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

        121.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성충의 인공사료(닭의 간 5 parts: 설탕 2 parts, v/W)와 사육법을 개발하였다. 7월 중순에 야외에서 채집한 번데기를 우화시켜 (16L:8D)에서 사육하면서 무당벌레 성충 암컷의 난황단백질(yolk protein)생성, 산란력(fecundity), 수명(longevity)을 조사하였다. Western blot결과에 의하면 우화후 5일째부터 혈림프에서 낭황 단백질(Vg3와 Vg4)이 발견된다. 무당벌레 100쌍을 대상으로 1쌍씩 개별 사육한 결과 초산은 우화후 7일째부터 시작되고 일생동안 144.0개의 알을 산란한다. 수명은 평균 36.8일이며 일생동안 단 한번의 산란도 하지 않는 개체는 17%이다. Methoprene(2.5/2l)을 처리하면 무처리구보다 1일 빠른 우화 후 4일부터 난황 단백질이 확인된다. 무당벌레의암컷 30개체에서 methoprene(2.5/l)을 1주일 간격으로 반복 투여하여 본 결과 15일이내에 초산을 하는 비율이 무처리구의 51%에서 83.3%로 증가한다. Methoprene은 모든 개체의 산란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개체군의 산란력을 높이는 효과를 준다. 무당벌레는 methoprene을 소량(2.5)으로 매주 투여하면 수명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지만, 과다한 양(12.5)의 단 1회 투여는 수명을 단축시키고 산란력을 저하시킨다.
        4,000원
        12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번데기의 휴면 종료에 미치는 탈피호르몬 20-hydroxyecdysone (20-HE)의 처리효과와 또한 호르몬처리로 유기된 휴면 후 성충발육 모습을 정상적인 성충발육과 비교하기 위하여 본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고 같다. 광주기 16L.8D와 에서 여러가지 다른 기간동안 저장했던 휴면번데기에 20-HE를 처리했을 때 가장 높은 휴면 종료율은 가장 오랫동안 처리된 군에서 나타났고 45일 동안 저장했던 휴면번데기에서 가장 낮은 종료율을 보였다. 우화에 필요한 기간은 저온()처리가간에 반비례하였고, 또한 저온처리기간이 길어질 수록 20-HE에 대한 민감도는 높아졌다. 번데기 휴면기간은 그들이 16L.8D 광조건에 처리되었건 혹은 지속적이 암조건에 저장되었건 간에 거의 같았고, 또한 저온처리없이도 성공적으로 성충이 출현하였다. 정상적으로 무화(휴면없이)하는 번데기의 산소소모율은 전형적인 U자 모양을 보였지만 20-HE에 처리된 휴면 번데기의 산소흡수량은 천천히 증가하다가 처리 후 14일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번데기 휴면은 성충조직을 형성하기 이전에 들어갔으며,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번데기나 또는 20-HE에 처리되어 발육하기 시작하는 휴면 번데기 모두에서 성충조직 형성시기와 대사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일치하였다. 탈피호르몬처리로 발육을 시작한 휴면 번데기의 혈림프와 지방체에서 분리된 단백질종류는 모두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번데기의 조직에서와 같았다.
        4,000원
        12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비행습성 및 합성페로몬에 대한 반응이 해송 피해림에서 조사되었다. 해송임분내에서 수컷성충의 자연비행밀도는 수관부위가 지표면 근처보다 높았다. 페로몬 50을 처리한 장소로부터 페로몬이 처리되지 않은 끈끈이 트래? frjflquf로 설치하여 수컷의 부착수를 조사한바 페로몬에 영향 받는 거리는 10mm이하로 조사되었다. 합성페로몬 50은 높은 유인효과가 있었으나 1처리구는 유인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수관 울폐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지상높이별 유인개체수는 자연비행 밀도와 같이 수관상부가 지표면 근처보다 많았으나 울폐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지표면 근처에서 더 많은 개체가 유인되는 경향이었다. 본 해충의 신규발생지 조사에 있어 알주머니 육안조사에 의한 관해 방법 및 페로몬트랩에 의한 방법을 비교한바 페로몬트랩에 의한 조사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111m의 공간에 합성페로몬 32mg을 처리한 경우 교미교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124.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 소장을 조사한 결과 1990년 충남 예산에서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중하순, 8월 중순, 9월 하순, 11월 중순이었다. 1991년 충남 아산에서 발생 최성기는 7월 하순, 8월 하순~9월 중순, 11월 중순이었다. 1990년 3년 동안 수원에서 조산한 결과 해가 경과함에 따라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1991년 충남 아산의 파 포장에서 유충의 경시적 밀도를 조사한 결과 4회의 발생 피크가 있었고 최고 밀도에 도달한 9월 중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후 급격히 감소 하였다. 수원 지역에서 산란 최초일이 5월18일이 될 경우 년 4세대 발생이 가능하며 제 1세대는 48일, 제 2세대는 25일, 제3세대는 23일, 제4세대는 58일이 소요되었다.
