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8

        12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composites(HFCC) according to binder replacement rat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ingle-axial tensile strength of HFCC were evaluated according to binder replacement rete.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mpression strength decreased as binder replacement rates increased, and B-20 mix properties expressed the most ideal tensile strain-stress curve.
        12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LEFC) transmits light through plastic rods inserted in concrete to stimulate emotion and give new image to spac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give a diverse and sensuous feeling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diameter and the interval of the plastic. For the application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light transmitting concrete reinforced with PVA fib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ameter (5mm, 10mm) and spacing (10mm, 15mm, 20mm) of the plastic rod.
        12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자폐기물의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고, 전자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혹은 자원낭비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폐기물 안에 포함된 중금속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채움재(콘크리트 혹은 모르타르)는 방사성폐기물의 차폐를 위해 사용되나, 방사성 차폐 성능을 확보한 재료를 적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채움재는 차폐성능에 관한 신뢰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자폐기물을 채움재의 잔골재로 적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 휨강도, 탄성계수 및 1μm 영역의 공극이 상당히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물질 혼화재를 결합재로 사용하면 성능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전자폐기물은 채움재의 잔골재로써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25.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omass as a renewable energy source has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the potential for steady supply and its therm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a thermal weight change analysis and determined its kinetics to address this problem. Sawdust was chosen as the biomass, and PE and PP were the plastics u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kine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Kissinger, Ozawa, and Friedman methods, which are the most common methods used to obtain reaction coefficients and activation energy. 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the thermal degradation kinetics were considered feasible for evaluating the pyrolytic behavior of the materials teste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nsights into mixed biomass/plastics pyrolysis kinetics and their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12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80~120 MPa 범위의 압축강도를 갖는 고 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물-결합재비의 압축강도에 대한 영향,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의 발현 및 양생조건의 압축강 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생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 및 파괴계수 특성을 파악하였다. 탄성계수, 쪼갬인 장강도 및 파괴계수의 실험결과와 기존설계코드에 의한 예측결과를 비교하였다. 콘크리트구조기준의 탄성계수 제안식은 실험값을 합리적으 로 예측한다. 반면에, 콘크리트구조기준은 파괴계수 실험값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ACI 363R의 쪼갬인장강도와 파괴계수 예측값과 실험값은 잘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ACI 363R의 쪼갬인장강도와 파괴계수 예측식은 120 MPa까지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127.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of construction using TiO2. The functional Al2O3-TiO2 carrier powder was fabricated by sol-gel method, this is mixed in a cement mortar. As a result,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using Al2O3-TiO2 powder was confirmed to be superior than mortar using ordinary TiO2.
        12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 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시멘트 산업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시멘트에 첨가하여 콘크리트 를 제조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석회석을 시멘트의 35%까지 치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2013년에 KS L 5201을 개정하여 석 회석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5%까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직 석회석 혼합 시멘트에 대한 규격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 구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활용하여, 석회석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특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129.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유통·물류 산업의 발달로 산업용 창고 바닥의 중요성a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바닥재료로 사용되어 온 일반 시멘트계 모르타르가 가지고 있는 유동성의 한계 및 긴 양생 시간 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속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바닥소재를 개발하 였다. 속경성 확보를 위해 초속경 시멘트를 결합재로 사용하였고, VAE 폴리머 분말수지를 5%~20% 혼입 범위로 설정한 4종류의 배합과 혼입 하지 않은 Proto배합에 대한 기초물성을 유동성실험, 압축강도실험, 휨강도실험, 부착강도실험 및 마모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유동성 실험 결과를 통해 고성능 감수제량를 조절함으로써 플로우 250 mm 이상의 고유동 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VAE 폴리머 혼입은 압축강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휨강도는 Proto배합에 비해 우수하게 증진시킬 수 있어 압축강도/휨강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 다. 또한 최소 2.6배 이상의 부착강도 향상과 4배 이상의 마모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역학적 실험을 통해 VAE 폴리머 최적 혼입률을 10% 로 결정하였고, 현장적용 및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VAE 폴리머를 혼입하지 않은 바닥재에 비해 오염도, 충격에 의한 저항, 부착성능 등이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3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examin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EFC in relation to the type of light weight aggregate and replacement ratio. For the specimen, different replacement ratio was used for recycled waste ALC and the bottom ash light weight aggregate respectively. The tests revealed that 60% of the waste ALC light weight aggregate is suitable for securing the optimal strength and light weight of the LEFC.
        131.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examin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EFC in relation to the type of light weight aggregate and replacement ratio. For the specimen, different replacement ratio was used for recycled waste ALC and the bottom ash light weight aggregate respectively. The tests revealed that 60% of the waste ALC light weight aggregate is suitable for securing the optimal strength and light weight of the LEFC.
