 82.8%, 94.3%, 94.8%, 91.3%, 및 94.6% 이었다. 노숙된 3령 유충(개체평균 무게 2.5g)과 성장 중인 유충(개체평균무게1.8g)을 각각 500개체씩 넣은 후 10℃에서 5개월 저장 후 체중변화와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체중은 각각 86.3%, 75.2%, 생존율은 94.6%, 96.2%이었다. 저온저장시 성장 중인 유충에 비해 노숙된 유충의 체중감소율이 적게 나타났다.
        11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의류 추출물이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에 대하여 살충활성 및 생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종의 지의류의 메탄올 추출물이 흰줄숲모기 3령 유충에 미치는 치사농도, 사충수, 생장억제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Parmelia sp.엽상체 추출물경우 LC50농도는 0.13%로 나타났으며 Porpidia albocaerulescens의 LC50농 도는 0.45%로 나타나 Parmelia sp.의 추출물이 더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24h, 48h, 72h의 노출시간 따른 농도별 사충 수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지의류의 메탄올 추출물이 고농도일수록,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충의 사충 수는 증가하였다. Parmelia sp. 엽상체의 추출물에서 사육한 유충의 경우 용화시간은 대조군보다 지연되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시간이 지연된 것으로 보아 지의류 추출물이 흰줄숲모기 유충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1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s beetle, Protaetia brevitarsis, receive attention to explore useful active ingredient for the preventive effect of liver-related diseases, little is known about cosmetic effect. Here we report that the larva extract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s has functional cosmetic effect using the B16F10 melanoma cell and HaCaT keratinocyte cell. The ethanol extract of hot-air dried P. brevitarsis larvae show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tyrosinase (an enzyme that regulates the melanin production) and remarkably inhibit melanin biosynthesis in the B16F10 melanoma cell. Further, the ethanol extract induced the expression of hyaluronic acid synthetase (HAS2/HAS3), which produce hyaluronan related to epidermal structure, and indeed increased hyalurona in HaCaT keratinocyte cell. Consequently, P. brevitarsis could be new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for whi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
        116.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의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는 곤충 체내 침입한 미생물들과 직접 반응하는 기작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미생물들이 곤충 체내에 침입 한 후 발생되는 다양한 미생물 분비물질에 의한 곤충 면역반응의 시작여부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흰점박이 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의 장내에 존재하는 공생균과 체외 병원균을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 하고 다양한 분비물질들이 존재 할 거라 예상되는 배양액만을 분리, 유충에 주사하여 면역반응 여부를 조사하였다. 공생균 배양액을 주입한 유충들은 비교적 건강하고 면역반응도 발생하지 않았으나 병원균 배양액을 주입한 유충의 경우 150시간 후 60% 이상 사망하였고 주사된 자리도 짙은 갈색의 멜라닌화가 관찰 되었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과립혈구세포의 리소좀(Lysosomes) 활성화 여부로 재확인 하였다. 병원균 배양액이 주입된 유충들의 경우 12시간 후 리소좀 이 ~50% 이상 활성화 되었으나 공생균 배양액이 주입된 유충들의 경우 ~5% 미만으로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생균 배양액내에 는 기주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물질들이 없거나 량이 매우 적게 존재하는 것을 추측 할 수 있었다.
        4,000원
        11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오징어 Watasenia scintillans 유생분포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2015년 8, 9, 11월 R/V 탐구 21호로 동해 남서부연안 28개 정점 에 대해 CTD관측 및 IKMT(망목: 500 μm)를 사용하여 저층(최대 수심 100 m)에서 표층까지 경사채집을 실시한 결과, 채집된 매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38개체로 외투장(ML) 범위는 0.6 ~ 18.5 였다. 조사기간 중 8월이 9월과 11월보다 유생의 출현정점 수, 출현개체 수, 유생분포밀도에서 현저히 높았다. 특히 8월에 냉수괴가 분포하는 포항 ~평해까지의 동해연안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의 연직수온분포에서 매오징어의 부화수온(6 ~ 16 )은 주로 40 ~ 180 m의 수심에 위치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