        4,000원
        12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 Baly)성충의 유면 유기에 미치는 온도와 광주기 영향 및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me III)과 탈피호르몬(20-hydroxyecdysone)이 휴면중인 성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는 일년에 일회 발생하며 난, 유충, 용 성충기간은 가각 7~10일, 19~21일, 14~15일, 약 10개월로 조사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의 알과 유충을 와 의 조건에서 광주기를 각각 16L/8L, 12L/12D, 8L/16D로 달?여 사육하여도 모든 성충이 휴면에 들어가 이들은 필수성충휴면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휴면기간동안 난소는 거의 발육되지 않았으며 유면말기의 개체를 , 16L/8D에 노출시키면, 난소소관이 급속하게 발달되었다. 휴면중인 성충에 유약호르몬을 처리하면 일시적으로 휴면이 타파되고 산란이 이루어졌으나 탈피호르몬은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4,000원
        126.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껍질깍지벌레 암컷성충의 일주기와 관련된 성훼로몬의 체내생산과 발산 습성을 밝히기 위하여 우화후 시간별로 성훼로몬의 보유량 및 발산량을 조사하였다. 체내 생산량 및 발산량은 공히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2시사이에 가장 많았으며 오후 4시 이후는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또한 우화후 3일이 경과하면 점점 감소하였다. 본 곤충의 생식활동에 있어 성훼로몬의 발산과 암수성충활동의 일주기가 일치하는 것의 의미가 검토되었다.
        4,000원
        127.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껍질깍지벌레 성충의 탈피(우화 : eclosin) 및 우화후의 탈출 (emergence)습성이 실내조건에서 조사되었다. 수컷성충의 탈피는 일종 특정한 시간에 국한되지 않으며 갓 탈히한 성충은 실온에서 정지성충(pre-emergence adult)으로 0.5~2.5일 경화후 고치로부터 탈출하였다. 대부분의 수컷성충은 일조후 1시간 이내에 탈출하였으며 이러한 탈출현상은 광도가 높은 경우 더욱 빨리 진행되었다. 암텃성충은 우화후 곧 탈피장소에서 이동하며 대부분 일조후 3시간이내에 우화하였다. 수컷이 우화후 고치속에 일정기간 정치하여 있는 것은 갓 우화한 성충의 생리적 성숙을 돕고 또한 번식활동을 일중 특정한 시간에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4,000원
        128.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4-1989년의 6년간 Blacklight trap에 유살된 성충수를 통하여 큰검정풍댐이와 참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비상활동을 조사하였다. 큰검정풍뎅이 성충의 비상 활동은 주로 6월 하순-8월 상순에 이루어지고 7월 중순에 peak으며,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비상 활동은 주로 홀수년도의 5 월 상순-6월 하순에 이루어졌는데 peak의 시기는 해에 따라 일정치 않았다. 두 종의 비상 기간 중의 비상 활동은 모두 강우량이 많은 시기에 활발하였으며 참검정풍뎅이 월동 성충의 비상 활동은 일평균기온 이상 되면서 시작되는 것으로 보였다. Blacklight trap에 유살된 성충의 성비에 있어, 큰검정풍뎅이는 자충이 53.3%였으나 참검정풍뎅이는 야외 채집 성충의 57.4%가 자충이 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충이 전혀 없었다.
        4,000원
        130.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솔잎혹파리 우화성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지면산포, 지피식생 및 수간산포의 세 방법으로 이 시험을 위해 조제한 점착제 를 이용하여 경기도 안양시 산본리에서 시기별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착제로 선정된 의 조성은 피마자유 , Damar 수지 , Carnauba Wax 였으며 점성, 점도의 지속성이 우수하였고, 약해가 비교적 낮았다. 2. 지면산포구에서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수는 대조구에 비해 G-II구는 가 감소 되었다. 3. 지피식생산포구에서는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 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P-I구는 , P-II구는 약 가 감소되었다. 4. 수간산포구에서는 충영형성율이 F-I구가 F-II구는 , F-II구는 로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충영형성율이 낮았으나 F-I구는 F-II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소나무의 상중하부위별 충영형성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5. 점착제의 산포시기는 전처리구에서 우화최성일 1주일전이 효과적이었다.
        4,000원
        131.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d to standardize the time of emergence of Protaetia brevitarsis adults, through four breeding experiments, including one which selected the dominant individuals of Protaetia brevitarsis. The breeding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hibernating and non-hibernating Protaetia brevitarsis by placing 100, 150, 200, 250 and 300 Protaetia brevitarsis in each breeding box (50 cm × 35 cm × 15 cm) filled with 12 L of fermented sawdust. Breeding tests were with four replicates each for 3 months. The test period was classified into four stages: Exp. 1 (Sep 1, 2019 to Nov 30, 2019), Exp. 2 (Dec 1, 2019 to Feb 29, 2020), Exp. 3 (Mar 1, 2019 to May 31, 2020) and Exp. 4 (Jun 1, 2020 to Aug 31, 2020). The survey items included average dead number, average emergence number, average mortality, and average emergence rate. In Exp. 1 and 2, the changes in Protaetia brevitarsis adults were similar. In Tables 1 and 2, the allegorical changes of adult white-spotted flowers were similar. In addition, the average dead number, average emergence number, average mortality, and average emergence rate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hibernation state than in both Exp. 1 and 2. Exp. 3 and 4 showed a pattern of chang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Exp. 1 and 2 and these characteristics were superior in the hibernation states compared to the non-hibernation states. In conclusion, this result was found to be most appropriate as a standardization of the emergence time of 200 Protaetia brevitarsis treatments through four breeding experiments in the hibernating state.