        132.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급증하여, 주요 선진국을 필두로 하여 국제적인 협약 체결을 맺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국도 온실가스 저감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한국 온실가스 배출 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이 비교적 큰 것으로 알려진 콘크리트의 주재료인 시멘트에 의한 온실가스 저감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공통적인 큰 관심 연구 분야이다. 시멘트의 1 ton 생산 시에는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가 0.7~1.0 ton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7~8%를 차지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제조 시에 시멘트를 대신하여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등의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을 적용한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의 탄소 흡수 및 물리역학적 특성을 확인하여 실제 시멘트 대체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제조 시에 첨가되는 시멘트를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로 대체함으로써, 시멘트 사용량 저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고, 활성화시킨 고로슬래그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였다. 또한 양생조건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능 및 이산화탄소 흡수 전후의 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20~80℃ 범위에서 양생한 시료의 이산화탄소 흡수 및 물리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탄소 포집용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를 제작함에 앞서, 기초 실험을 통해 다양한 산업부산물 중에서 이산화탄소 활성화제 및 시멘트 대체용으로 동시에 활용 가능한 최적의 산업부산물로 고로슬래그를 선정하였다. 고로슬래그의 수경성 확보를 위해 수산화칼슘 및 규산나트륨을 활성화제로 사용하였다. 바인더와 활성화제, 증류수를 투입하여 혼합한 알칼리 흡수제는 질소 충진한 항온 챔버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20℃에서 양생한 시료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51.5 g-CO2/kg였으며, 40℃에서 양생할 때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59.3g-CO2/kg으로 가장 높았으나, 60, 80℃에서 양생한 시료의 경우 CO2 흡수량이 20, 40℃에서 양생한 시료에 비해 낮았다.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도 이산화탄소 흡수 실험결과와 동일한 추세를 보였다. 이산화탄소 흡수 및 압축강도 실험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기능을 갖는 건축재료로써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40℃에서 양생 할 경우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흡수능이 극대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13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FRP known to be new material for repair and rehabilitation has several deficiencies even lots of advantages itself, especially underwater construction. By evaluating the material properties of FRP for underwater, thus, this study provides construction technology with basic data related to repair and rehabilitation of structures submerged in the water.
        13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mer type and curing temperatu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 mortar. The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of RHP mortar at the curing temperature of 20℃, 0℃, and –20℃ at the curing age of 24hr were 93%, 93%, and 91%, respectively, relative to those at the curing age of 168hr. On the other hand, The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of HDP mortar at the curing temperature of 20℃, 0℃, and –20℃ at the curing age of 72hr were 91%, 81%, and 80%, respectively, relative to those at the curing age of 168hr.
        135.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nd information is one of the major inputs for the prediction of urban air flow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 models. Therefore, the numerical characteristics of the wind data formed at their mother domains should be clarified to predict the urban air flow more precisely. In this study,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ind data in the Seoul region were used as the inlet wind information for a CFD based simulation and were analyzed using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for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Because air flow over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often controlled not only by synoptic scale westerly winds but also by the westerly sea breeze induced from the Yellow Sea, the westerly wind often dominates the entire Seoul region. Although simulations of wind speed and air temperature gave results that were slightly high and low, respectively, their temporal variation patterns agreed well with the observations. In the analysis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the variation of wind speed along the western boundary of Seoul is simpler in a large domain with the highest horizontal resolution as compared to a small domain with the same resolution. A strong convergence of the sea breeze due to precise topography leads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wind pattern. The same tendency was shown in the average vertical profiles of the wind speed. The difference in the simulated wind pattern of two different domains is greater during the night than in the daytime because of atmospheric stability and topographically induced mesoscale forcing.
        13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cement-based composite for solar thermal energy storage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different cement-based materials to Ordinary Portland cement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was investigat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measure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compressive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rmal cycling and split tensile strength, and to measure thermal properties including thermal conductivity and specific hea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of mixtures with OPC and slag was greatest among cement-based composite. Thermal conductivity of mixtures including graphite was greater than that of any other mixtures, indicating favor of graphite for improving thermal transfer in term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n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The addition of CSA or zirconium increased specific heat of fiber-reinforced cement-based composite. Tes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ctually used for the design of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in concentrating solar power plants.
        13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amorphous steel fiber and organic fiber. For this purpose, the 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taining amorphous steel fiber(ASF) and polyamide(PA) fiber were made according to their total volume fraction of 0.5% for water-binder ratio of 33%,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orkability, compressive strength, and direct tension strength of those were evaluated.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SF and decreasing PA fiber. but the direct tension strength was on the whole increased with increasing ASF and decreasing PA fiber.
        13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fire. Composite fibers that are mixed in concrete are used to improve vulnerable point. The role of each fiber is to prevent of spalling effect and improve of flexural strength.
        139.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dding hybrid steel fiber on the direct tensile behavior of UHPFRC(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post cracking strength and peak toughness for the Lf: 20mm Df: 0.2mm_0.5% and Lf: 22mm Df: 0.22mm_1.0% were higher than incorporate with Lf: 20mm Df: 0.2mm_1.0% and Lf: 22mm Df: 0.22mm_0.5%
        140.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behaves as a brittle material with low tensile strain capacity. By adding fibers, the cracking in concrete matrix is controll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improved.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re compared with fiber type and fiber volume fraction. From the results, the fiber mixed in concrete must be at least 0.5% regardless fiber type, in order to ensure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equivalent or higher than OPC.