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121.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 of seawater temperature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and laver, Porphyra tenera Kjellman, were investigated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Sea of Korea (ESS). Bimonthly temperature data (Feb., Apr., Jun., Aug., Oct., Dec.) from 1980 to 2002 were collected from Korean Oceanographic Data Center (KODC) and monthly anchovy catch and laver production from 1980 to 2002 were used from published sources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Korea.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two organisms were examined in four cases. In case of lower anchovy catch and higher laver production (1993), temperature during main spawning season of anchovy was about 0.2-0.6℃ low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seed collecting season of laver in Namhaedo, Kojedo went down below 22.0℃. In case of higher anchovy catch and higher laver production (1995), optimum temperature for catch was formed in main fishing ground,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was lower than 22.0℃. In case of lower anchovy catch and lower laver production (1996), temperature for spawning and catch was about 0.6-1.6℃ low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seed collection in nursery was about 0.5-1.0℃ higher than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In case of higher anchovy catch and lower laver production (1998), temperature during main fishing and spawning season was about 1.0-1.8℃ high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laver seed collection in nursery was 1.5℃ higher than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12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옻을 채취한 옻나무에서 수피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옻나무의 직경에 따른 중량과의 관계와 우죽의 중량에 따른 수피와 건피량을 조사한 결과 옻나무중량에 대한 우죽중량의 비율은 평균 48%였는데, 중량이 큰 나무들이 우죽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직경이 최소한 8cm정도는 되어야 우죽에서 1kg이상의 건피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를 측정한 결과 생피무게는 1.1~l.5kg에 해당하는 옻나무가 43.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0.5~1.0kg이 37.5%로 조사되어 전체 우죽의 80%이상이 1.5kg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피를 말린 건피의 무게는 0.6~1.0kg에 해당하는 나무들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0.1~0.5kg으로 25%로 나타나 전체 옻나무의 75%정도가 1.0kg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우죽중량에 대해 생피중량이 차지하는 평균비율은 27%였으며, 우죽중량에 대한 건피중량의 평균비율은 16%로 측정되었는데, 생피를 건조시켰을 때 평균건피중량은 생피의 61%로 나타나 생피의 수분함유율이 평균 39%로서 건피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죽 6.25kg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24.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the Penicillium sp. PS󰠏113 with high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y and Lactobacillus sp. was studied on cucumber growing test in green house. Inoculation of Penicillium sp. PS󰠏113 5.0×10⁶cfu/㎖ and Lactobacillus sp. 6×10⁶cfu/㎖ were longer than control about 3cm length of cucumber. The average weight was also increased 89.2g more than control. Total product of cucumber was 10,681.7g and it was increased 4517.3g as compared to control. Thus, Inoculations of high 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 increased in productivity on cucumber.
        12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verall NPP(Net Primary Production) distribution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satellite data(NOAA/AVHRR). This has been done using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vegetation condition and the NPP. The NPP of natural vegetation increases proportional to the annual net radiation(Rn), where radiative dryness index(RDI) is a proportional constant connecting Rn to NPP.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is used for monitoring vegetation change, and iNDVI (integrated NDVI) for annual analysis. The iNDVI has a close relation to Rn and NPP,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for estimating NPP distribution of where the meteorological data is unavailable such as North Korea. The NPP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estimated based on the model.
        126.
        198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에 있어서 일대잡종 품종의 육종적 이용을 전제로 잡종종자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한 적합한 양친의 배치법을 구명하고자 웅성불임친으로 V20A/Iri 342*8 과, Iri342를 화분친으로 하여 출수기 풍향에 따라 2처리(남↔북, 동↔남), 재식밀도 4 처리(10 15, 15 15, 20 15, 25 15cm), 화분친의 재식열수 4처리(1, 2, 3, 4열) 및 CMS의 재식열수 4처리(1, 2, 3, 4열)를 두고 자연교잡 증대를 위한 인위적 처리를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처리별 증식용 종자 생산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의 풍향과 수직으로 재식한 구가 다른구에 비하여 재식밀도 및 재식열수에 관계없이 종자 생산량이 많았으며 평균 46.9% 증가하였다. 2. 10 15cm까지는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수되었다. 최고 수량은 81.2kg/ha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수량의 변이가 구내의 개체간에서도, 동일 처리내의 반복구간에서도 비교적 컸다. 3. 환분친의 연속 재식열수가 많을수록 임실율은 높았으나 10a당 절대 수량은 화분친 1열 재식에서 가장 많았다. 4 CMS의 연속 재식열수가 적을수록 임실율은 높았으나 10a당 절대 수량은 CMS 4열 재식에서 가장 많았다. 5. 따라서 종자 생산량과 화분친의 수량 및 농작업과 관련하여 20 15cm나 25 15cm의 재식밀도로 하여 화분친 1열에 CMS 4열을 출수기 풍향과 수직이 되도록 재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