        132.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onserve the population of a hesperiid butterfly, Leptalina unicolor, inhabiting the protected areas of Jaeyaksan, we provide ecological information on their behavior and propose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such as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based on comprehensive information. The behavioral study used a method of re-capture after releasing the butterfly with enamel marks on the wings. Adult behaviors were shown in four patterns: flying, settling on a plant, nectar absorption, and water absorption. Both males and femal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overall; however, males had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As for duration, females spent more time settling on plants to select spawning sites, and males seemed to take a longer time for water absorption activities, to absorb minerals needed to form the spermatophore. The average travel distance of butterflies was 27.5 m for females and 46.7 m for males, with daily activity ranges from 11.2 m to 43.8 m, and 21.4 to 57.6 m, respectively.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preserve the habitat of Leptalina unicolor is to maintain the community of Miscanthus sinensis, a food plant. Additionally, because this butterfly has a high rate of water absorption activities, wetlands should be maintained.
        133.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the Ricania sp., we investigated the light response to adults and developed an adult capturing device using light with superior attractiveness. The preference among six light sources such as daylight color, green, etc. for the Ricania sp. adult was favored with daylight color 97 > black 79 = red 79 = blue 79 > green 24 > yellow 13. We have developed an adult catching device using the most preferred daylight colors and behavioral habits of the Ricania sp.. The capture device consisted of two daylight compact lamps (30W, 20W), a yellow plate, and a catcher using water, and caught about 700 individuals a day. The capturing device has a large amount of capturing because adult is activity at high nighttime temperatures, but the capturing amount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temperature dropped below 23℃. More than 85% of the Ricania sp. adults were trapped for 3 hours from 19:00 to 23:00.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dult capturing device for the control of Ricania sp. is used from mid July to late August when the night temperature is over 23℃, and lights up from 19:00 to 23:00.
        13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at rearing room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 of fruits in the firefly (Pylocoelia rufa) larvae and the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dults. As a result, the pear, apple, melon, persimmon, mandarin, grape and peach were shown the feeding behavior of larvae the average 6.40, 3.25, 2.50, 2.20, 2.00, 1.40 and 1.25, respectively. However, the larvae were not shown at all feeding behavior to banana. The hours feeding behavior of firefly larvae was primarily from 8:00 pm until 2:00 am. In addition, the time at which the voracious feeding behavior was until 8:00 pm to 12:00 pm. The 6:00 pm began whisking all the larvae are hiding in the shelter. In the case of the firefly larvae fed only the edible snail, the adults were oviposition an average 49 ± 6 eggs. At that time larva stage, adults of the firefly eating the pears, apples, melon and eat edible snail at the same time there were oviposition the 53 ± 7 on average. In the case of fruits, the pears, apples, and melons has been considered worthy to take the firefly larva fed with the current land snails.
        13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136.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차륜느 연안역에서 큰 스케일에서의 물질수송에 대한 관점에서 보면 조류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잔차류의 주된 성분은 조석 잔차류이며, 취송류, 밀도류 등도 이 흐름을 변동시키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이러한 연안역의 흐름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3차원 유동모델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하천으로부터 담수유입에 의한 연안수역의 성층화 구조를 다루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3차원 밀도류모델을 적용하여 울산만의 유동을 재현하고, 담수유입에 의한 성층화 구조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울산만과 같이 담수유입이 존재하는 반폐쇄 하구에서는 표층에서는 만외로 유출하고, 저층에서는 만내로 유입하는 흐름이 발생하였다. 또한 만내방향으로의 바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표층에서는 만내로 유입하는 흐름이, 저층에서는 이에 대한 보상류로 만외로 유출하는 흐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해수유동결과는 해양목장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투하, 연안표사 제어를 위한 잠제건설, 해저산맥 조성 등으로 인한 연직방향으로의 용승현상에 대한 규명이나 심층수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37.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ntitative estimations of the stratification - destratification(SD) phenomena in Deukryang Bay, Korea have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data of wind speed, heat flux through the sea surface and tidal current amplitude. To find out the main factors causing SD, we introduce the rate of energy balance of the surface heat flux, tidal and wind stirring proposed by Simpson and Hunter(1974). The calculated potential energy of three terms are compared, from which the energy of wind stirring effect was one order smaller than the heat flux and the tidal stirring. Using the results, we complement time integration of the potential energy with the several ε values of 0.010∼0.014 at interval 0.001 and with wind speeds of 1.5 and 2.0 times larger than observation values at land. It shows that the variation of SD phenomena in the bay mainly depended on tidal stirring and sea surface heating in summer if there is no exceptionally strong wind event like Typhoon. The stratification become to be formed from about 5 July although the stratification a little decreases during the second spring tidal period of middle of July.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